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성제원(成悌元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유일(遺逸)로 천거되어 보은 현감(報恩縣監) 등을 지냈으며, 박응순(朴應順) 등 많은 인재를 육성함.
1506~155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성조(性祖)
조선 전기의 승려. 이암(頤庵) 송인(宋寅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성조(成祖)
중국 명(明) 나라 제3대 황제. 재위 1402~1424. 태조 주원장(朱元璋)의 넷째 아들로, 조카인 혜제(惠帝))에게서 황위를 찬탈하고 수도를 북경(北京)으로 옮김. 여러 차례 대규모 원정(遠征)을 행하여 영토를 확장하였으며, 대내적으로 주자학(朱子學)을 국가이념으로 삼음.
1360~1424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성종(成宗)@고려
고려 제6대 왕. 재위 981~991. 중앙에 3성(省) 6부(府)를 설치하고, 지방에 12목(牧)과 10도(道)를 설치하여 유교정치 이념에 의한 중앙집권적 정치체제를 마련함.
960~997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성종(成宗)@원
중국 원(元) 나라 제6대 황제. 재위 1295~1307. 세조(世祖)의 손자로, 세조 치세(治世)의 영향이 유지된 데다 재상 합랄합손(哈刺合遜) 등의 보좌를 받아 안정된 정치를 펼침.
1265~1307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성종(成宗)@조선
조선 제9대 왕. 재위 1469~1494. 세종(世宗)과 세조(世祖)가 이룩한 치적을 기반으로 찬란한 문화정책을 펼쳤으며, 《경국대전(經國大典)》과 《국조오례의(國朝五禮儀)》를 완성하는 등 국가통치체제를 완비함.
1457~149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성종실록(成宗實錄)
조선 제9대 왕 성종(成宗) 재위 26년간의 편년체(編年體) 기록. 춘추관 영사(春秋館領事) 신승선(愼承善) 등이 주관하여 1499년(연산군 5)에 완성함.
149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문헌>서명
-
성주(星州)
경상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.
경상도>성주 , 지명>행정지명
-
성주득현신부(聖主得賢臣賦)
조선 성종(成宗) 때 이원(李黿)이 진사시(進士試)에 응시하여 지은 글.
1480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문헌>작품명
-
성주이씨(星州李氏)
통일신라 문성왕(文聖王) 때 이부 상서(吏部尙書)를 지낸 이순유(李純由)를 시조로 삼고, 고려 고종(高宗) 때의 향리인 이장경(李長庚)을 중시조로 하는 성씨.
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성주 , 인명>집단>성씨
-
성준(成俊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순조(成順祖)의 아들로, 좌의정ㆍ영의정 등을 지냄. 1495년(연산군 1) 시폐십조(時弊十條)를 주청하는 등 난정(亂政)을 바로잡으려 했으나 이루지 못하고,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유배되었다가 교살(絞殺)당함.
1436 ~150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성준덕(成駿德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창녕(昌寧). 교리(校理)를 지낸 성담년(成聃年)의 증손으로, 동생 성문덕(成聞德)과 함께 성혼(成渾)을 방문하여 교유한 일이 《우계집(牛溪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문사>유학
-
성중엄(成重淹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명현(名賢)들의 무고한 화를 변호하다가 인산(麟山)으로 유배되었으며,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원배(遠配)된 뒤 능지처참(陵遲處斬)을 당함.
1474~150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성중온(成仲溫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도총부 경력(都摠府經歷) 등을 지냈으며, 아버지 성준(成俊)이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유배되었다가 교살(絞殺)당하자 동생 성경온(成景溫)과 함께 유배지에서 자살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성직(成㮨)
조선 인조(仁祖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우계(牛溪) 성혼(成渾)의 손자로, 영동 현감(永同縣監)을 지낸 성문준(成文濬)의 아들. 글씨에 능했으며 특히 대자(大字)를 잘 썼음.
1586~168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성진(性眞)
조선 전기의 승려. 시에 능했으며 사암(思菴) 박순(朴淳), 고죽(孤竹) 최경창(崔慶昌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성찬(成瓚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성희안(成希顔)의 아버지로, 돈녕부 판관(敦寧府判官)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성천(成川)
평안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선조(宣祖)의 후궁과 여러 왕자가 난을 피해 3년 동안 머물렀던 곳.
평안도>성천 , 지명>행정지명
-
성천서원(星川書院)
조선 숙종(肅宗) 때 경상도 안음(安陰)에 세워진 서원. 송준길(宋浚吉)과 이숙(李䎘)을 배향함. 서원 옛터에 유허비(遺墟碑)만 남아 있으며, 현재 경상남도 거창(居昌)에 속함.
170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음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성천주(成天柱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문신. 조귀명(趙龜命)ㆍ이덕수(李德壽)ㆍ윤순(尹淳) 등과 교유하였으며, 대사헌(大司憲) 등을 역임함.
1712~177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