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안함(安馠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. 1544년(중종 39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였으나, 정미사화(丁未士禍) 때 파직되어 부친 안세형(安世亨)과 함께 유배됨.
1504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안향(安珦)
고려 원종(元宗)~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ㆍ학자. 원(元) 나라에서 주자서(朱子書)를 베껴오고 섬학전(贍學錢)을 설치하는 등 성리학(性理學)의 도입과 보급에 힘씀.
1243~1306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안현(安玹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으로, 우의정ㆍ좌의정 등을 역임하였음. 의술에 정통하여 내외 의국(醫局)도 관리하였으며, 청백리(淸白吏)에 녹선됨.
1501~156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안협(安峽)
강원도 북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. 동으로는 평강(平康), 서로는 황해도 토산(兎山), 남으로는 경기도 삭녕(朔寧), 북으로는 이천(伊川)과 경계를 이룸. 후에 이천에 흡수됨.
강원도>안협 , 지명>행정지명
-
안호(安瑚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. 전주 부윤(全州府尹) 안지귀(安知歸)의 아들로, 세조 때 《북정록(北征錄)》을 편찬하는 데 참여하고, 예조 참의(禮曹參議) 등을 지냄.
1437~150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안홍(安鴻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정지운(鄭之雲)의 문인으로, 1566년(명종 21)에 청주 목사(淸州牧使)가 되어 흉년으로 굶주리는 백성을 구제하는 데 기여함.
1517~1582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안홍미(安弘美)
고려시대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문하시중(門下侍中)을 지냄.
한국>고려시대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안황(安璜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순흥(順興). 안처형(安處亨)의 아들이며, 부사(府使) 안경빈(安敬賓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풍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안황부(安黃夫)
조선 전기의 문신.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약포(藥圃) 이해수(李海壽)와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안회(顔回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현인(賢人). 공자(孔子)가 가장 신임했던 수제자로, 가난한 생활 속에서도 도를 즐기고 학문과 덕행으로 이름을 높임.
B.C.521~B.C.490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성현
-
안흥종(安興宗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순흥(順興). 안전(安琠)의 아들이며, 안광종(安光宗)의 형으로, 부자간에 모두 이이(李珥)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문인록(門人錄)에 등재됨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알영(閼英)
신라의 시조인 혁거세거서간(赫居世居西干)의 비(妃). 신화에, B.C. 53년에 알영정(閼英井)에 나타난 계룡(鷄龍)의 왼쪽 겨드랑이에서 태어나, 우물 이름을 따서 ‘알영’이라 칭하였으며, 13세 때 혁거세와 혼인하였다 함.
B.C.53~? 한국>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왕비
-
압구정(狎鷗亭)
서울 한강(漢江)의 두모포(豆毛浦) 남쪽 언덕에 세워진 정자. 세조(世祖) 때 한명회(韓明澮)가 세운 정자로, ‘압구정’이란 이름은 그가 명(明) 나라에 사신 가서 한림학사(翰林學士) 예겸(倪謙)에게서 얻어 온 것으로 당시에는 그 정자가 중국에까지 이름이 났었다고 함.
?~188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유적>건물>누정
-
압록강(鴨綠江)
함경도 백두산(白頭山) 천지(天池) 부근에서 발원하여 우리나라와 만주(滿洲)의 경계를 이루며 서해(西海)로 흘러드는 강 이름. 우리나라에서 제일 긴 강으로, 물빛이 오리의 머리 빛깔과 같아 이름함.
함경도>갑산ㅣ평안도>의주 , 지명>자연지명
-
앙^사(鞅^斯)
중국 춘추전국시대 위(衛) 나라의 공자(公子)인 공손앙(公孫鞅)과 진(秦) 나라 시황(始皇) 때의 재상인 이사(李斯)를 함께 부르는 말. 법을 각박하게 시행한 인물들임.
중국>진ㅣ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애^문(哀^文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 제후인 애공(哀公)과 문공(文公)을 함께 부르는 말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애^학(厓^鶴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서애(西厓) 유성룡(柳成龍)과 학봉(鶴峯) 김성일(金誠一)을 함께 부르는 말. 퇴계(退溪) 이황(李滉)의 대표적인 제자들임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성ㅣ경상도>안동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애강(哀姜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 장공(莊公)의 부인. 제(齊) 나라 희공(釐公)의 딸이자 환공(桓公)의 여동생. 장공의 이복 동생인 경보(慶父)와 사통하여 노 나라를 문란하게 했다 하여 오빠인 환공의 명령에 의해 자살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
-
애경당(愛敬堂)
경상도 문경(聞慶) 영순면(永順面)에 있는 사당. 조선 성종(成宗) 때 홍귀달(洪貴達)이 부모를 추모하기 위해 건립함.
149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문경 , 유적>건물>사당
-
애공(哀公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 제후. 재위 B.C.494~B.C.486. 정공(定公)의 아들로, 대외적으로 오(吳) 나라와 제(齊) 나라의 공격을 받아 어려움을 겪고, 월(越) 나라의 힘을 빌려 삼환씨(三桓氏)를 제거하려 했으나 도리어 그들의 공격을 받아 죽임을 당함.
?~B.C.486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