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양경림(楊景霖)
조선 전기의 유학. 봉래(蓬萊) 양사언(楊士彥)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양경우(梁慶遇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인 양대박(梁大樸)의 아들로, 부친을 따라 종군함. 1597년(선조 30)에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교리(校理)ㆍ봉상시 첨정(奉常寺僉正) 등을 지냄.
1568~?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양경지(楊敬之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ㆍ문인. 검교 공부상서(檢校工部尙書) 등을 지내고, 두 아들 양융(楊戎)ㆍ양대(楊戴)와 함께 문명(文名)을 떨침. 일찍이 〈화산부(華山賦)〉를 지어 한유(韓愈)ㆍ이덕유(李德裕) 등으로부터 칭탄을 받음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양경충(楊敬忠)
중국 당(唐) 나라 현종(玄宗) 때의 문신. 하서 절도사(河西節度使) 등을 지냈으며, 선악(仙樂)인 예상우의곡(霓裳羽衣曲)을 지어 바쳤다고 함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양계성(楊繼盛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형부 원외랑(刑部員外郞) 등을 지냄. 엄숭(嚴嵩)이 권력을 전횡할 때 세 번이나 상소하여 그의 죄를 탄핵하다가 하옥된 후 죽임을 당함.
1516~1555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양계종(楊繼宗)
중국 명(明) 나라 영종(英宗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성품이 강직하고 청렴하여 중관(中官) 및 제신(諸臣) 들의 탐오와 비리를 지적하였으므로 고관들의 미움을 받았으며, 좌첨도어사(左僉都御史) 등을 역임함.
?~1488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양곡집(陽谷集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인 소세양(蘇世讓)의 시문집. 14권 7책. 목판본. 1571년(선조 4)에 아들 소수(蘇遂)가 저자의 유문(遺文)을 모아 편집하여 황해도 곡산(谷山)에서 초간(初刊)함.
1571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곡산 , 문헌>서명
-
양공(襄公)@춘추전국(晉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晉) 나라의 제후. 문공(文公)의 아들. 문공이 죽고 장사 지내기 전에 출병(出兵)하게 되자, 상복을 검게 물들여 입고 전쟁에 나가 진(秦) 나라를 격퇴함.
?~B.C.621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양공(襄公)@춘추전국(제)
중국 춘추전국시대 제(齊) 나라의 제후. 재위 B.C.697~B.C.686. 재위 중에 노(魯) 나라와 위(衛) 나라를 정벌하였으나, 후일 연칭(連稱)과 공손무지(公孫无知)에게 시해됨.
?~B.C.686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양공(襄公)@춘추전국(송)
중국 춘추전국시대 송(宋) 나라의 제후. 재위 B.C.651~B.C.637. 패자(覇者)가 되기 위해 초(楚) 나라의 군대와 홍수(泓水)에서 싸울 때 인정을 베풀다가 패함.
?~B.C.637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양공(襄公)@춘추전국(衛)
중국 춘추전국시대 위(衛) 나라의 제후. 재위 B.C.543~B.C.535. 헌공(獻公)의 아들로, 숙부인 상공(殤公)의 뒤를 이어 즉위하여 9년 동안 나라를 다스림.
?~B.C.535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양관(梁灌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무신. 덕천 군수(德川郡守) 등을 거쳐 지돈녕부사(知敦寧府事)에 이르렀고, 근면하고 청렴하여 청백리에 녹선됨.
1437~150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무신
-
양구(楊口)
강원도 중부에 있는 고을 이름. 내륙 산간에 위치하며, 산세가 험준함.
강원도>양구 , 지명>행정지명
-
양구거(梁丘據)
중국 춘추전국시대 제(齊) 나라 경공(景公) 때의 대부. 경공의 총애를 받았으며, 경공이 노(魯) 나라 정공(定公)과 회동할 때 경공을 따라 그 자리에 참석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양구주(梁九疇)
조선 전기의 문신. 홍문관 대제학(弘文館大提學)을 지낸 양성지(梁誠之)의 아버지. 청풍 군사(淸風郡事)를 지냈으며, 의정부 우찬성(議政府右贊成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양구하(梁丘賀)
중국 전한(前漢) 선제(宣帝) 때의 문신ㆍ학자. 경방(京房)에게 《주역(周易)》을 수학하고, 선제의 신망을 받아 소부(少府) 등을 지냈으며, 공신(功臣)으로 인정받아 기린각(麒麟閣)에 그의 초상이 걸렸음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양국충(楊國忠)
중국 당(唐) 나라의 재상. 장역지(張易之)의 사위이며, 양귀비(楊貴妃)의 친척. 이임보(李林甫)와 결탁하여 현종(玄宗)에게 중용되었으나, 실정(失政)과 전횡(專橫)으로 정사를 어지럽히고, 안녹산(安祿山)과의 반목으로 안사(安史)의 난(亂)을 초래함.
?~756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양권(羊權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도사. 양침(羊忱)의 아들로, 모산(茅山)에 거처하면서 도(道)를 터득함. 구의산(九嶷山)의 선녀가 그에게 신선술(神仙術)과 환약(丸藥) 등을 주고 갔다는 일화가 전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도사
-
양귀비(楊貴妃)
중국 당(唐) 나라 현종(玄宗)의 비(妃). 본래 현종의 아들인 이모(李瑁)의 비로 궁에 들어왔으나 현종의 사랑을 받아 현종의 비가 됨. 오빠인 양국충(楊國忠)과 함께 정사를 전횡하다가 안사(安史)의 난(亂) 때 국난 초래를 문책받아 죽음.
719~756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후궁
-
양근(楊根)
경기도 중부 동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. 현재는 경기도 양평군(楊平郡)에 속함.
경기도>양근 , 지명>행정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