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양설힐(羊舌肹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晉) 도공(悼公)~소공(昭公) 때의 대부. 외국(外國)에 사신 가서나, 외국의 빈객을 접대할 때 응대(應對)를 잘하기로 명성이 높았음. 공자가 유직(遺直)이라고 칭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양성(陽城)
경기도 서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. 지금의 안성(安城) 지역에 해당하며 천덕산(天德山)과 남쪽의 백운산(白雲山) 사이에 자리잡고 있음.
경기도>양성 , 지명>행정지명
-
양성지(梁誠之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남원(南原). 집현전(集賢殿)의 부수찬ㆍ교리를 거쳐 이조 판서(吏曹判書)ㆍ홍문관 대제학(弘文館大提學) 등을 지냄. 《고려사(高麗史)》ㆍ《동국여지승람(東國輿地勝覽)》등을 편찬함.
1415~1482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양성헌실기(養性軒實紀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인 도희령(都希齡)의 유문(遺文)과 행적(行蹟) 등을 모아 편찬한 실기(實記). 2권.
한국>조선시대 , 문헌>서명
-
양세남(梁世南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제주(濟州). 송천(松川) 양응정(梁應鼎)의 손자인 양만용(梁曼容)의 아들. 증조부 양응정의 문집을 간행하려고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함.
1627~1682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양세법(兩稅法)
중국 당(唐) 나라 덕종(德宗) 때 시행된 조세(租稅) 제도. 여름과 가을 두 차례에 걸쳐 세금을 징수하되 본적지 여부와는 관계 없이 그 지역의 현재 거주자를 대상으로 부과하는 제도로, 명(明) 나라 이전까지 역대 세법(稅法)의 원칙이 됨.
780 중국>당 , 중국 , 법제>제도
-
양세영(楊世英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첨정(僉正) 양면(楊沔)의 아들로, 상서원 부직장(尙瑞院副直長) 등을 지냄.
1485~1535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양소(良霄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정(鄭) 나라의 대부. 음주ㆍ사치로 죽임을 당한 뒤 악귀가 되어 사람을 죽이자, 공손교(公孫僑)가 그의 아들 양지(良止)를 후사로 세워 재앙을 그치게 했다는 고사가 전해짐.
?~B.C.543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양소선(楊紹先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무신. 전둔위(前屯衛) 사람으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흠차요동총병표하영령이병원임참장(欽差遼東摠兵票下營領夷兵原任參將)으로 마병(馬兵)을 이끌고 이여송(李如松)을 따라 참전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양소신(楊紹新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무신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형인 요동광녕진수총병관(遼東廣寧鎭守總兵官) 양소훈(楊紹勳)과 함께 이여송(李如松)을 따라 참전하였으며, 후에 계문 참장(薊門參將)을 지냄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양소조(楊紹祖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무신. 전둔위(前屯衞) 사람으로, 1598년(선조 31) 6월에 흠차보정중영참장(欽差保定中營參將) 도지휘첨사(都指揮僉事)로 마병(馬兵)을 이끌고 조선의 왜란에 참전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양소훈(楊紹勳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무신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요동광녕진수총병관(遼東廣寧鎭守總兵官)으로 아우 양소신(楊紹新)과 함께 이여송(李如松)을 따라 참전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양수(楊修)
중국 후한(後漢) 헌제(獻帝) 때 조조(曹操)의 모사. 태위(太尉) 양표(楊彪)의 아들로, 박학하고 견식이 넓었으나, 조조가 “계륵”이라 한 말뜻을 미리 알고 짐을 꾸렸다가 사형됨.
175~219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양수(楊綏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문신ㆍ문인. 양담(楊潭)의 아들로, 반악(潘岳)의 집안과 3대에 걸쳐 혼인을 맺음.
271~299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양수사(楊守泗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중화(中和). 김종직(金宗直)의 《점필재집(佔畢齋集)》에 증시(贈詩)와 송시(送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금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양수진(楊守陳)
중국 명(明) 나라 대종(代宗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헌종(憲宗) 때 《문화대훈(文華大訓)》을 편찬하고, 효종 때 《헌종실록(憲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하였으며, 이부 우시랑(吏部右侍郞) 등을 역임함.
1425~1489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양숙(梁淑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으로, 이조 판서(吏曹判書)를 지낸 양성지(梁誠之)의 손자. 사옹원 정(司饔院正)ㆍ사섬시 정(司贍寺正) 등을 지냄.
1471~1528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양순(梁洵)
통일신라 신문왕(神文王) 때의 문신. 제주양씨(濟州梁氏)의 중시조(中始祖).
한국>통일신라 , 전라도>제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양순석(梁順石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. 상호군(上護軍) 정효충(鄭孝忠)의 사위로, 충청도 관찰사(忠淸道觀察使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양숭(楊崇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문신. 월호(月湖) 양렴(楊廉)의 아버지로, 오여필(吳與弼)의 문인(門人)인 호구소(胡九韶)에게 수학하고, 지영주부(知永州府)를 지냄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