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양우(楊寓)
중국 명(明) 나라 혜제(惠帝)~영종(英宗) 때의 문신. 화개전 대학사(華盖殿大學士) 등을 지내며 양부(楊溥)ㆍ양영(楊榮)과 함께 정사를 잘 보살펴 ‘삼양(三楊)’으로 일컬어짐.
1365~1444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양우룡(梁友龍)
고려 충목왕(忠穆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. 집현전 대제학(集賢殿大提學) 양우(梁祐)의 아들로, 선공시 승(繕工寺丞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양운(楊惲)
중국 전한(前漢) 선제(宣帝) 때의 문신. 사마천(司馬遷)의 외손으로, 곽씨(霍氏)의 모반(謀反)을 고변하여 열경(列卿)에 오르고 평통후(平通侯)에 봉해짐.
?~B.C.54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양웅(揚雄)
중국 전한(前漢) 말의 학자ㆍ문인. 사마상여(司馬相如)의 작품을 통하여 배운 문장력을 인정받아, 성제(成帝) 때 궁정문인의 한 사람이 됨.
B.C.53~A.D.18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
-
양원(梁園)
중국 전한(前漢) 경제(景帝) 때 양효왕(梁孝王) 유무(劉武)가 하남성(河南省) 개봉현(開封縣) 동남쪽에 만든 정원. 매승(枚乘)ㆍ사마상여(司馬相如) 등 사부(辭賦)에 뛰어난 문사들을 초청하여 주연을 베풀던 곳으로 유명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유적>기타유적
-
양원(楊元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무신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부총병(副總兵)으로 이여송(李如松)을 따라 참전하였으며,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남원성(南原城) 전투에서 이복남(李福男)ㆍ오응정(吳應井) 등의 군사와 연합하여 왜적과 맞서 싸움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양원군(楊原君)
조선 제9대 성종(成宗)의 막내아들. 숙의홍씨(淑儀洪氏) 소생. 중종(中宗) 원년에 정국공신(靖國功臣)으로 옥책(玉冊)을 개정(改正)하여 원종일등훈(原從一等勳)이 사급됨.
1492~1551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양원정(楊元定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무신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이여송(李如松) 등과 함께 조선의 구원군(救援軍)으로 참전함. 도독첨사(都督僉事) 등을 지냈고, 정탁(鄭琢)의 《약포집(藥圃集)》에 관련 기록이 남아 있음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양유(良柔)
일본 실정시대(室町時代)의 승려. 원래 고려의 승려였으나 젊어서 왜승(倭僧)을 따라가 일본으로 귀화함. 1376년(우왕 2) 일본에 사신 온 나흥유(羅興儒)가 위기에 몰리자 그를 도와 석방되도록 하고, 고려에 회신사(回信使)로 나옴.
일본>실정시대 , 일본 , 인명>기타인명>귀화인ㅣ인명>종교인>승려
-
양유기(養由基)
중국 춘추전국시대 초(楚) 나라 공왕(共王) 때의 대부. 활솜씨가 매우 뛰어나 백 보(步) 밖에서 버드나무 잎을 쏘아 백발백중하였다 하며, 공왕이 죽은 후 오(吳) 나라가 침략하자 용포(庸浦)에서 크게 물리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양유년(梁有年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문신. 형과 도급사(刑科都給事) 등을 지냈으며, 1606년(조선 선조 39)에 주지번(朱之蕃)과 함께 황제의 원손(元孫) 탄생을 알리는 조서를 가지고 조선에 사신으로 옴. 돌아갈 때 허난설헌(許蘭雪軒)의 《난설헌집(蘭雪軒集)》을 가지고 가서 명에서 간행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양유예(梁有譽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문인. 형부 주사(刑部主事) 등을 지냈으며, 전칠자(前七子)의 복고설(復古說)을 계승하여 왕세정(王世貞)ㆍ이반룡(李攀龍) 등과 시사(詩社)를 결성하고 고문사설(古文辭說)을 제창하여 후칠자로 불림.
1520~1555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양윤정(梁允精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. 삭녕 군수(朔寧郡守) 양치(梁治)의 아들로, 곡산 군수(谷山郡守) 등을 지냄.
1494~155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양융(楊戎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인. 검교 공부상서(檢校工部尙書) 양경지(楊敬之)의 아들로, 아우인 양대(楊戴)와 같은 날 함께 과거에 급제하였으며, 부자(父子) 3인이 함께 문명(文名)을 떨침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양을나(良乙那)
탐라(耽羅) 개국설화에 나오는 전설적 신인(神人). 고을나(高乙那)ㆍ부을나(夫乙那)와 함께 한라산 기슭의 모흥혈(毛興穴)에서 솟아나왔으며, 탁라국(乇羅國)의 개국왕이 되었다 함. 우리나라 양씨(梁氏)의 도시조(都始祖).
고대 , 전라도>제주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ㅣ인명>왕실>국왕
-
양응기(梁應箕)
조선 중중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제주(濟州). 학포(學圃) 양팽손(梁彭孫)의 장자(長子)로, 병절교위(秉節校尉)를 지냈음.
1506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능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양응덕(梁應德)
조선 중중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제주(濟州)로, 학포(學圃) 양팽손(梁彭孫)의 아들.
1523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능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양응정(梁應鼎)
조선 중중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문인. 본관은 제주(濟州)로, 학포(學圃) 양팽손(梁彭孫)의 아들. 시문(詩文)에 뛰어나 선조 때 팔대문장가(八大文章家)의 한 사람으로 뽑힘.
1519~1581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능성ㅣ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양응태(梁應台)
조선 중중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제주(濟州). 학포(學圃) 양팽손(梁彭孫)의 둘째 아들로, 예조 참의(禮曹參議)를 지냈음.
1517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능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양응필(梁應畢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제주(濟州)로, 학포(學圃) 양팽손(梁彭孫)의 아들. 건원릉 참봉((健元陵參奉)을 제수받았으나 출사하지 않고, 경학(經學)에 몰두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능성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