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성운(成運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창녕(昌寧). 형인 성우(成遇)가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화를 당하자 속리산(俗離山)에 은거함. 시문(詩文)에 뛰어나고, 서경덕(徐敬德)ㆍ조식(曺植)ㆍ이지함(李之菡) 등과 교유하며 학문에 정진함.
1497~1579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보은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성원주기(姓原珠璣)
중국 명(明) 나라의 유학자(儒學者) 양신민(楊信民)이 지은 책. 조선 이황(李滉)의 《송계원명이학통록(宋季元明理學通錄)》에 자주 보임.
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성윤문(成允文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세조 때 등준시(登俊試)에 급제하였으며, 형조 참판(刑曹參判)ㆍ충청도 관찰사(忠淸道觀察使)ㆍ한성부 좌윤(漢城府左尹)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성윤조(成允祖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성가의(成可義)의 아들로, 한성부 우윤(漢城府右尹) 등을 지냄.
1459~150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성윤해(成允諧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근(成近)의 아들로, 학행(學行)으로 여러 번 추천되어 왕자사부(王子師傅)ㆍ태인 현감(泰仁縣監) 등에 제수되었으나, 나아가지 않고 상주(尙州)에 은거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문사>학자
-
성율(成栗)
조선 전기의 문신. 초당(草堂) 허엽(許曄)의 형인 종사랑(從仕郞) 허구(許昫)의 장인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성의백문집(誠意伯文集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유기(劉基)의 문집. 20권. 저자의 시문(詩文) 및 잡저(雜著)인 《욱리자(郁離子)》4권, 《복부집(覆瓿集)》10권, 《사정집(寫情集)》2권,《춘추명경(春秋明經)》2권, 《이미공집(犁眉公集)》2권으로 본래 각각의 저서인데 성화(成化) 연간에 순안절강어사(巡按浙江御史)인 대기(戴鱀) 등이 1질로 편찬함.
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성이문(成以文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으로, 황산도 찰방(黃山道察訪)을 지낸 성효관(成效寬)의 아들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종묘서 부봉사(宗廟署副奉事)로서 왕실의 신주를 받들고 의주(義州)로 피난함.
1546~1618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성익(成杙)
조선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우계(牛溪) 성혼(成渾)의 손자로, 영동 현감(永同縣監)을 지낸 성문준(成文濬)의 아들. 수성금화사 별좌(修城禁火司別坐)를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성인보(成仁輔)
고려 후기의 호장(戶長). 창녕성씨(昌寧成氏)의 시조(始祖)로, 중윤 호장(中尹戶長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아전
-
성임(成任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염조(成念祖)의 아들로, 계유정난(癸酉靖難) 때 원종공신(原從功臣)에 책록됨. 《국조보감(國朝寶鑑)》ㆍ《경국대전(經國大典)》편찬에 참여하고, 글씨와 시문에 뛰어남.
1421~148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성자청(成子淸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창녕(昌寧). 안동 대도호부사(安東大都護府使) 성근(成謹)의 아들이며, 담양 부사(潭陽府使) 성자항(成子沆)의 형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성자택(成子澤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근(成謹)의 아들이며 성자항(成子沆)의 형으로, 왕자 교관(王子敎官)을 지냄. 1547년(명종 2) 윤임(尹任)의 당파(黨派)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사사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성자항(成子沆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대사헌(大司憲)을 지낸 성세명(成世明)의 손자이며, 안동 대도호부사(安東大都護府使) 성근(成謹)의 아들. 사포서 별제(司圃署別提)를 거쳐 담양 부사(潭陽府使)를 지냄.
1523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성재숭(成載崇)
조선 헌종(憲宗) 때의 문인. 헌종 때 《허백당집(虛白堂集)》을 중간(重刊)하면서 창녕성씨(昌寧成氏)의 종장(宗丈)으로서 발문(跋文)을 지음.
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문인
-
성재집(誠齋集)
중국 송(宋) 나라 때의 문신ㆍ학자인 양만리(梁萬里)의 문집. 133권. 1208년(嘉定 元年)에 아들 양장유(梁長孺)가 편찬함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성정(性凈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승려. 치재(耻齋) 홍인우(洪仁祐)가 1553년(명종 8)에 금강산을 유람할 때 만나 길 안내를 해주었는데, 그 내용이 《관동록(關東錄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고성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성정주(成鼎柱)
조선 정조(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덕구(成德求)의 아들이자 성근묵(成近默)의 아버지로, 평택 현감(平澤縣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성제(成帝)@남북조(晉)
중국 남북조시대 동진(東晉)의 제3대 황제. 재위 325~342. 명제(明帝)의 아들이자, 강제(康帝)의 형.
?~342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성제(成帝)@전한
중국 한(漢) 나라 제11대 황제. 재위 B.C.32~B.C.7. 원제(元帝)의 맏아들로, 즉위 후 주색(酒色)을 탐하고 가녀(歌女)인 조비연(趙飛燕)을 황후로 삼았으며, 외척들이 정권을 전횡하는 등 부패하였으므로 백성들의 반란을 초래함.
B.C.52~B.C.7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