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양시(楊時)
중국 송(宋) 나라 신종(神宗)~고종(高宗) 때의 학자. 이정(二程)의 학설을 화중(華中)ㆍ화남(華南)으로 퍼뜨려서, 남송(南宋)의 주희(朱熹)와 장식(張栻)에게 계승하게 됨.
1053~113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양신민(楊信民)
중국 명(明) 나라 성조(成祖)때의 문신ㆍ학자. 강음(江陰) 사람으로, 일조현 지사(日照縣知事)와 좌도어사(左都御史) 등을 지냈으며, 《성원주기(姓原珠璣)》를 저술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양신용(梁信容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제주(濟州)로, 학포(學圃) 양팽손(梁彭孫)의 증손. 정묘호란(丁卯胡亂) 때의 전공(戰功)으로 인동 도호부사(仁同都護府使)에 제수됨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능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양심당집(養心堂集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음악이론가ㆍ학자ㆍ의원인 조성(趙晟)의 시문집. 1책. 목판본. 1568년(선조 1)에 저자의 문인(門人)이자 조카사위인 박계현(朴啓賢)이 수집ㆍ편차하여 간행함.
156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산 , 문헌>서명
-
양씨역전(楊氏易傳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양간(楊簡)이 지은 《주역(周易)》해설서. 20권. 스승인 육구연(陸九淵)의 영향을 받아 오직 심성(心性)을 위주로 설명하고 상수(象數)와 사물(事物)에 대한 해설은 생략함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양암(諒闇)
천자(天子)나 왕(王)이 부모의 상(喪)을 당했을 때 거처하는 방. 은(殷) 나라 고종(高宗)이 아버지 소을(小乙)의 상에 상려(喪廬)에서 3년 동안 말하지 않았기에 후대에는 임금이 거상(居喪)할 때 3년 동안 말하지 않는 제도를 뜻하기도 함.
법제>의례>국가의례
-
양양(襄陽)
강원도 동부 해안에 접해 있는 고을 이름.
강원도>양양 , 지명>행정지명
-
양양(襄陽)@중국
중국 호북성(湖北省) 한수(漢水) 연안에 위치한 고을 이름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양억(楊億)
중국 송(宋) 나라 태종(太宗)~진종(眞宗) 때의 학자ㆍ문신. 왕흠약(王欽若)과 함께 《책부원귀(冊符元龜)》를 저술하고, 불서(佛書)인 《전등록(傳燈錄)》을 교간(校刊)함.
973~102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양여공(梁汝恭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충주(忠州). 1431년(세종 13) 유연생(柳衍生)의 무고(誣告)로 사형됨. 효성이 지극하고 시와 글씨에 능했음.
1378~1431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양여창(梁汝昌)
조선 세조(世祖)~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남원(南原)으로, 별시위(別侍衛)를 지낸 양덕부(梁德符)의 아들.
1434~152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유학
-
양연(梁淵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. 양성지(梁誠之)의 손자로, 대사헌(大司憲)일 때 왕의 밀지를 받아 김안로(金安老)ㆍ채무택(蔡無擇)ㆍ허항(許沆) 등을 탄핵하여 처형시킴. 훈구파(勳舊派)의 중심인물로 사림파(士林派)를 배척함.
?~1542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양영(楊榮)
중국 명(明) 나라 혜제(惠帝)~영종(英宗) 때의 문신. 성조(成祖)의 북정(北征)에 여러 차례 참여하고, 네 황제를 섬기면서 정사를 잘 보좌하여 양우(楊寓)ㆍ양부(楊溥)와 함께 ‘삼양(三楊)’이라 일컬어짐.
1371~1440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양예수(楊禮壽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의관(醫官). 본관은 하음(河陰). 의술(醫術)에 능하고 박학하였으며, 태의(太醫)로 《동의보감(東醫寶鑑)》 편찬에 참여함. 박세거(朴世擧)ㆍ손사명(孫士銘) 등과 함께 《의림촬요(醫林撮要)》를 저술함.
?~1597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강화 , 인명>기술인>의원
-
양오(揚烏)
중국 전한(前漢) 말의 학자인 양웅(揚雄)의 아들. 9세에 아버지 양웅과 학문을 논할 수 있을 만큼 총명했으나 요절함. 송(宋)의 소식(蘇軾)이 양오에 대한 애석함을 시로 지음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양옥정(梁玉精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남원(南原). 양난손(梁蘭孫)의 아들이며, 죽재(竹齋) 양철견(梁鐵堅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문사>유학
-
양옹백(楊雍伯)
중국 전한(前漢)의 효자. 낙양(洛陽) 출신으로, 물이 귀한 무종산(無終山)에서 음료를 제공하는 선행을 쌓은 끝에 선인(仙人)에게 돌멩이를 받아 남전(藍田)에 뿌렸더니 모두 옥(玉)으로 자라났으며, 그 옥을 캐어 아름다운 아내를 얻었다 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효자
-
양왕(襄王)
중국 주(周) 나라 제19대 왕. 재위 B.C.651~B.C.619. 숙부인 왕자대(王子帶)가 난리를 일으켜 정(鄭) 나라로 피했는데, 진(晉) 나라 문공(文公)이 왕자대를 죽이고 양왕을 복귀시킴.
중국>주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양용(楊勇)
중국 수(隋) 나라의 태자. 문제(文帝)의 아들로, 황태자에 봉해졌으나, 후에 양제(煬帝)가 된 아우 양광(楊廣)의 방해로 폐서인(廢庶人)이 되었으며, 문제의 병이 위독할 때 양광의 조서(詔書) 위조로 인해 사사됨.
?~604 중국>수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
-
양우(梁祐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. 양준(梁俊)의 아들이며, 대방군(帶方君) 양천룡(梁天龍)의 아버지. 판도 판서(版圖判書)로 집현전 대제학(集賢殿大提學)을 겸하였으나, 고려가 망하자 벼슬을 버리고 은거함.
1306~1396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