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양응훈(楊應勳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무신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요동광녕진수총병관(遼東廣寧鎭守總兵官)의 직책을 맡아 조선에 1차로 파병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양의(梁艤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. 1544년(중종39) 별시(別試)에 급제하여 원주 목사(原州牧使) 등을 지냈으며, 홍섬(洪暹)의 《인재집(忍齋集)》에 만시(挽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양의(楊誼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십정헌(十淸軒) 김세필(金世弼)의 사위. 1531년(중종 26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양이정(楊履正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으로, 복건성(福建省) 천주(泉州) 사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양이하(梁以河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제주(濟州). 양담(梁湛)의 아들이며, 학포(學圃) 양팽손(梁彭孫)의 아버지. 능성(綾城)에 살 때 흥학육영(興學育英)에 힘쓰고, 문자수(文自修)ㆍ민회삼(閔懷參) 등과 함께 읍규(邑規) 등을 재정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능성 , 인명>문사>유학
-
양자강(揚子江)
중국 대륙 서쪽에서 동쪽으로 중앙부를 횡단하는 중국에서 가장 긴 강. 청해성(靑海省) 서부에서 발원하여 깊은 협곡을 이루며 흘러 장강(長江)이라고도 부름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양자순(楊子淳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동지돈녕부사(同知敦寧府事) 양후(楊厚)의 아들이며, 교리(校理)를 지낸 양면(楊沔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양자징(梁子澂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제주(濟州). 양산보(梁山甫)의 아들이며, 김인후(金麟厚)의 사위이자 문인(門人)으로, 석성 현감(石城縣監) 등을 지내고, 필암서원(筆巖書院)에 제향됨.
1523~159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양잠경험촬요(養蠶經驗撮要)
중국 원(元) 나라의 《농상집요(農桑輯要)》에서 양잠에 관한 부분을 번역한 책. 1책. 1415년(태종 15) 태종(太宗)의 명으로 우대언(右大言) 한상덕(韓尙德)이 이두로 번역하고, 경상도 관찰사 안등(安騰)이 주선하여 간행함.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우리나라의 농서.
141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문헌>서명
-
양정(兩程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정호(程顥)와 정이(程頤) 형제를 함께 부르는 말. 송 나라 이학(理學)을 제창한 두 학자를 일컬음.
중국>송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양제(梁悌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제주(濟州)로, 학포(學圃) 양팽손(梁彭孫)의 고조(高祖). 판서운관사(判書雲觀事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제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양제(煬帝)
중국 수(隋) 나라의 제2대 황제. 재위 604~618. 문제(文帝)의 둘째 아들로 형과 아버지를 살해하고 즉위함. 만리장성을 수축하고, 고구려를 침공했다가 대패함.
569~618 중국>수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양조(楊照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 때의 무신. 요동총병관(遼東總兵官) 등을 지내고, 달자(韃子)와 싸우다 전사했는데, 허봉(許篈)의 《조천기(朝天記)》에 그 전말이 자세함.
1524~1563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양주(揚州)
중국 강소성(江蘇省)의 중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오대십국 중 오(吳) 나라의 수도였으며, 양자강(揚子江) 서쪽 기슭에 있어 수륙 교통이 편리함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양주(楊州)
경기도 중앙에 위치한 고을 이름. 조선 세조(世祖) 때 목(牧)으로 승격됨.
경기도>양주 , 지명>행정지명
-
양주(楊朱)
중국 춘추전국시대 위(魏) 나라 초기의 도가 철학자. 이기적인 쾌락설을 주장하여 맹자가 이단성(異端性)을 지적함.
B.C.440~B.C.360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양주(襄州)
강원도 양양(襄陽) 일대에 속하는 옛 고을 이름.
강원도>양양 , 지명>자연지명
-
양주사(凉州詞)
중국 당(唐) 나라 중종(中宗)~현종(玄宗) 때의 시인인 왕한(王瀚)의 시. 악부(樂府) 곡명으로 전쟁에 나간 군인들의 고통과 변경을 지키는 사람들의 고생을 노래하였으며, 명(明) 나라의 왕세정(王世貞)이 극찬함.
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양주조씨(楊州趙氏)
고려시대의 호장(戶長)인 조잠(趙岑)을 시조로 하는 성씨.
한국>고려시대 , 경기도>양주 , 인명>집단>성씨
-
양준(梁遵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제주(濟州). 양석재(梁碩材)ㆍ양동재(梁棟材) 형제의 아버지로, 좌부승지(左副承旨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제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