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애련설(愛蓮說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 주돈이(周敦頤)가 연(蓮)을 예찬하여 지은 수필 형식의 글. 국화를 은일(隱逸)에, 모란을 부귀(富貴)에, 연꽃을 군자(君子)에 비유하고, 수많은 꽃 중에 연꽃을 가장 사랑함을 읊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애산(崖山)
중국 광동성(廣東省) 신회현(新會縣)의 남쪽 대해(大海) 가운데 있는 산 이름. 남송(南宋) 말기에 장세걸(張世傑)이 원(元) 나라 장수 장홍범(張弘範)에게 패하자, 육수부(陸秀夫)가 상흥제(祥興帝)를 업고 바다에 빠져 죽은 고사가 전함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애유신(艾維新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무신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호부 주사(戶部主事)로 종군(從軍)하여 군량(軍糧)을 관리함. 군량 운송의 기일을 지키지 못한 검찰사(檢察使) 김응남(金應南)과 의주 부윤(義州府尹) 황진(黃璡) 등에게 장형(杖刑)을 가했다는 기록이 있음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애정왕황후(哀靖王皇后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진(晉) 나라 제10대 애제(哀帝)의 황후. 태원(太原) 진양(晉陽) 사람으로, 황후가 된 지 3년 만에 죽음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
-
애제(哀帝)@당
중국 당(唐) 나라의 제20대 황제. 재위 904~907. 주온(朱溫)에게 강제로 퇴위 당하고 1년 후에 시해당함.
892~908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애제(哀帝)@전한
중국 전한(前漢)의 제10대 황제. 재위 B.C.7~B.C.1. 재위 중에 외척 세력을 조정에서 척결했으나, 말년에 다시 외척이 정치에 깊이 간여하여 조정이 혼란에 빠지고 정치도 부패해짐.
B.C.26~B.C.1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애제(哀帝)@남북조(晉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진(晉) 나라의 제10대 황제. 재위 362~365. 성제(成帝) 사마연(司馬衍)의 아들로 25세의 젊은 나이로 병사함.
340~365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애주(崖州)
중국 해남성(海南省) 해남도(海南島) 서남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. 삼면이 바다로 이루어져 있어서 좋은 항구(港口)를 이룸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애후(哀侯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채(蔡) 나라의 제후. 식후(息侯)의 부인에게 마음을 빼앗겨 초왕(楚王)을 선동하여 식(息) 나라를 멸망시켰으나, 자신도 초(楚) 나라의 공격을 받고 투항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앵(鶯)
꾀꼬리. 모습이 아름답고 울음소리가 맑고 다양하여 시재(詩材) 및 화재(畫材)로 자주 쓰였으며, 이 새가 울면 잠업(蠶業)이 시작된다고 함. 《삼국사기(三國史記)》에 암수가 사이좋게 노니는 것을 읊은 〈황조가(黃鳥歌)〉가 전함.
자연물>동물
-
앵도(櫻桃)
앵두. 열매는 꾀꼬리가 먹고, 생김새가 복숭아와 비슷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. 단오(端午)를 전후하여 가장 먼저 익기 때문에 귀한 제물(祭物)로 여겼으며, 약재(藥材)로도 쓰였음.
자연물>식물
-
앵도번소구(櫻桃樊素口)
앵두 같은 번소(樊素)의 입술. 당(唐) 나라 시인 백거이(白居易)가 앵두를 자신의 가기(家妓) 중에 노래를 잘하는 번소의 입술에 비유하여 읊은 시에서 유래한 말로, 잘 익은 앵두를 뜻함.
중국>당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앵앵전(鶯鶯傳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인 원진(元稹)이 지은 전기 소설(傳奇小說). 1권. 재상의 딸 최앵앵(崔鸎鸎)과 백면서생 장서(張瑞)와의 사랑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, 원(元) 나라 때의 잡극(雜劇)인 《서상기(西廂記)》의 소재가 됨.
800 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서명
-
야계집(倻溪集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인 송희규(宋希奎)의 시문집. 1816년(순조 16)에 문집이 처음 완성되었으며, 정종로(鄭宗魯)의 서문(序文)이 있음.
1816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야로당문집(野老堂文集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학자인 이순(李淳)의 시문집. 2권 1책. 석인본(石印本). 1934년에 후손 이창화(李昶和) 등이 편집하여 경상도 성주(星州)에서 간행함.
1934 한국>근대 , 경상도>성주 , 문헌>서명
-
야선불화(也先不花)
중국 원(元) 나라의 환관(宦官). 고려 사람으로 원(元) 나라에 가서 환관이 되었고, 벼슬이 중의대부(中議大夫) 중서사승(中瑞司丞)에 이르렀으며, 영리군(永利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하양ㅣ경상도>신녕 , 인명>관인>환관
-
야아길니(也兒吉尼)
중국 원(元) 나라 인종(仁宗) 때의 환관. 고려 충선왕(忠宣王) 때의 천추사(千秋使)로 원(元) 나라에 파견되어 있던 조서(趙瑞)의 딸과 혼인함.
중국>원 , 중국 , 인명>관인>환관
-
야은일고(壄隱逸稿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인 전녹생(田祿生)의 문집. 6권 2책. 목판본. 초간본(初刊本)은 1738년(영조 14) 후손 전일상(田日祥)이 경상도 칠곡(漆谷) 송림사(松林寺)에서 간행함.
173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성주 , 문헌>서명
-
야은집(冶隱集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길재(吉再)의 시문집. 문인 박서생(朴瑞生)이 초간하였다고 하나 전하지 않고, 1573년(선조 6) 길재의 5대손 길회(吉誨)가 《야은선생행록(冶隱先生行錄)》을 간행한 이후 속집 등이 다양하게 복간됨.
157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문헌>서명
-
약봉유고(藥峯遺稿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서성(徐渻)의 시문집. 초간본(初刊本)은 1705년(숙종 31) 저자의 증손인 서문유(徐文裕)가 전라도 전주(全州)에서 목판으로 간행함.
1705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