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설도전(薛濤牋)
중국 당(唐) 나라의 종이. 기생 설도(薛濤)가 만년에 은거해서 심홍색 양질의 종이를 만들게 하여 그것을 이용하여 촉(蜀)의 명사들과 시를 증답(贈答)함.
중국>당 , 중국 , 물품>기타물품
-
설두송고(雪竇頌古)
중국 송(宋) 나라의 승려 중현(重顯)이 옛 조사(祖師)들이 남긴 언행 중 후세에 귀감이 될 만한 고칙(古則)을 100가지로 정리하고 거기에 송(頌)을 붙인 것. 이후 선종(禪宗) 내에서 가장 많이 읽히는 선서(禪書)인 《벽암록(碧巖錄)》의 모체가 됨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설두칠부집(雪竇七部集)
중국 송(宋) 나라의 승려인 중현(重顯)의 시문집. 시문에 뛰어났던 저자의 시문이 수록되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설류(泄柳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노(魯) 나라의 유학. 목공(繆公)이 그의 어짐을 듣고 찾아가 보려 했으나 문을 닫고 들이지 않았으므로, 맹자가 단간목(段干木)과 함께 너무 심하다고 지적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설매(雪梅)
조선 전기의 승려. 송인(宋寅)의 《이암유고(頤庵遺稿)》에 그에 관한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설문청집(薛文淸集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문신 설선(薛瑄)의 저서. 학자이며 시를 잘 지었던 저자의 시문이 수록되어 있음.
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설문해자(說文解字)
중국 후한(後漢)의 학자인 허신(許愼)이 지은 중국 최초의 자서(字書). 소전(小篆) 9,353자와 고문(古文)ㆍ주문(籒文) 등 1,063자를 540부로 분류하여 육서(六書)의 의의(意義)를 추구함. 30권.
중국>후한 , 중국 , 문헌>서명
-
설미수(偰眉壽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ㆍ귀화인. 원래 회골(回鶻) 사람으로, 고려 때 귀화하여 검교우참찬(檢校右參贊) 등을 지냄. 중국어에 능통하여 명(明) 나라에 여러 번 사신 가서 외교적 성과를 거둠.
1359~1415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기타인명>귀화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설복수(偰福壽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 귀화한 경주설씨(慶州偰氏)의 시조인 설손(偰孫)의 둘째 아들로, 벼슬이 추재(樞宰)에 이름.
한국>고려후기 , 중국ㅣ경상도>경주 , 인명>기타인명>귀화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설봉(雪峯)@고려
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. 우가(右街)에 소속되어 있었으며, 운곡(耘谷) 원천석(元天錫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설봉(雪峯)@조선
조선 전기의 승려. 서거정(徐居正)의 《사가시집(四佳詩集)》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설봉서원(雪峰書院)
조선 명종(明宗) 때 경기도 이천(利川)에 건립한 서원. 이천 부사(利川府使) 정현(鄭礥)이 1564년(명종 9)에 건립하였으며, 김안국(金安國)ㆍ이관의(李寬義) 등을 배향함.
156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이천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설사(偰斯)
중국 원(元) 말~명(明) 초의 문신. 원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명 태조(太祖) 주원장(朱元璋)에게 귀부하였으며, 일찍이 부보랑(符寶郞)으로 고려에 사신 와서 공민왕(恭愍王)을 책봉하고 인(印)과 금단(錦段)을 전달함.
중국>명ㅣ중국>원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설선(薛瑄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정주학파(程朱學派)의 이학(理學)을 계승하였으며, 이부우시랑(吏部右侍郞) 겸 한림학사(翰林學士) 등을 역임함. 저서에 《설문청집(薛文淸集)》이 있음.
1389~1464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설손(偰孫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ㆍ시인ㆍ귀화인. 원래 회골(回鶻)사람으로 원(元)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고려에 귀화하여 경주설씨(慶州偰氏)의 시조가 됨. 고려 대표시인의 한 사람.
?~1360 한국>고려후기 , 중국ㅣ경상도>경주 , 인명>기타인명>귀화인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설순(偰循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경주(慶州). 설경수(偰慶壽)의 아들로, 1431년(세종 13)에 왕명으로 《삼강행실도(三綱行實圖)》를 편수했으며, 저서에 윤회(尹淮)와 함께 저술한 《자치통감훈의(資治通鑑訓義)》가 있음. 동지중추원사(同知中樞院事) 등을 지냄.
?~143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설순빙리(雪筍冰鯉)
중국 삼국시대 오(吳) 나라의 맹종(孟宗)이 눈 속에서 죽순(竹筍)을 구한 일과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왕상(王祥)이 얼음을 녹여 잉어를 얻은 일에서 나온 고사성어로, 지극한 효성을 뜻함.
중국>남북조시대ㅣ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설순조(薛順祖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무신. 세조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좌익원종공신(佐翼原從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상주 목사(尙州牧使)ㆍ성주 목사(星州牧使)ㆍ김해 부사(金海府使)ㆍ 등을 지냄.
1427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창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기타인명>공신
-
설악산(雪嶽山)
강원도 양양(襄陽)ㆍ인제(麟蹄)ㆍ속초(束草)에 걸쳐 있는 산 이름.
강원도>인제ㅣ강원도>양양 , 지명>자연지명
-
설암영자팔법(雪庵永字八法)
중국 원(元) 나라의 승려ㆍ서예가 이부광(李溥光)이 지은 서법서. 서법을 익히는 데에는 먼저 '영자팔법(永字八法)'을 기초로 삼고, 여기에 배울 만한 24가지 서법을 더하여 총 32가지 서법을 익혀야 함을 설명함.
중국>원 , 중국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