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성담중(成耼仲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창녕(昌寧). 단종(端宗) 때의 충신 성희(成熺)의 아들. 단종이 폐위되자 은일(隱逸)하여 나라의 부름에도 나아가지 않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문사>유학
-
성담집(性潭集)
조선 정조(正祖)~순조(純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환기(宋煥箕)의 시문집. 32권 16책. 목활자본. 고종(高宗) 재위 기간 내, 즉 1891~1907년 사이에 간행됨.
한국>근대 , 문헌>서명
-
성대중(成大中)
조선 영조(英祖)~순조(純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서얼 출신으로 서얼통청운동(庶蘖通淸運動)에 힘입어 청직(淸職)에 임명됨. 홍대용(洪大容)ㆍ박지원(朴趾源) 등과 교유하여 북학사상 형성에 기여하였으며, 저서로 《청성집(靑城集)》이 있음.
1732~1812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포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성덕구(成德求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ㆍ효자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긍주(成肯柱)의 아버지로,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 등을 지냄. 효성이 지극하여 나라로부터 정문(旌門)의 표창을 받음.
1721~176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성덕왕(聖德王)
신라 제33대 왕. 재위 702~737. 신문왕(神文王)의 둘째 아들이며, 효소왕(孝昭王)의 동모제(同母弟). 정치적 안정을 바탕으로 사회 전반에 걸쳐 전성기를 누림.
?~737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성덕형(成德馨)
조선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영조(英祖) 때의 문신 성천주(成天柱)의 아버지로, 호조 좌랑(戶曹佐郞)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성도(成都)
중국 사천성(四川省)의 성도(省都).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와 삼국시대(三國時代) 때 촉(蜀)의 수도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성두년(成斗年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여신(成汝信)의 아버지로, 효성과 우애로 널리 알려짐. 추천으로 경기전 참봉(慶基殿參奉)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으며, 한성부 우윤(漢城府右尹)에 증직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성락(成洛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감사(監司)를 지낸 성세평(成世平)의 아들로, 이황(李滉) 문하에서 수학함. 자력으로 경서를 탐독할 정도로 우수하였으며, 친우들의 도움으로 장례를 치러야 할 만큼 청빈한 생활을 함.
1542~158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성람(成灠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창녕(昌寧). 감사(監司)를 지낸 성세평(成世平)의 아들로, 이이(李珥)ㆍ성혼(成渾)의 문인. 성리학(性理學)과 의학에 밝았으며, 임진왜란(壬辰倭亂) 후에는 조익(趙翊)ㆍ정경세(鄭經世)ㆍ이준(李埈) 등과 교유함.
1556~162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성력(成櫟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영동 현감(永同縣監)을 지낸 성문준(成文濬)의 아들로, 사재감 첨정(司宰監僉正) 등을 지냄.
1580~165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성로(成輅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인. 본관은 창녕(昌寧). 통례원 인의(通禮院引儀)를 지낸 성영국(成永國)의 아들로, 스승 정철(鄭澈)의 잦은 유배와 동문 권필(權韠)의 죽음을 보고 세상과 인연을 끊고 만년에는 술과 시로써 세월을 보냄.
1550~1615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문사>문인
-
성륜(成倫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성세정(成世貞)의 아들로, 이조 참판(吏曹參判) 등을 지냈으나, 김안로(金安老)와 편당(偏黨)을 짓는다는 세평(世評)을 받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성률(成瑮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종(成宗) 때의 문신 성희안(成希顔)의 아들로, 상의원 첨정(尙衣院僉正) 등을 지내고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성리군서고이(性理群書考疑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인 권벌(權橃)이 지은 글. 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 웅절(熊節)이 지은 《성리군서구해(性理群書句解)》의 의심나는 대목을 상고하여 풀이함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작품명
-
성리군서구해(性理群書句解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웅절(熊節)의 저서. 23권. 송 나라 유학자들이 남긴 글과 학파의 계통, 유명 문인들의 글을 분류하여 편집한 책으로, 현재는 3권 1책만 남아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성리대전(性理大全)
중국 명(明) 나라 성조(成祖) 때 왕명으로 호광(胡廣) 등이 성리학설을 집대성하여 편집한 책. 총 70권. 25권까지는 송대 학자의 중요한 저술을 수록하였고, 26권 이하는 주제별로 여러 학자의 학설을 분류ㆍ편집함.
1415 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성리대전절요(性理大全節要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정국(金正國)의 저서. 4권 4책. 금성목활자판(錦城木活字板). 명(明) 나라 호광(胡廣) 등이 쓴 《성리대전(性理大全)》에서 중요한 부분만 간추려 중종 때 편집ㆍ간행함.
1538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문헌>서명
-
성리명감(性理明鑑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학자인 이중호(李仲虎)의 저서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성리유편(性理遺編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정(李楨)의 저서. 1책. 목활자본. 성리군서(性理群書)와 전서(全書) 중에서 찬(贊)ㆍ명(銘)ㆍ잠(箴) 등을 뽑아 송독(誦讀)에 편리하도록 찬집한 것을, 1564년(명종 14)에 남궁침(南宮忱)이 간행함.
156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