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서자적(徐自適)
조선 전기의 유학. 모재(慕齋) 김안국(金安國)이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파직된 후 명승지를 유람할 때 종유(從遊)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서자통(徐自通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군수(郡守) 등을 지냈으며, 김안국(金安國)의 《모재집(慕齋集)》에 그에게 보낸 시(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서적(徐積)
중국 송(宋) 나라 영종(英宗)~철종(哲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안정(安定) 호원(胡瑗)의 제자로, 선덕랑(宣德郞) 등을 지냄. 지극한 효성으로 유명하였으며, 저서에 《절효집(節孝集)》 등이 있음.
1028~110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서정(徐靖)
고려 문종(文宗)~선종(宣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이천(利川). 판장작감사(判將作監事) 서균(徐鈞)의 아버지로, 상서좌복야(尙書左僕射)에 이름.
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이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서정경(徐禎卿)
중국 명(明) 나라 효종(孝宗)~무종(武宗) 때의 문인. 한위(漢魏)와 성당(盛唐)의 시풍을 이어 고아(古雅)한 풍격의 시를 지음. 명 나라 전칠자(前七子) 중의 한 사람.
1479~1511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서정기(西征記)
중국 송(宋) 나라 철종(哲宗) 때의 문인인 노양(盧襄)이 지은 책. 1권. 노양(盧襄)이 춘시(春試)에 임했을 때의 기행문(紀行文)으로, 시가(詩歌)와 사(詞) 등이 실려 있음.
1100 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서정록(西征錄)@김기종
조선 후기의 문신인 김기종(金起宗)이 인조(仁祖) 때 일어난 이괄(李适)의 난(亂)의 평정(平定) 과정을 기록한 책.
1624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서정록(西征錄)@이순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순(李純)이 편찬한 역사서. 1432년(세종 14)에서 1437년까지 조선의 서북쪽 국경 압록강(鴨綠江) 유역의 대 여진(對女眞) 관계 사실(史實)을 연대순으로 기록함.
1516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서존(徐存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구산(龜山) 양시(楊時)의 제자로, 벼슬하지 않고 은거하며 경학(經學)을 가르쳤는데, 따르는 학도(學徒)가 천여 명이었다고 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서주(徐州)
중국 강소성(江蘇省) 북서부에 있는 도시. 《서경(書經)》 〈우공(禹貢〉에서 열거한 구주(九州)의 하나로, 초(楚) 나라의 항우(項羽)가 도읍했던 곳이며, 군사상ㆍ교통상의 요지(要地)임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서중행(徐中行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ㆍ문인. 복건 부사(福建副使)ㆍ강서 포정사(江西布政使)를 지냈으며, 전칠자(前七子)의 복고설(復古說)을 계승하여 왕세정(王世貞)ㆍ이반룡(李攀龍) 등과 시사(詩社)를 결성하고 고문사설(古文辭說)을 제창하여 후칠자로 불림.
1517~1578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서지(徐祉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宗中) 때의 문신. 공조 판서(工曹判書)ㆍ함경도 관찰사(咸鏡道觀察使)를 역임하였으며, 김안로(金安老)가 처형될 때 함께 사사됨.
1468~1537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이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서천(舒川)
충청남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지금의 서천군(舒川郡)은 조선시대의 서천ㆍ한산(韓山)ㆍ비인(庇仁)의 세 고을이 합하여 이루어짐.
충청도>서천 , 지명>행정지명
-
서천왕(西川王)
고구려의 제13대 왕. 재위 270~292. 중천왕(中川王)의 둘째 아들로, 숙신(肅愼)이 침략하자 격퇴하고 단로성(檀盧城) 등 여러 성을 빼앗았으며, 동생 일우(逸友)ㆍ소발(素勃) 등이 반란을 도모하자 주살함.
?~292 한국>고구려 , 인명>왕실>국왕
-
서천집(西川集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인 어세겸(魚世謙)의 문집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서초(西楚)
중국 진(秦) 나라 말에 항우(項羽)가 세운 나라. B.C.206년에 항우가 진(秦)의 마지막 왕인 자영(子嬰)을 죽인 후 스스로 서초패왕(西楚霸王)이 되어 팽성(彭城)에 도읍하였으나, 몇 개월 만에 유방(劉邦)의 한(漢) 나라에게 망함.
B.C.206 중국>전한 , 중국 , 시간>국명
-
서초리(瑞草里)
서울 서초(瑞草)에 있던 옛 고을 이름. 조선 태조(太祖) 때 왕씨(王氏)들의 집단 거주지로 삼았던 지역으로, 조선 말까지 경기도 과천(果川)에 속하였음.
경기도>과천 , 지명>행정지명
-
서추(徐推)
중국 남북조시대 양(梁) 나라의 문신ㆍ시인. 동궁(東宮)에서 관직을 함께 했던 아들 서능(徐陵), 유견오(庾肩吾)ㆍ유신(庾信) 부자와 함께 화려한 궁체시(宮體詩)를 즐겨 지어 서유체(徐庾體)라 칭해짐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서취병산(西翠屛山)
경상북도 안동(安東)에 있는 산 이름. 도산(陶山)의 오른쪽에 있는 영지산(靈芝山)의 지류이며, 도산 왼쪽에는 청량산(淸涼山)의 지류인 동취병산(東翠屛山)이 있음.
경상도>안동 , 지명>자연지명
-
서치(徐穉)
중국 후한(後漢) 환제(桓帝) 때의 고사(高士). 예장 태수(豫章太守) 진번(陳蕃)이 빈객을 접대하는 일이 없었으나, 오직 그를 위해 하나의 의자를 마련하여 그가 오면 내어놓고 떠난 후에 다시 걸어두었다는 고사로 유명함.
97~168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