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성공(成公)@춘추전국(노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제후. 재위 B.C.590~B.C.573. 선공(宣公)과 목강(繆姜)의 아들.
?~B.C.573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성공두황후(成恭杜皇后)
중국 남북조시대 동진(東晉)의 제3대 황제인 성제(成帝)의 왕비. 강제(康帝)는 성제의 두황후(杜皇后)를 위하여 1년이 지나도록 여전히 소복(素服)을 하였으므로, 형제가 서로 계대(繼代)하였을 때의 복의(服議)를 언급할 때 나옴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
-
성구령(成九齡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방언(成邦彥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성군미(成君美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여완(成汝完)의 아버지로, 판도 총랑(版圖摠郞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성규(性圭)
고려 후기의 승려. 원천석(元天錫)의 《운곡행록(耘谷行錄)》에 〈제벽봉성규중덕권(題璧峯性圭中德卷)〉이라는 시(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성균관(成均館)
조선 태조(太祖) 7년에 인재양성을 위하여 서울 숭교방(崇敎坊)에 설치한 최고 교육기관. 문과(文科) 준비를 위한 유학 교육 전문기관으로, 공자(孔子)를 비롯하여 중국 및 우리나라 역대 성현들의 위패를 모셔놓은 문묘(文廟)와 유학(儒學)을 강론하는 명륜당(明倫堂), 동서재(東西齋) 등으로 이루어짐.
1398 한국>조선시대 , 서울 , 법제>관청
-
성극재시고(省克齋詩稿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인 문명개(文命凱)의 시집. 권두인(權斗寅)이 지은 서문이 《하당집(荷塘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성근(成謹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세균(成世均)의 아들로, 큰아버지 성세명(成世明)에게 출계함. 안동 대도호부사(安東大都護府使)를 지냄.
1490~155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성근(成近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세준(成世俊)의 아들로, 1507년(중종 2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여 참봉(參奉)을 지냄. 조식(曺植)의 《남명집(南冥集)》에 증시(贈詩)가 실려 있음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성근묵(成近默)
조선 순조(純祖)~철종(哲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재학(才學)으로 추천을 받아 경연관(經筵官) 등을 지냈으며, 청렴강직으로 이름을 떨침.
1784~185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성긍주(成肯柱)
조선 순조(純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덕구(成德求)의 아들로, 풍기 군수(豐基郡守) 등을 지냄.
1755~?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신창 , 인명>관인>문신
-
성기도(誠幾圖)
중국 송(宋) 나라의 유학자인 조사하(趙師夏)가 지은 성(誠)의 해설 도식(圖式). 무위(無爲)의 개념인 성이 움직일 때 선기(善幾)와 악기(惡幾)의 기(幾)로 갈라지는 형상을 설명함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성낙선(成樂善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창녕(昌寧). 창산군(昌山君) 성수익(成壽益)의 아들이자, 한산 군수(韓山郡守) 권황(權滉)의 사위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문사>유학
-
성녕대군(誠寧大君)
조선 제3대 태종(太宗)의 넷째 아들. 어머니는 원경왕후(元敬王后)로,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용모가 단정하여 태종의 특별한 총애를 받아 대광보국(大匡輔國)의 위계까지 올랐으나 14살 때 홍역으로 요절함.
1405~141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성달생(成達生)
고려 공양왕(恭讓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창녕(昌寧)으로, 성석용(成石瑢)의 아들. 조선 태종(太宗) 때 처음으로 실시된 무과에서 장원급제하고, 병마도절제사(兵馬都節制使)ㆍ지중추원사(知中樞院事) 등을 지냈으며, 문필(文筆)에도 능함.
1376~1444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무신
-
성담년(成聃年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창녕(昌寧)으로, 생육신(生六臣)의 한 사람인 성담수(成聃壽)의 동생. 교리(校理) 등을 지냈으며, 성리학(性理學)에 조예가 깊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성담령(成耼齡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창녕(昌寧)으로, 단종(端宗) 때의 충신인 성희(成熺)의 아들. 김안국(金安國)ㆍ엄용순(嚴用順) 등과 함께 경기도 이천(利川)의 육괴정(六槐亭)에 모여 시회를 열고 학문을 강론함.
?~152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문사>유학
-
성담로(成耼老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단종(端宗) 때의 충신 성희(成熺)의 아들로, 충순위(忠順衛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무신
-
성담명(成耼命)
조선 전기의 유학. 단종(端宗) 때의 충신 성희(成熺)의 아들. 아버지, 형 성담수(成聃壽)와 함께 단종 복위를 꾀하다가 좌절되자 평생 출사하지 않고 절개를 지켰으며, 후에 이조 판서(吏曹判書)에 추증(追贈)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문사>유학
-
성담수(成聃壽)
조선 문종(文宗)~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생육신(生六臣)의 한 사람. 단종복위운동(端宗復位運動) 때 아버지 성희(成熺)가 귀양갔다가 풀려나 세상을 떠나자, 벼슬을 단념하고 파주(坡州)에 은거하여 평생 단종을 추모하며 절개를 지킴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