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양만리(楊萬里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시인. 비서감(秘書監)을 지내고, 사부(詞賦)에 뛰어나 육유(陸游)ㆍ범성대(范成大)ㆍ우무(尤袤)와 더불어 남송사대가(南宋四大家)로 일컬어짐.
1127~1279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양만용(梁曼容)
조선 인조(仁祖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제주(濟州). 양산축(梁山軸)의 아들이며, 강항(姜沆)ㆍ박동열(朴東說)의 문인.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 의병을 일으켰으며, 청현직(淸顯職)을 두루 역임하고 영국원종공신(寧國原從功臣)에 책록됨.
1598~1651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양만춘(楊萬春)
고구려 보장왕(寶藏王) 때의 안시성(安市城) 성주(城主). 지모(智謀)와 용기(勇氣)가 뛰어났으며, 연개소문(淵蓋蘇文)의 정변과 당(唐) 나라 태종(太宗)의 침공 때 불굴의 의지로 싸워 승리함.
한국>고구려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양매(楊梅)
조선 전기의 문신 최연(崔演)의 《간재집(艮齋集)》에 실려 있는 〈국수재전(麴秀才傳)〉에 나오는 가상의 인물.
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양면(楊沔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동지돈녕부사(同知敦寧府事) 양후(楊厚)의 손자이며 양자순(楊子淳)의 아들. 교리(校理)ㆍ첨정(僉正) 등을 지냄.
1444~1500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양명학(陽明學)
중국 명(明) 나라의 학자 왕수인(王守仁)이 주창한 유가철학(儒家哲學)의 한 학파. 정주이학(程朱理學)과 대립되는 성격으로, 육구연(陸九淵)의 학설을 계승하여 심즉리(心卽理)ㆍ치양지(致良知)ㆍ지행합일설(知行合一說)을 주창함.
중국>명 , 중국 , 사상>이론>학설
-
양무소왕(涼武昭王)
중국 남북조시대 서량(西涼)의 초대 왕. 재위 400~417. 재위 중 우병우농(寓兵于農)과 문화교육 정책을 시행하여 부국강병을 꾀함. 문학에도 남다른 재능을 보임.
351~417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양박(楊博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. 세종을 보좌하여 내외직을 오가며 정무에 힘쓰고 외구 및 변방 수비에 공로를 세움. 이부상서(吏部尙書) 등을 지내며 좌도어사(左都御史) 갈수례(葛守禮)와 함께 당대 명신으로 불림.
?~1574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양방(楊方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주자(朱子)의 문인. 회계(會稽) 사람으로, 고량 태수(高凉太守)를 지냄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양방형(楊邦亨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무신. 1595년(선조 28) 흠차책봉일본정사(欽差冊封日本正使) 이종성(李宗城)을 따라 부사(副使)로 조선에 나왔으며, 도중에 이종성이 도망치자 정사가 되어 일본에 가서 풍신수길(豐臣秀吉)과 협상하였으나 실패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양배선(楊拜善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중화(中和)로, 대사간(大司諫)을 지낸 양희지(楊熙止)의 아들. 몸가짐을 삼가며 문예(文藝)에 뛰어나 김안국(金安國)의 천거를 받았으며, 이황(李滉)ㆍ최연(崔演)ㆍ안관(安瓘) 등 당대 명사들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대구 , 인명>관인>문신
-
양백연(楊伯淵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무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흥왕사(興王寺)의 변(變)을 평정한 공으로 추성익위공신(推誠翊衛功臣)에 책록되고, 여러 차례 왜구(倭寇)를 격퇴하였으나, 후에 이인임(李仁任) 등의 미움을 받아 합주(陜州)로 귀양 갔다가 살해됨.
?~1379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양백화(楊白花)
악부(樂府) 잡곡가사(雜曲歌辭)의 하나.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(北魏)의 명장(名將)인 양대안(楊大眼)의 아들 양화(楊華)를 추모하기 위해 선무영황후(宣武靈皇后)가 지은 노래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양병(楊秉)
중국 후한(後漢) 환제(桓帝) 때의 문신. 양진(楊震)의 아들로, 역학(易學)과 《서전(書傳)》에 밝고, 매우 청렴하여 술과 여색과 돈에 미혹되지 않았다 하여 ‘삼불혹(三不惑)’으로 일컬어졌으며, 태위(太尉) 등을 지냄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양복(楊復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으로 《의례도(儀禮圖)》를 저술하고, 《가례(家禮)》의 주석을 냄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양부(楊溥)
중국 명(明) 나라 혜제(惠帝)~영종(英宗) 때의 문신. 무영전 대학사(武英殿大學士) 등을 지내고, 양우(楊寓)ㆍ양영(楊榮)과 함께 정사를 잘 보살펴 ‘삼양(三楊)’으로 일컬어짐.
1372~1446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양사기(楊士奇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양희수(楊希洙)의 아들로, 원주(原州) 등 7개 읍의 수령(守令)을 역임하였으며, 형 양사준(楊士俊)ㆍ양사언(楊士彦)과 함께 시(詩)에 뛰어났음.
1531~158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양사언(楊士彦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서예가. 본관은 청주(淸州). 회양(淮陽) 등 여러 고을의 수령을 지내면서 자연을 즐기고, 시(詩)ㆍ서(書)에 능하여, 안평대군(安平大君)ㆍ김구(金絿)ㆍ한호(韓濩) 등과 함께 조선 전기의 사대(四大) 서예가로 불림.
1517~158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양사원(梁泗源)
조선 전기의 문신. 양산보(梁山甫)의 부친. 본관은 제주(濟州). 은덕(隱德)이 있어 종부시 주부(宗簿寺主簿)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창평 , 인명>관인>문신
-
양사준(楊士俊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양희수(楊希洙)의 아들로, 형 양사언(楊士彦), 동생 양사기(楊士奇)와 더불어 문명(文名)을 날려 당시에 중국의 소순(蘇洵)ㆍ소식(蘇軾)ㆍ소철(蘇轍)에 비유되었으며, 정랑(正郞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