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양준(楊浚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학자. 점필재(佔畢齋)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(門人)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학자
-
양준(楊駿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무제(武帝)의 장인이며, 무도양황후(武悼楊皇后)의 아버지. 무제가 죽고 혜제(惠帝)가 즉위하자, 국정을 도맡아서 자기의 친당(親黨)만을 등용하여 정권을 전횡하다가, 가후(賈后)에게 미움을 받아 삼족(三族)이 멸하게 됨.
?~291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인척
-
양중(羊仲)
중국 전한(前漢)의 은사(隱士). 장후(蔣詡)가 두릉(杜陵)에 은거할 때, 집 앞 대나무밭 사이로 외부와 통하는 세 갈래의 오솔길을 만들어 놓고, 오직 양중ㆍ구중(求仲) 두 사람과 교류하였다고 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양즙(楊楫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으로, 강서운판(江西運判) 등을 지냄. 양방(楊方)ㆍ양간(楊簡)과 함께 삼양(三楊)으로 불림. 저서에 《열당문집(悅堂文集)》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양지(陽智)
경기도 중남부에 위치했던 고을 이름. 현재 경기도 용인시(龍仁市) 일대를 가리키며, 조선 태종(太宗) 때 치소를 광주(廣州) 추계향(秋溪鄕)에 두고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이관함.
경기도>양지ㅣ경기도>광주 , 지명>행정지명
-
양지손(梁芝孫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으로, 1483년(성종 14) 춘당대시(春塘臺試)에 급제하여 예조 참의(禮曹參議)를 지냄. 정수강(丁壽崗)의 《월헌집(月軒集)》에 차운시(次韻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양진(楊震)
중국 후한(後漢) 안제(安帝) 때의 문신. 아들 양병(楊秉), 손자 양사(楊賜), 증손자 양표(楊彪) 등 4세(世)에 걸쳐 태위(太尉)가 배출된 집안으로 유명함.
54~124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양찬(梁瓚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무신. 본관은 남원(南原). 공조 판서(工曹判書)를 지낸 양구주(梁九疇)의 손자이며, 남원군(南原君) 양성지(梁誠之)의 아들. 동부승지(同副承旨)ㆍ영해 부사(寧海府使) 등을 지냄.
1443~149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무신
-
양찬(梁讚)
고려 원종(元宗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제주(濟州)로, 학포(學圃) 양팽손(梁彭孫)의 8대조. 한림원 학사(翰林院學士)를 거쳐 좌부 상서(左部尙書)ㆍ찬성사(贊成事)에 오름.
1253~1317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제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양천(陽川)
경기 서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. 현재의 서울시 양천구(陽川區) 가양동(加陽洞) 일대를 말하며, 개화산(開花山)에는 봉수(烽燧)가 있었음.
경기도>양천 , 지명>행정지명
-
양천룡(梁天龍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으로, 집현전 대제학(集賢殿大提學) 양우(梁祐)의 아들. 공양왕 때 문하시중(門下侍中)에 올랐으나, 고려의 국운이 기울자 남원에 은거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양천허씨(陽川許氏)
고려 태조(太祖) 때 공암촌주(孔巖村主)를 받은 허선문(許宣文)을 시조로 하는 성씨. 원래 수로왕(首露王)의 후예이나, 이때 이르러 양천을 관향(貫鄕)으로 삼음.
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집단>성씨
-
양철견(梁鐵堅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. 수의부위(修義副尉) 양옥정(梁玉精)의 아들로, 1515년(중종 10) 알성시(謁聖試)에 급제하여 현감(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양촌집(陽村集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권근(權近)의 시문집. 40권 10책. 목판본. 초간본은 세종(世宗) 초년에 아들 권도(權蹈)가 편찬하였으나 간행자와 간행연대는 불분명함. 〈응제시(應制詩)〉ㆍ〈동국사략론(東國史略論)〉ㆍ〈동현사략(東賢事略)〉 등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양충(梁沖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남원(南原). 양희부(梁希傅)의 아버지로, 돈용교위(敦勇校尉)에 이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무신
-
양충(楊忠)
중국 남북조시대 서위(西魏)와 북주(北周)의 장군. 12대장군(十二大將軍)의 한 사람이며, 수(隋) 나라 문제(文帝)의 아버지로, 무원황제(武元皇帝)로 추존됨.
507~568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서애(徐愛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왕수인(王守仁)의 매부(妹夫)로, 남경공부낭중(南京工部郞中) 등을 지내고, 《전습록(傳習錄)》을 편찬함.
1487~1517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서애집(西厓集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유성룡(柳成龍)의 문집. 1633년(인조 11) 합천 군수(陜川郡守)로 있던 아들 유진(柳袗)이 해인사(海印寺)에서 판각, 인쇄하여 원집(原集) 20권, 별집(別集) 4권의 목판본으로 간행함.
163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합천 , 문헌>서명
-
서엄(徐崦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박학다식하고 문장에 능하였으며, 성균관 사예(成均館司藝) 등을 역임함.
1529~157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대구 , 인명>관인>문신
-
서연강의(書筵講義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인 이정귀(李廷龜)가 지은 책. 《서경(書經)》ㆍ《논어(論語)》ㆍ《맹자(孟子)》 등의 일부 구절에 대해 세자에게 강의한 내용으로 이루어짐. 1권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