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선왕(宣王)@주
중국 주(周) 나라 제11대 왕. 재위 B.C.827~B.C.782. 여왕(厲王)이 쫓겨난 지 10여 년 후에 즉위함. 선대 여러 왕의 유업을 계승하여 제후들로부터 추대를 받고 중흥의 시기를 누리기도 하였으나, 만년에 정치를 게을리하여 국운이 쇠함.
?~B.C.782 중국>주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선우신(鮮于侁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~철종(哲宗) 때의 문신. 절동 전운사(浙東轉運使)로 떠날 때, 사마광(司馬光)이 동쪽 지역의 폐해를 구제하는 것은 선우신이 아니면 불가능하니 그야말로 일로(一路)의 복성(福星)이라고 말한 고사가 있음.
1019~108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선우윤(宣遇贇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보성(寶城). 통례문 통찬(通禮門通贊) 선상진(宣尙進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보성 , 인명>문사>유학
-
선우추(鮮于樞)
중국 원(元) 나라의 문신ㆍ서예가. 태상시 전부(太常寺典簿) 등을 지냈으며, 시문(詩文)과 서화(書畫)에 뛰어났는데, 특히 초서(草書)에 능하였음.
1246~1302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선유정(仙遊亭)
조선 전기에 경상도 안동(安東)에 건립된 정자. 학봉(鶴峯) 김성일(金誠一)의 아버지인 김진(金璡)이 약산(藥山)의 암동(巖洞)에 지은 것으로, 김성일 형제가 이곳에서 공부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유적>건물>누정
-
선윤지(宣允祉)
고려 우왕(禑王)~공양왕(恭讓王) 때의 문신. 중국 명(明) 나라 문연각 학사(文淵閣學士)를 지내다 고려에 귀화하여 보성선씨(寶城宣氏)의 시조가 되었으며, 조선 개국 후 은거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보성 , 인명>기타인명>귀화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선인사(仙人祠)
중국 사천성(四川省) 청성현(靑城縣)의 명학산(鳴鶴山)에 있던 포교 사당.
중국 , 유적>건물>사당
-
선인황후(宣仁皇后)
중국 송(宋) 나라 제5대 황제 영종(英宗)의 황후. 신종(神宗) 때에 황태후가 되었고, 철종(哲宗) 때에 태황태후가 되어서 조정의 실권을 장악하여 사마광(司馬光)을 재상으로 삼고 왕안석(王安石)을 배척하는 정책을 폄.
1032~109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
-
선정달(宣廷達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보성(寶城)으로, 죽천(竹川) 박광전(朴光前)의 문인(門人). 1564년(명종 19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1537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보성 , 인명>문사>유학
-
선제(宣帝)@남북조(북주)
중국 남북조시대 북주(北周)의 제4대 황제. 재위 578~579. 무제(武帝)의 맏아들이며 정제(靜帝)의 아버지. 포악하고 황음무도(荒淫無道)하여 국력의 쇠퇴를 초래함.
559~580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선제(宣帝)@전한
중국 한(漢) 나라 제9대 황제. 재위 B.C.74~B.C.49. 상평창(常平倉)을 설치하여 빈민구제를 도모하고, 대외적으로는 흉노(匈奴)를 격파하였음.
B.C.91~B.C.49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선제(宣帝)@남북조(晉)
중국 삼국시대 위(魏) 나라의 장군이며, 서진(西晉)의 추존 황제. 조조(曹操)에게 등용된 후 촉(蜀) 나라 제갈량(諸葛亮)의 북벌을 막고 공손연(公孫淵)을 요동(遼東)에서 토벌하는 등 공을 세웠으며, 진(晉) 나라 건국 후 황제로 추존됨.
179~251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왕실>국왕
-
선제(宣帝)@남북조(陳)
중국 남북조시대 진(陳) 나라의 제4대 황제. 재위 568~582. 후주(後主)의 아버지.
?~582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선조(宣祖)@송
중국 송(宋) 나라의 추존왕. 태조(太祖) 조광윤(趙匡胤)의 아버지로, 오대십국(五代十國) 때 왕경숭(王景崇)의 반란을 평정하고 검교사도(檢校司徒) 등을 지냈으며, 송 나라 초에 추존됨.
중국>오대십국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왕실>국왕
-
선조(宣祖)@조선
조선 제14대 왕. 재위 1567~1608. 중종(中宗)의 손자이며, 덕흥대원군(德興大院君)의 셋째 아들. 초기에는 이황(李滉)ㆍ이이(李珥) 등 많은 인재를 등용하여 국정 쇄신에 노력하였으나, 재위 기간의 대부분을 치열한 당쟁(黨爭)과 전란(戰亂) 속에서 보냄.
1552~160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선조실록(宣祖實錄)
조선 선조(宣祖)의 재위(在位) 41년간의 실록(實錄). 활자본. 221권. 1616년(광해군 8)에 기자헌(奇自獻) 등이 편찬하고 실록청(實錄廳)에서 간행함.
1616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문헌>서명
-
선종(宣宗)@당
중국 당(唐) 나라 제16대 황제. 재위 846~859. 제11대 헌종(憲宗)의 열네 번째 아들로, 환관 마원지(馬元贄) 등에 의해 황태숙(皇太叔)으로 옹립된 후 즉위하였으며, 토번(吐藩)에 빼앗겼던 영토를 회복하는 등 ‘작은 태종(小太宗)’으로 일컬어짐.
810~859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선종(宣宗)@명
중국 명(明) 나라 제5대 황제. 재위 1425~1435. 재위 기간 중 과거법(科擧法)을 고치고 군제(軍制)와 학제(學制)를 개혁하는 등 내치(內治)에 힘씀.
1398~1435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선종(宣宗)@고려
고려 제13대 왕. 재위 1083~1094. 문종(文宗)의 둘째 아들. 불교를 장려하여 승과(僧科)를 설치하고, 많은 사탑(寺塔)을 건립함.
1049~1094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선종(禪宗)
불교 종파의 가운데 참선수행을 중시하는 종파. 이심전심(以心傳心)ㆍ불립문자(不立文字)를 종지(宗旨)로 삼음. 우리나라에는 신라말에 들어와 고려시대 주요한 종파였으나, 조선시대 억불정책으로 1424년(세종 6)에 조계종(曹溪宗)ㆍ천태종(天台宗)ㆍ총남종(摠南宗)을 합쳐 선종이라고 부름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사상>이론>교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