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선종영가집언해(禪宗永嘉集諺解)
조선 세조(世祖) 때 중국 당(唐) 나라 영가대사(永嘉大師)의 《선종영가집(禪宗永嘉集)》을 언해한 책. 상하 2권. 세조가 직접 구결(口訣)을 달고, 승려 신미(信眉)와 효령대군(孝寧大君) 등이 번역하여 간경도감(刊經都監)에서 간행함.
146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문헌>서명
-
선죽교(善竹橋)
경기도 개성(開城) 선죽동(善竹洞)에 있는 돌다리 이름. 고려 태조(太祖) 때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며, 고려 말에 정몽주(鄭夢周)가 이방원(李芳遠)이 보낸 조영규(趙英珪) 등에 의해 피살된 장소로 유명함.
919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유적>시설>기타시설
-
선천(宣川)
평안북도 서남 해안에 있는 고을 이름. 고려 태조(太祖) 이후 북방의 요충지 중 하나로 강동육주(江東六州) 중 통주(通州)에 해당됨.
평안도>선천 , 지명>행정지명
-
선춘령(先春嶺)
함경도 두만강(豆滿江)의 북쪽 칠백 리 지점에 있는 고개. 1107년(예종 2)에 윤관(尹瓘)이 여진족(女眞族)을 내쫓고 9성(城)을 쌓은 뒤 이곳에 ‘고려지경(高麗之境)이라는 경계비(境界碑)를 세움.
함경도>회령 , 지명>자연지명
-
선형(宣炯)
조선 문종(文宗)~성종(成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보성(寶城). 이시애(李施愛)의 난(亂) 때 공을 세워 적개공신(敵愾功臣)에 책록되고 성종 때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야인(野人) 정벌에 공을 세움.
1434~1479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보성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설(契)
중국 은(殷) 나라의 시조로 전해지는 전설상의 인물. 우(禹)의 치수(治水)를 도운 공으로 상(商)에 봉해지고, 자씨(子氏) 성을 하사받음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설거(薛據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제자백가에서 추려 뽑아 《공자집어(孔子集語)》를 만들고, 또 고금을 통하여 국가의 정치ㆍ경제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추려서 《택규성감(宅揆成鑑)》을 만들어 조정에 올림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설거백(薛居伯)
신라 개국공신(開國功臣) 6부 촌장 중 한 사람. 경주(慶州)를 본관으로 하는 순창설씨(淳昌薛氏)의 시조. 신라 516년(법흥왕 3)에 무신공(武信公)으로 시호되고 무열왕(武烈王) 때 장무왕(壯武王)에 추봉됨.
한국>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
-
설거정(薛居正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칙명을 받들어 924년(태조 7)에 후량(後梁)ㆍ후당(後唐)ㆍ후진(後晉)ㆍ후한(後漢)ㆍ후주(後周) 등 다섯 왕조에 대한 사적을 기록한 《구오대사(舊五代史)》를 완성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설거주(薛居州)
중국 춘추전국시대 송(宋) 나라의 선사(善士). 송 나라의 대불승(戴不勝)이 왕을 바른길로 인도하고자 그를 왕의 측근에 둠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설경수(偰慶壽)
고려 말~조선 초의 문신ㆍ귀화인. 본관은 경주(慶州). 원래 회골(回鶻) 사람으로, 고려 때 아버지인 설손(偰孫)을 따라 귀화함. 송설체(松雪體)에 뛰어났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기타인명>귀화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설계선(薛季宣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심성의 수양보다는 국가정책, 국방, 재정, 민생의 안정 등 사회ㆍ정치적 문제를 주요 관심의 대상으로 하는 사공파(事功派)의 학자로서 《서고문훈(書古文訓)》을 저술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설계조(薛繼祖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무신. 상주 목사(尙州牧使)를 지낸 설순조(薛順祖)의 형. 세조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정난공신(靖難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안주 목사(安州牧使)ㆍ경상우도 수군 도안무처치사(慶尙右道水軍都安撫處置使) 등을 지냄.
?~146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창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설계창(薛季昶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. 측천무후(則天武后)의 잔당인 무삼사(武三思)를 죽일 것을 상서(上書)하였으며, 호부 시랑(戶部侍郞) 등을 역임함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설곡집(雪谷集)
고려 후기의 문신인 정포(鄭誧)의 문집. 아들 정추(鄭樞)가 전후 2권으로 편집하고, 1376년(우왕 2) 안동 도호부사(安東都護府使)인 이방한(李邦翰)이 2권 1책의 목판으로 간행함.
1376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문헌>서명
-
설공검(薛公儉)
고려 원종(元宗)~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창(淳昌). 정승(政丞)을 지낸 설지충(薛之沖)의 아버지로, 첨의 중찬(僉議中贊) 등을 역임함.
1224~1302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순창 , 인명>관인>문신
-
설공달(薛公達)
중국 당(唐) 나라 덕종(德宗)~헌종(憲宗) 때의 문신. 한유(韓愈)에게 인정을 받고 맹교(孟郊)와 교유하였으며, 국자 조교(國子助教)를 지냄. 죽은 후 한유가 묘지(墓誌)를 지음.
?~809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설공찬전(薛公贊傳)
조선 중종(中宗) 때 채수(蔡壽)가 지은 고전소설. 귀신 또는 저승을 주요 소재로 활용하여 당대의 정치와 사회 및 유교이념의 한계를 비판함.
1511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작품명
-
설교집(雪窖集)
조선 선조(宣祖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인 김상헌(金尙憲)의 시문집. 저자가 1640년(인조 18)에 중국 심양(瀋陽)으로 가서 5년에 걸쳐 구류되어 있는 동안 지은 시문을 모아 놓은 것으로, 그의 문집인 《청음집(淸陰集)》에 실려 있음.
1654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설도(薛濤)
중국 당(唐) 나라의 기생ㆍ여류시인. 본래 양가집 태생이나 집안의 몰락으로 기녀(妓女)가 됨. 음률(音律)과 시사(詩詞)에 뛰어났으며, 양질의 종이를 사용하여 명사들과 시를 주고받아 설도전(薛濤牋)이란 용어가 생겨남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기술인>기생ㅣ인명>문사>문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