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석림시화(石林詩話)
중국 송(宋) 나라 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섭몽득(葉夢得)이 지은 시화집. 1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석마봉(石馬峯)
강원도 금강산(金剛山)에 있는 봉우리 이름. 유몽인(柳夢寅)의 《어우집(於于集)》에 실려 있는 〈증장안사주지현수서(贈長安寺住持玄修序)〉에 나옴.
강원도>통천ㅣ강원도>고성 , 지명>자연지명
-
석목(析木)
별자리 분야(分野)인 십이성차(十二星次)의 하나. 십이진(十二辰)에 있어서는 동쪽인 인(寅), 이십팔수(二十八宿)에 있어서는 미수(尾宿)와 기수(箕宿)에 해당함. 우리나라는 중국의 연(燕) 나라 즉 유주(幽州)와 함께 이 위치에 해당함.
자연물>천체
-
석문집(石門集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인 윤봉오(尹鳳五)의 문집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석병집(石屛集)
중국 송(宋) 나라 이종(理宗) 때의 시인인 대복고(戴復古)의 문집. 6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석분(石奮)
중국 한(漢) 고조(高祖)~경제(景帝) 때의 대부. 관직이 구경(九卿)에 이르렀으며, 그와 네 아들이 모두 현달(顯達)하여 받는 녹이 1만 석이나 되었으므로 만석군(萬石君)이라 일컬어짐.
?~B.C.124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석사론(釋私論)
중국 삼국시대 위(魏) 나라의 문신ㆍ시인인 혜강(嵆康)이 지은 산문. 공변됨을 숭상하고 세속적인 것을 배격하며, 사사로움을 누르고 주인을 섬겨야 함을 역설함.
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석성(石星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문신. 병부 상서(兵部尙書)로서 임진왜란 때 신점(申點)의 간청으로 원군을 조선에 파병하였고, 심유경(沈惟敬)과 화의를 적극 지지했다가 화의의 실패로 체포되어 옥사함.
?~1597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석수탄(石首灘)
충청남도 공주(公州)에 있는 금강(錦江) 상류의 여울 이름. 고려의 정언(正言) 이존오(李存吾)가 관직에서 물러난 후 거주한 곳임.
충청도>공주 , 지명>자연지명
-
석숭(石崇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부호(富豪). 형주 자사(荊州刺史) 등을 지냈으나, 팔왕(八王)의 난(亂) 때 조왕(趙王) 사마륜(司馬倫)에게 살해됨.
249~300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석실서원(石室書院)
조선 효종(孝宗) 때 경기도 양주(楊州)에 건립한 서원. 1663년(현종 4)에 사액되었으며, 김상용(金尙容)ㆍ김상헌(金尙憲)ㆍ김수항(金壽恒)ㆍ민정중(閔鼎重)ㆍ이단상(李端相)ㆍ김창협(金昌協) 등을 배향함. 현재 경기도 남양주에 속함.
1656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양주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석실소은집(石室小隱集)
중국 송(宋) 나라의 은자인 육유지(陸維之)가 지은 책. 30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석여언(席汝言)
중국 송(宋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문신. 1082년 77세 되던 해에 사마광(司馬光)ㆍ부필(富弼)ㆍ문언박(文彦博) 등과 함께 낙양 기영회(洛陽耆英會)를 조직하여 시를 읊음.
1006~?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석연년(石延年)
중국 송(宋) 진종(眞宗) 때의 문신ㆍ문인. 기상과 절개에 심취하여 세상사에 등한하였으며, 문필이 강건하고 시에 능하여 소순흠(蘇舜欽)ㆍ매요신(梅堯臣) 등과 함께 이름을 떨침.
994~104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석응봉(石鷹峯)
강원도 금강산(金剛山)에 있는 봉우리 이름. 양대박(梁大樸)의 《청계집(靑溪集)》, 이정귀(李廷龜)의《월사집(月沙集)》, 노경임(盧景任)의 《경암집(敬菴集)》 등에 있는 금강산(金剛山) 기행문에 나옴.
강원도>통천ㅣ강원도>고성 , 지명>자연지명
-
석인(釋印)
조선 전기의 승려. 서거정(徐居正)의 《사가집(四佳集)》에 그에 대해 쓴 시(詩)의 서(序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석전삼성(石田三成)
일본 도산시대(桃山時代)의 장군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서울 점령 소식을 들은 풍신수길(豊臣秀吉)이 명(明) 나라의 후원을 염려하여 파견한 소위 '삼봉행(三奉行)' 중의 한 사람.
1560~1600 일본>도산시대 , 일본 , 인명>관인>무신
-
석전유고(石田遺稿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인인 성로(成輅)의 문집. 2권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석주집(石洲集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인인 권필(權韠)의 문집. 1632년(인조 10) 전주 부윤(全州府尹)으로 있던 홍보(洪𩇉)에 의해 간행됨.
1632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문헌>서명
-
석죽화(石竹花)
패랭이꽃. 바위에서 자란 대나무 꽃이란 의미로, 어떤 장사(壯士)가 석령(石靈)을 물리치기 위해 바위에 쏜 화살이 이 꽃으로 피어났다는 전설이 있음. 6~8월에 진분홍색 꽃이 가지 끝에 하나씩 피고 열매는 삭과(蒴果)를 맺음. 《동문선(東文選)》에 실린 정습명(鄭襲明)의 시가 유명함.
자연물>식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