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성리자훈(性理字訓)
중국 송(宋) 나라 효종(孝宗) 때의 학자인 정단몽(程端蒙)이 지은 성리학(性理學)의 기초 학습서. 30조(條)로 이루어짐. 1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성리자훈강의(性理字訓講義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인 정약용(程若庸)의 저서. 1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성리학(性理學)
중국 송(宋) 나라 때 유학(儒學)의 한 계통으로, 인간 본연의 성(性)을 발현하기 위해 물(物)에 대한 이(理)를 참고해야 한다는 것을 요지로 하는 철학. 남송(南宋)의 주희(朱熹)가 집대성함.
중국>송 , 중국 , 사상>이론>학설
-
성마령(星磨嶺)
강원도 청옥산(靑玉山)에 있는 고개 이름. 강원도 정선(旌善)과 평창(平昌)을 연결하는 고개.
강원도>평창ㅣ강원도>정선 , 지명>자연지명
-
성맹온(成孟溫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성준(成俊)의 조카로, 연산군 때 부관참시(剖棺斬屍)를 당함. 이행(李荇)의 《용재집(容齋集)》에 그의 죽음을 애도하는 글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성명(性明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승려. 진관사 주지(津寬寺住持)로 있을 때 신숙주(申叔舟)가 벗들과 노닐며 지은 시가 《보한재집(保閑齋集)》에 실려 있으며, 남효온(南孝溫)과도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성모사(聖母祠)
경상남도 경주(慶州) 서악(西岳)의 선도산(仙桃山)에 있는 사당. 중국 황실(皇室)의 딸로 해동(海東)에 와서 신(神)이 되었다는 성모(聖母)를 배향함. 일설에는 성모가 박혁거세(朴赫居世)를 낳았다고 함.
경상도>경주 , 유적>건물>사당
-
성몽선(成夢宣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보은 현감(報恩縣監)을 지낸 성제원(成悌元)의 아버지로, 장흥 부사(長興府使)를 지냄. 장리(贓吏)인 조서종(趙瑞鍾)의 사위였으나 서용되는 전례를 남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성몽열(成夢說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으로, 1539년(중종 34) 별시(別試)에 급제하여 함경도 도사(咸鏡道都事)ㆍ봉상시 판관(奉常寺判官)ㆍ함양 군수(咸陽郡守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성몽정(成夢井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성담년(成聃年)의 아들로,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조광조(趙光祖) 등 신진사류와 교유함.
1471~151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성무애악론(聲無哀樂論)
중국 삼국시대 위(魏) 나라의 문신ㆍ시인인 혜강(嵇康)의 저서. 음악(音樂)이 객관적 존재라면 애락(哀樂)은 인간의 감정으로, 모두 감동(感動)을 받은 후 생산되는 것이지만 마음과 소리는 분리된다는 내용을 담아, 저자의 음악에 대한 관점을 나타냄.
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성무정(成武丁)
중국 한(漢) 나라의 도사. 장사(長沙)에서 이인(異人)을 만나 선약(仙藥)을 얻어 새와 짐승의 말을 하고, 나중에는 흰 노새를 타고 신선이 되었다고 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도사
-
성문(聲聞)
석가(釋迦)의 가르침을 듣고서 수행하는 사람. 모든 불제자(佛弟子)를 이르는 말에서 출가한 수행승(修行僧)만을 부르는 말로 변하였으며, 대승(大乘)에서는 자기만의 수양에 힘써 아라한(阿羅漢)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봄.
사상>술어>핵심어
-
성문덕(成聞德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창녕(昌寧). 교리(校理)를 지낸 성담년(成聃年)의 증손으로, 형 성준덕(成駿德)과 함께 성혼(成渾)을 방문하여 교유한 일이 《우계집(牛溪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문사>유학
-
성문사업도(聖門事業圖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인 이원강(李元綱)의 저서. 1권. 10도(圖)로 분류하여, 존심(存心)으로 중심을 삼고, 근독(謹獨)으로 요체를 삼으며, 궁리(窮理)를 용력(用力)의 시작으로 삼을 것을 주장함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성문영(成文泳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인물. 우계(牛溪) 성혼(成渾)의 맏아들로, 어려서 요절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성문준(成文濬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. 우계(牛溪) 성혼(成渾)의 둘째 아들로, 성혼이 무욕(誣辱)을 당하자 임천(林泉)에 은거했다가 인조반정(仁祖反正) 후 영동 현감(永同縣監)을 지냄. 박학다식하며 글씨에 능함.
1559~162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성민(省敏)
고려 말~조선 초의 승려ㆍ문인. 찬영(粲英)의 제자로, 권근(權近) 등과 교유하였으며, 태종(太宗)의 척불(斥佛) 정책에 대하여 신문고(申聞鼓)를 울려 호소하였으나 무위로 돌아감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ㅣ인명>문사>문인
-
성박(成鑮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여신(成汝信)의 첫째 아들로, 조임도(趙任道)ㆍ임진부(林眞怤) 등 남명학(南冥學) 계열의 학자들과 교류함. 진사(進士) 등을 지냄.
1571~?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성발도(成發道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성석린(成石璘)의 둘째 아들로, 참찬(參贊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