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약사불(藥師佛)
열두 가지 대원(大願)을 세워 중생을 모든 병고(病苦)에서 구하고, 무명(無名)의 고질까지도 치유하여 깨달음을 인도하는 부처. 통일신라시대부터 신앙의 대상으로 크게 성하여 석가모니불ㆍ아미타불ㆍ미륵불과 함께 가장 널리 신봉되는 부처의 하나.
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약사암(藥師庵)
통일신라 때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는 전라도 광산(光山)의 무등산(無等山)에 있는 사찰. 철감선사(澈鑑禪師) 도윤(道允)이 증심사(證心寺)를 창건하기 위해 지었다 하며, 지금의 광주광역시(光州光域市)에 속함.
한국>통일신라 , 전라도>광산 , 유적>건물>사찰
-
약산만고(藥山漫稿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인 오광운(吳光運)의 유고. 20권 9책. 목판본. 후손 오병서(吳炳序) 등이 1924년 대구(大邱)에서 간행함.
1924 한국>근대 , 경상도>대구 , 문헌>서명
-
약야계(若耶溪)
중국 절강성(浙江省) 소흥현(紹興縣)에 있는 하천 이름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약포유고(藥圃遺稿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이해수(李海壽)의 문집. 7권 3책. 목판본. 저자의 외6대손인 조영세(趙榮世)가 안동 부사(安東府使)로 있을 때 간행함. 이재(李縡)의 서문이 있음.
172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문헌>서명
-
약포집(藥圃集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정탁(鄭琢)의 시문집. 원집(原集)은 5대손 정옥(鄭玉)이 1760년(영조 36)에 해주(海州)에서 목판으로 7권 4책을 초간(初刊)하였으며, 속집(續集)은 후손 정광익(鄭光翊)이 1818년(순조 18) 도정서원(道正書院)에서 목판으로 4권 2책을 초간함.
1760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해주 , 문헌>서명
-
양(梁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남조(南朝)의 세 번째 왕조. 남제(南齊) 말에 옹주 자사(雍州刺史) 소연(蕭衍)이 화제(和帝)에게 선양받아 세운 나라로, 6대 56년간 존속.
502~557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시간>국명
-
양^갈(楊^葛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인 양박(楊博)과 갈수례(葛守禮)를 함께 부르는 말. 당대 명신으로 일컬어짐.
중국>명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양^마(揚^馬)
중국 전한(前漢)의 문인인 양웅(揚雄)과 사마상여(司馬相如)를 함께 부르는 말. 부(賦)에 뛰어난 인물들로, 국왕에게 부를 지어 바침.
중국>전한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양^묵(楊^墨)
중국 춘추전국시대 위(魏) 나라의 도가(道家) 철학자인 양주(楊朱)와 노(魯) 나라의 사상가로 묵가(墨家)의 창시자인 묵적(墨翟)을 함께 부르는 말. 맹자(孟子) 이후 유학자들이 인의(仁義)를 해치는 이단 학설로 여겨 배척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양^사(楊^謝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인 양시(楊時)와 사양좌(謝良佐)를 함께 부르는 말. 이정(二程)의 문인을 말함.
중국>송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양^윤(楊^尹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인 양시(楊時)와 윤돈(尹焞)을 함께 부르는 말. 정자(程子)의 문인임.
중국>송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양^이(楊^李)
중국 당(唐) 나라의 재상인 양국충(楊國忠)과 이임보(李林甫)를 함께 부르는 말. 실정(失政)과 전횡(專橫)으로 정사를 어지럽힌 신하를 일컬음.
중국>당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양^채(楊^蔡)
중국 송(宋) 나라의 유학자 주희(朱熹)의 제자인 양즙(楊楫)과 채원정(蔡元定)을 함께 부르는 말.
중국>송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양^평(良^平)
중국 전한(前漢)의 공신인 장량(張良)과 진평(陳平)을 함께 부르는 말. 한(漢) 나라 통일에 공을 세운 두 신하를 일컬음.
중국>전한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양^한(揚^韓)
중국 전한(前漢)의 학자인 양웅(揚雄)과 당(唐) 나라의 문인인 한유(韓愈)를 함께 부르는 말. 유학(儒學)의 이론인 성선설(性善說)과 다른 의견을 제시한 학자.
중국>당ㅣ중국>전한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양간(楊簡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육구연(陸九淵)의 제자로, 스승의 심(心)은 곧 이(理)라는 심즉리(心卽理)의 사상을 이어받음. 보모각 학사(寶謨閣學士) 등을 지냄.
1141~122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양거(楊琚)
중국 명(明) 나라 영종(英宗) 때의 문신. 강서(江西) 태화(泰和) 사람으로 병부 주사(兵部主事)를 지냄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양거원(楊巨源)
중국 당(唐) 나라 덕종(德宗)~문종(文宗) 때의 문신ㆍ시인. 국자사업(國子司業) 등을 지내고, 백거이(白居易)ㆍ원진(元稹)ㆍ유우석(劉禹錫) 등과 교유함. 시에 능하고, 특히 음률(音律)을 중시한 작품이 많음.
755~?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양걸(楊傑)
중국 송(宋) 인종(仁宗)~철종(哲宗) 때의 문신ㆍ학자. 고려 의천(義天)이 송 나라에 갔을 때 주객원외랑(主客員外郞)의 신분으로 의천 일행을 관반(館伴)하여 강남 일원까지 수종(隨從)하였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