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서환(徐煥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(門人)으로, 주희와 편지를 주고받으며 학문을 논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서후(徐厚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달성(達城). 학문이 뛰어나 조광조(趙光祖)와 함께 사유(師儒)에 뽑히기도 하였으나 조광조를 비판하여 사림(士林)의 원망을 받음. 군무(軍務)에 큰 관심을 기울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서흥(瑞興)
황해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. 교통상의 요지이며, 고려 원종(元宗) 때 임금의 태(胎)를 이곳에 묻음.
황해도>서흥 , 지명>행정지명
-
석^노(釋^老)
인도(印度)에서 활동한 불교(佛敎)의 창시자인 석가(釋迦)와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이자 도교(道敎)의 창시자인 노자(老子)를 함께 부르는 말. 흔히 불교와 도교를 가리키며, 유교적 관점에서는 대표적인 이단(異端)을 뜻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기타지역ㅣ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석가(釋迦)
B.C.6~B.C.4세기경 인도(印度)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. 정반왕(淨飯王)의 아들로,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.
B.C.563?~B.C.483? 고대 , 기타지역 , 인명>기타인명>성현ㅣ인명>왕실>왕자
-
석가산(石假山)
정원 등을 꾸미기 위해 돌과 흙을 쌓아 인공적으로 만든 산 모양의 조경물(造景物). 도교의 신선(神仙) 사상에 근거를 두며, 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부터 본격적으로 수용됨.
유적>시설>기타시설
-
석간대(石磵臺)
경상북도 안동(安東)의 낙동강 가에 있는 언덕 이름. 이황(李滉)이 제자 이정(李楨)과 작별하면서 읊은 당시(唐詩)가 바위에 새겨져 있음.
경상도>안동 , 지명>자연지명
-
석개(石介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부모상을 당하여 조래산(徂徠山)에서 농사를 짓고, 후에 국자감 직장(國子監直長) 등을 지냄. 《괴설중국론(怪說中國論)》을 지어 불가(佛家)와 노가(老家)의 설을 비판함.
1003~104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석건(石建)
중국 한(漢) 경제(景帝)~무제(武帝) 때의 문신. 만석군(萬石君) 석분(石奮)의 맏아들로, 낭중령(郞中令) 등을 지냈으며, 효성이 지극하여 석분이 죽은 뒤 애통해하다가 1년여 만에 죽음.
?~B.C.123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석곡집(石谷集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인인 성팽년(成彭年)의 문집. 1804년(순조 4)에 구연서원(龜淵書院)에서 간행됨. 2권 2책.
180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음 , 문헌>서명
-
석골사(石骨寺)
경상남도 밀양(密陽) 운문산(雲門山)에 위치한 사찰. 560년(진흥왕 12) 비허(備虛)가 창건함. 또는 773년(혜공왕 9) 법조(法照)가 창건했다고도 함. 고려 건국에 도움을 주어 고려시대에 크게 발전함.
560 한국>신라 , 경상도>밀양 , 유적>건물>사찰
-
석굉(釋宏)
고려 후기의 승려. 대숭은복원사(大崇恩福元寺) 제1대 주지인 해원(海圓)의 스승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김제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석담(石潭)
황해도 해주(海州) 중앙부에 있는 명승지. 경치가 매우 뛰어나며, 이이(李珥)가 이곳을 배경으로 〈고산구곡가(高山九曲歌)〉를 지은 이후로 더욱 유명해짐. 지금의 황해남도 벽성군(碧城郡)에 속함.
황해도>해주 , 지명>자연지명
-
석담야사(石潭野史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민기(閔箕)가 지은 책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석담일기(石潭日記)
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 이이(李珥)가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연간 17년 간의 중요한 시사(時事)를 일기체(日記體) 형식으로 기록한 책.
1565~1581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문헌>서명
-
석당유고(石堂遺稿)
조선 정조(正祖) 때의 문신인 김상정(金相定)의 문집. 아들 김기응(金箕應)이 1804년(순조 4) 6권 3책 목판으로 발간함.
1804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석돈(石𡼖)
중국 송(宋) 나라 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주희(朱熹)와 종유(從遊)하며 이학(理學)을 공부하였으며, 지남강군사(知南康軍事) 등을 지냄.
1128~118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석동서원(石洞書院)
중국 송(宋) 나라 고종(高宗) 때 절강성(浙江省)의 곽택진(郭宅鎭) 석동촌(石洞村)에 건립한 서원. 학자 요로(饒魯)가 강학하던 곳임.
1148 중국>송 , 중국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석루유고(石樓遺稿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인 이경전(李慶全)의 문집. 1659년(효종 10) 담양 부사(潭陽府使)로 있던 아들 이무(李袤)가 4권 4책의 목판으로 간행함.
1659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담양 , 문헌>서명
-
석린(石隣)
고려 의종(毅宗)~명종(明宗) 때의 무신. 정중부(鄭仲夫)의 난 때 이의방(李義方)에게 가담하고, 조위총(趙位寵)의 난에 공을 세워 상장군(上將軍)이 됨. 1187년 조원정(曺元正)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죽임을 당함.
?~1187 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무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