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서예원(徐禮元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이천(利川). 김해 부사(金海府使)를 지내고 진주 목사(晉州牧使)로 있다가 왜적(倭敵)이 침입(侵入)하여 성(城)이 함락되면서 순절(殉節)함.
?~1593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이천 , 인명>관인>무신
-
서오릉(西五陵)
경기도 고양시(高陽市) 용두동(龍頭洞)에 있는 경릉(敬陵)ㆍ창릉(昌陵)ㆍ익릉(翼陵)ㆍ명릉(明陵)ㆍ홍릉(弘陵)의 다섯 능(陵).
한국>조선시대 , 경기도>고양 , 유적>시설>능묘
-
서왕모(西王母)
중국 고대 전설상의 선녀. 《산해경(山海經)》에서는 곤륜산(崑崙山)에 사는, 사람 얼굴에 표범 꼬리와 호랑이 이빨을 가진 신인(神人)이라고 하였으나, 일반적으로 불사약(不死藥)을 가지고 있는 선녀로 전해짐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서우(徐祐)
중국 명(明) 나라의 유학. 우리 나라에 표류해 왔는데 김인후(金麟厚)가 그에 관해 지은 시가 《하서집(河西集)》에 실려 있음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유학
-
서우량(徐友諒)
조선 전기의 유학. 노수신(盧守愼)과 친분이 있어, 민성(閔誠)과 함께 자(字)를 지어줄 것을 청함. 노수신이 보낸 시들이 《소재집(穌齋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서원(徐遠)
고려 충목왕(忠穆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이천(利川). 판한성부사(判漢城府事) 서선(徐選)의 아버지로, 죽주(竹州)의 수령을 지냄.
1311~1372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이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서원빙(徐元聘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어릴 적 친구로, 그와 이동기이(理同氣異)에 관해 논변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서위(西魏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에 선비족(鮮卑族) 출신의 우문태(宇文泰)가 북위(北魏)의 종실을 받들어 세운 왕조. 3대 22년간 존속.
535~556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시간>국명
-
서유(徐愈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이방원(李芳遠)이 왕위에 오르는 데 기여한 공으로 태종 때에 익대좌명공신(翊戴佐命功臣)에 책록됨.
1356~1411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이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서유체(徐庾體)
중국 남북조시대 양(梁) 나라의 동궁(東宮)에서 관직을 맡았던 유견오(庾肩吾)ㆍ유신(庾信) 부자와 서추(徐推)ㆍ서능(徐陵) 부자가 즐겨 짓던 화려한 궁체시(宮體詩)의 문체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사상>기법>방법
-
서은집(西隱集)
중국 명(明) 나라 태조(太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눌(宋訥)의 문집. 상해령(上海令) 왕숭지(王崇之)에 의해 편찬됨. 10권.
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서읍령(西泣嶺)
경상도 영해(寧海)의 동쪽 40리 지점에 있는 고개 이름. 고을의 입구였으나 사신의 행차가 처음으로 고개를 넘을 때 흉사가 일어난다는 속설이 있자, 경상 감사(慶尙監事) 손순효(孫舜孝)가 그 괴이함을 깨뜨리고자 파괴현(破怪峴)이라고 고침.
경상도>영해 , 지명>자연지명
-
서응(徐凝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. 백거이(白居易)ㆍ한유(韓愈)와 교유하였으며, 그의 시(詩) 〈여산폭포(廬山瀑布)〉가 백거이의 작품으로 잘못 알려져 악평을 받는 곤욕을 치름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서응기(徐應麒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당성(唐城). 화담(花潭) 서경덕(徐敬德)의 아들로, 장례원 사의(掌隸院司議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서응회(徐應會)
조선 전기의 유학. 권호문(權好文)이 지은 〈차기서동년(次寄徐同年)〉이라는 시가 《송암집(松巖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서의(徐誼)
중국 송(宋) 효종(孝宗)~영종(寧宗) 때의 문신. 보모각 대제(寶謨閣待制) 등을 지냈으며, 지임안부사(知臨安府事)로 있을 때 조여우(趙汝愚)가 정승에서 파직되자 항론(抗論)하여 유임하게 함.
1144~1208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서의(書儀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사마광(司馬光)이 지은 예서(禮書). 10권. 고례(古禮)에 근본하고 당시에 행할 만한 것을 참작하여 만든 책으로, 주희(朱熹)가 지은 《가례(家禮)》의 저본(底本)이 됨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서익(徐益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문장과 도덕 등이 뛰어나 이이(李珥)ㆍ정철(鄭澈)로부터 지우(志友)로 인정받았으며, 의주 목사(義州牧使)를 지낼 때 탄핵당한 이이를 변호하다가 파직됨.
1542~158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익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서인원(徐仁元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이천(利川). 진주 목사(晉州牧使) 서예원(徐禮元)의 형으로, 학행(學行)이 빼어나고 강원도 관찰사(江原道觀察使) 등을 지냄.
1544~?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춘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서일관(徐一貫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무신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사용재(謝用梓)와 함께 왜군(倭軍)에 파견되어, 잡혀 있던 왕자 임해군(臨海君)ㆍ순화군(順和君) 등과 함께 돌아옴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