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설암자요(雪庵字要)
중국 원(元) 나라의 승려ㆍ서예가인 이부광(李溥光)이 지은 서법서. 1권.《설암대자서법(雪庵大字書法)》과 함께 해서(楷書) 대자(大字)에 능한 이부광의 서법의 요체가 수록되어 있음.
중국>원 , 중국 , 문헌>서명
-
설암집첩(雪庵集帖)
중국 원(元) 나라의 승려ㆍ서예가인 이부광(李溥光)의 서첩.
중국>원 , 중국 , 문헌>서명
-
설앙(薛昂)
중국 송(宋) 나라 철종(哲宗)~휘종(徽宗) 때의 문신. 문하시랑(門下侍郞)ㆍ자정전 대학사(資政殿大學士) 등을 지냈으며, 왕안석(王安石)과 교유함.
?~1134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설연수(偰延壽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 귀화한 경주설씨(慶州偰氏)의 시조인 설손(偰孫)의 셋째 아들로, 벼슬이 추재(樞宰)에 이름.
한국>고려후기 , 중국ㅣ경상도>경주 , 인명>기타인명>귀화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설옥(雪玉)
조선 전기의 승려. 시에 뛰어나 그의 시축(詩軸)에 제봉(霽峯) 고경명(高敬命)이 이름을 짓고 시를 지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설우(雪牛)
고려 후기의 승려. 나옹(懶翁) 혜근(惠勤)의 제자로, 이색(李穡)의 《목은문고(牧隱文稿)》에 그에 대해 쓴 〈설우설(雪牛說)〉이 실려 있음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설원(說苑)
중국 전한(前漢)의 학자인 유향(劉向)이 편집한 설화집. 〈군도(君道)〉ㆍ〈신술(臣術)〉등 20편(編)으로 구성됨. 고대의 제후ㆍ선현들의 행적이나 일화ㆍ우화 등을 수록하여 위정자를 설득하기 위한 훈계 독본으로 이용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문헌>서명
-
설원록(雪寃錄)
고려 말 충신인 차원부(車原頫)의 유작(遺作)과 비운(悲運)의 일대기를 기록한 책. 박팽년(朴彭年)의 기문(記文)과 하위지(河緯地)의 서문(序文)이 있음.
1851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설월당집(雪月堂集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학자인 김부륜(金富倫)의 시문집. 6권 3책의 석인본(石印本). 7대손 김시찬(金是瓚) 등이 정조(正祖) 연간에 수집한 원고를 10대손 김제면(金濟冕) 등이 개정(改正)하여 1940년 안동(安東)에서 간행함.
1940 한국>근대 , 경상도>안동 , 문헌>서명
-
설융(薛戎)
중국 당(唐) 나라 덕종(德宗)~헌종(憲宗) 때의 문신ㆍ문인. 구주(衢州)ㆍ호주(湖州)ㆍ상주(常州)의 자사(刺史)를 거쳐 절동 관찰사(浙東觀察使) 등을 지냄. 사후에 한유(韓愈)가 묘지(墓誌)를 짓고, 원진(元稹)이 신도비를 씀.
747~821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설의(雪衣)
조선 전기의 승려. 이이(李珥)의 《율곡전서(栗谷全書)》에 〈증산인설의(贈山人雪衣)〉라는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설인귀(薛仁貴)
중국 당(唐) 나라의 장군. 658년 고구려 원정에 나섰다가 횡산(橫山)에서 패했으며, 남생(男生)이 당 나라에 원병을 청하자 좌무위장군(左武衛將軍)으로 다시 고구려를 침략하여 고구려 멸망 후 검교안동도호(檢校安東都護)가 됨.
614~683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설장수(偰長壽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정종(定宗) 때의 문신ㆍ귀화인. 원래 회골(回鶻) 사람으로 고려에 귀화한 후 공양왕(恭讓王) 옹립에 공을 세움. 정몽주(鄭夢周) 일당으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조선 개국 후 복직되어 여러 차례 중국에 사신으로 다녀옴.
1341~1399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중국ㅣ경상도>경주 , 인명>기타인명>귀화인ㅣ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설정총(薛廷寵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문신. 1539년(중종 34) 조선에 사신으로 왔으며, 이때 모화관(慕華館) 앞의 영조문(迎詔門)을 영은문(迎恩門)으로 개칭하게 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설지충(薛之冲)
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창(淳昌). 설공검(薛公儉)의 아들. 독로화(禿魯花)로서 원(元) 나라에 다녀왔으며, 첨의찬성사(僉議贊成事) 등을 역임함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순창 , 인명>관인>문신
-
설직(薛稷)
중국 당(唐) 나라 중종(中宗)~현종(玄宗) 때의 문신ㆍ문인ㆍ화가. 태자소보(太子少保) 등을 역임하였으며, 두회정(竇懷貞)의 사건에 연루되어 사사됨. 시(詩)ㆍ서(書)ㆍ화(畫)에 모두 능하여 명성을 떨침.
649~713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설청(雪淸)
조선 후기의 승려. 홍섬(洪暹)ㆍ정유길(鄭惟吉)ㆍ홍가신(洪可臣) 등 당시 문인들의 문집에 그를 읊은 시가 다수 나옴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설총(薛聰)
통일신라 신문왕(神文王)~경덕왕(景德王) 때의 학자. 원효대사(元曉大師)의 아들. 신라십현(新羅十賢)의 한 사람이며, 강수(强首)ㆍ최치원(崔致遠)과 함께 신라삼문장(新羅三文章)의 한 사람으로 꼽힘. 이두(吏讀)를 집대성했으며, 〈화왕계(花王戒)〉를 지음.
655~?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문사>학자
-
설한(薛漢)
중국 후한(後漢)의 학자. 《시경(詩經)》을 깊이 연구하여 장안(長安)에서 강학했는데, 경백(敬伯)ㆍ두무(杜橅) 등이 그에게서 배움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설한령(雪寒嶺)
평안도 강계(江界)와 함경도 장진(長津)의 경계에 있는 고개. 개마고원(蓋馬高原) 지역과 자강고원(慈江高原) 지역을 잇는 주요한 교통요지임.
함경도>삼수ㅣ평안도>강계 , 지명>자연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