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성방언(成邦彦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중종 때 진사(進士)에 입격한 성구령(成九齡)의 아버지로, 부사과(副司果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무신
-
성봉조(成奉祖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성엄(成揜)의 아들이며, 세조(世祖)의 동서(同壻)로, 성종 즉위 후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되고 우의정 등을 역임함.
1401~147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성불사(成佛寺)
통일신라 말 도선(道詵)이 황해도 봉산(鳳山) 사리원(沙理院)에 세운 사찰. 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 나옹(懶翁)에 의해 중창됨.
한국>통일신라 , 황해도>봉산 , 유적>건물>사찰
-
성사달(成士達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홍건적(紅巾賊)의 침입 때 공민왕(恭愍王)을 호종하여 추충협익공신(推忠協翊功臣)에 책록되고, 김용(金鏞)의 반란을 평정하여 일등공신이 됨.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.
?~1380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성사제(成思齊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정승 성유득(成有得)의 아들로, 보문각 직제학(寶文閣直提學)과 문형(文衡)을 지냈으나, 고려가 망하자 만수산(萬壽山)에 은거한 두문동칠십이현(杜門洞七十二賢)의 한 사람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성삼문(成三問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창녕(昌寧). 집현전(集賢殿)의 학사로 훈민정음(訓民正音) 창제에 공헌함. 사육신(死六臣)의 한 사람으로, 단종(端宗)에 대한 절의를 지켜 복위(復位)를 도모하다가 실패하여 처형됨.
1418~1456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홍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성석린(成石璘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고려 말 왜구를 격퇴하고 조선의 개국과 왕자의 난에 공을 세우는 등 수차례 공신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. 시문(詩文)에 능하고 초서(草書)를 잘 씀.
1338~1423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성석용(成石瑢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성여완(成汝完)의 아들이자 성석린(成石璘)의 아우로, 고려 때 밀직제학(密直提學) 등을 지냈으며, 조선 개국에 공이 있어 원종공신(原從功臣)에 책록됨.
?~1403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성석인(成石因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성여완(成汝完)의 아들이며, 성석린(成石璘)ㆍ성석용(成石瑢)의 아우로, 고려 때 경연강독관(經筵講讀官) 등을 지내고 조선 건국 후 예조 판서(禮曹判書) 등을 지냄.
?~1414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성선(成善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종(成宗) 때의 문신으로 한성부 좌윤(漢城府左尹)을 지낸 성윤문(成允文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문사>유학
-
성세균(成世鈞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임(成任)의 아들이자 성현(成俔)의 조카로, 성현의 《허백당문집(虛白堂文集)》에 그를 애도한 제문(祭文)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성세명(成世明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임(成任)의 아들로, 《연산군일기(燕山君日記)》를 수찬하고, 지돈녕부사(知敦寧府事)를 지냄.
1447~151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성세범(成世範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창녕(昌寧).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을 지낸 성희문(成希文)의 셋째 아들이자, 예조 판서(禮曹判書)를 지낸 성세장(成世章)의 동생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문사>유학
-
성세순(成世純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성충달(成忠達)의 아들로, 연산군(燕山君)이 형벌을 남발하자 간관(諫官)으로서 과감하게 직언함. 성절사(聖節使)로 명(明) 나라에 다녀오고 대사헌(大司憲) 등을 지냄.
1463~151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성세운(成世雲)
조선 전기의 인물. 노수신(盧守愼)의 《소재집(穌齋集)》에 집으로 돌아가는 그에게 가서(家書)를 전하며 지은 시(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성세장(成世章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인. 본관은 창녕(昌寧)으로, 감찰(監察)을 지낸 성희문(成希文)의 아들.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으로, 예조 판서(禮曹判書) 등을 지내고 청백리(淸白吏)에 녹선됨.
1506~158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성세적(成世勣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진일재(眞逸齋) 성간(成侃)의 아들로, 정언(正言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성세정(成世貞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충달(成忠達)의 아들이자 성륜(成倫)의 아버지로, 《성종실록(成宗實錄)》편찬에 참여하였고 중종 때 대사헌(大司憲)에 오름.
1460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성세준(成世俊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으로, 성세정(成世貞)의 형이며 성운(成運)의 아버지. 1507년(중종 2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선공감 부정(繕工監副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성세창(成世昌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허백당(虛白堂) 성현(成俔)의 아들이며, 김굉필(金宏弼)의 문인(門人).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(中宗反正)으로 풀려났으나,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다시 유배되어 죽음.
1481~154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