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석탄집(石灘集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인 이존오(李存吾)의 시문집. 2권 1책. 목판본. 10대손 이유경(李裕慶)이 유고를 수집, 편차하여 당제(堂弟) 이행철(李行喆)ㆍ이행백(李行百)의 도움을 받아 1726년(영조 2) 울진(蔚珍)에서 간행함.
1726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울진 , 문헌>서명
-
석허중(石虛中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일손(金馹孫)이 붓을 의인화하여 지은 〈관처사묘지명(管處士墓誌銘)〉에 나오는 벼루의 의인화된 명칭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석현(石顯)
중국 전한(前漢) 선제(宣帝)~원제(元帝) 때의 환관. 선제 때 환관의 전횡을 막아 제도를 개혁하려고 했던 소망지(蕭望之)를 홍공(弘恭)과 함께 참소하여 죽게 하고, 원제 때에는 정사 일체를 위임받아 전횡을 일삼음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환관
-
석호집(石浩集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시인인 범성대(范成大)의 문집. 중흥사대시인(中興四大詩人)으로 일컬어진 범성대의 시문이 수록됨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석홍경(石洪慶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(門人)으로, 성품이 강직(剛直)하고 방정(方正)하였음.
?~1196?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선(蟬)
매미. 옛날 제(齊) 나라의 왕후가 억울하게 죽은 뒤에 매미로 변해서 궁정 앞의 나무에 올라 애달프게 울었다는 전설에서 기인하여, 후비(后妃)나 궁녀(宮女)의 비원(悲怨)을 상징함. 이규보(李奎報)가 지은 〈영선(詠蟬)〉이 《동국이상국집(東國李相國集)》에 실려 있음.
자연물>동물
-
선^정(宣^靖)
조선 제9대 성종(成宗)의 능호(陵號)인 선릉(宣陵)과 제11대 중종(中宗)의 능호인 정릉(靖陵)을 함께 부르는 말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선각암(禪覺菴)
경기도 과천(果川) 관악산(冠嶽山)에 있던 암자. 고려 후기의 승려 징천(澄泉)이 거주했으며, 목은(牧隱) 이색(李穡)의 시에 보임.
경기도>과천 , 유적>건물>사찰
-
선감(宣鑑)
중국 당(唐) 나라의 선승(禪僧). 용담(龍潭) 숭신(崇信)의 제자.《금강경(金剛經)》에 정통하였으며 엄격한 수행으로 유명함. 제자를 가르칠 때 몽둥이를 잘 썼으므로 ‘임제(臨濟)의 할(喝)’이라는 말이 생김.
782~865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선강대왕(宣康大王)
통일신라 제44대 민애왕(閔哀王)의 아버지. 민애왕 즉위 후 선강대왕(宣康大王)에 봉해짐. 상대등(上大等)을 지냄.
?~835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종친ㅣ인명>왕실>국왕
-
선거이(宣居怡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보성(寶城). 도사(都事)를 지낸 선상(宣祥)의 아들로, 이순신(李舜臣)과 녹둔도(鹿屯島)에서 여진족(女眞族)을 막아 공을 세웠고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도 이순신과 함께 해전(海戰)에서 큰 공을 세움.
1550~1598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보성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선공(宣公)@춘추전국(陳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陳) 나라의 왕. 재위 B.C.692~B.C.648. 환공(桓公)의 아들이자 장공(莊公)의 아우이며 목공(穆公)의 아버지. 총희(寵姬)가 낳은 아들 관(款)을 왕으로 세우기 위해 태자(太子)인 어구(禦寇)를 죽임.
?~B.C.648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선공(宣公)@춘추전국(衛)
중국 춘추전국시대 위(衛) 나라 제후. 재위 B.C.718~B.C.700. 장공(莊公)의 아들이며 혜공(惠公)의 아버지. 며느리를 부인으로 삼았으며, 이것을 비난한 내용이 《시경(詩經)》 〈국풍(國風)〉 중 패풍(邶風)에 나오는 ‘신대(新臺)’라는 시가에 실려 있음.
?~B.C.700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선공(宣公)@춘추전국(노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제후. 재위 B.C.608~B.C.591. 문공(文公)의 아들. 아내는 목강(繆姜).
?~B.C.591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선덕여왕(善德女王)
신라 제27대 왕. 재위 632~647. 진평왕(眞平王)의 딸. 선정(善政)을 베풀어 민생을 보살피고 당(唐) 나라의 문화와 불법(佛法)을 수입하였으며, 분황사(芬皇寺)ㆍ첨성대(瞻星臺)ㆍ황룡사구층목탑(皇龍寺九層木塔) 등을 건립함.
?~647 한국>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선덕왕(宣德王)
신라 제37대 국왕. 재위 780~785. 내물마립간(奈勿麻立干)의 10세손으로 해찬(海飡) 김효방(金孝芳)의 아들. 혜공왕(惠恭王) 때 김지정(金志貞)의 난을 진압하고 즉위하였으며, 어룡성(御龍省)을 개편하고 패강진(浿江鎭)을 개척함.
?~785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선림승보전(禪林僧寶傳)
중국 송(宋) 나라의 승려 혜홍(惠洪)의 저서. 30권. 당(唐)ㆍ송 나라 때 임제종(臨濟宗) 황룡파(黃龍派)에서 활약한 선사(禪師)들의 깨달음의 역사를 기록한 선종사서(禪宗史書)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선목공(單穆公)
중국 주(周) 경왕(景王) 때의 현대부(賢大夫). 선자(單子) 또는 선기(單旗)라고도 함.
중국>주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선무공신(宣武功臣)
조선 선조(宣祖) 37년에,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웠거나 명(明) 나라에 병량주청사신(兵糧奏請使臣)으로 가서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훈호(勳號). 세 등급으로 분류하여 이순신(李舜臣)ㆍ권율(權慄)ㆍ원균(元均) 등 총 18인에게 내림.
1604 한국>조선후기 , 법제>제도
-
선무영황후(宣武靈皇后)
중국 남북조시대 북위(北魏) 선무제(宣武帝)의 황후. 아들 효명제(孝明帝)를 독살하고 세 살인 원소(元釗)를 황제로 세운 뒤 섭정하였으나, 후에 계호(契胡)의 추장 이주영(爾朱榮)에 의해 원소와 함께 황하(黃河)에 수장됨.
?~528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