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성철(性哲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승려. 이식(李湜)의 《사우정집(四雨亭集)》에 그의 시권(詩卷)에 써 준 제시(題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성춘향(成春香)
우리나라 대표적 고전소설인 《춘향전(春香傳)》에 등장하는 여주인공. 전라도 남원(南原)의 퇴기(退妓)인 월매(月梅)의 외동딸로, 사또의 아들인 이몽룡(李夢龍)과의 사랑을 이루기 위해 고난 속에서도 수절(守節)하는 여인으로 그려짐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성충(成忠)
백제 의자왕(義慈王) 때의 문신. 656년 좌평(佐平)으로 있을 때, 신라와의 싸움에서 연승하여 왕이 자만과 주색에 빠지자 극간하다가 옥에 갇혀 단식 끝에 죽음.
?~656 한국>백제 , 인명>관인>문신
-
성충달(成忠達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세순(成世純)ㆍ성세준(成世俊)ㆍ성세정(成世貞)의 아버지로, 김포 현령(金浦縣令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성탁(成琢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창녕(昌寧). 창성군(昌城君) 성희옹(成希雍)의 아들이자, 성순(成恂)의 할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문사>유학
-
성태(聖汰)
조선 전기의 승려. 제봉(霽峯) 고경명(高敬命)과 교유하였고, 송광사(松廣寺)에 머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성팽년(成彭年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창녕(昌寧)으로, 갈천(葛川) 임훈(林薰)의 문인. 효행으로 동몽교관(童蒙敎官)에 천거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고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김면(金沔)이 창의(倡義)할 때 참모가 되어 의병활동을 했음.
1540~159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음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성팽로(成彭老)
조선 예종(睿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창녕(昌寧). 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인 성중엄(成重淹)의 아버지로, 1469년(예종 1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문사>유학
-
성학십도(聖學十圖)
조선 전기의 학자 이황(李滉)이 성학(聖學)의 개요를 열 폭의 도식(圖式)으로 설명한 글. 도학(道學)ㆍ이학(理學)에 대한 이황의 학문적 깊이가 잘 나타나 있음.
156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문헌>작품명
-
성학입문(聖學入門)
조선 정조(正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종덕(金宗德)의 저서. 1책. 목판본. 정주학(程朱學)을 중심으로 유학자들의 성학(聖學)에 관한 논설을 모아 놓은 수양서.
1937 한국>근대 , 경상도>의성 , 문헌>서명
-
성학집요(聖學輯要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이(李珥)가 제왕(帝王)의 학(學)을 위해 선조에게 찬진(撰進)한 책. 사서(四書)와 육경(六經)에 씌어 있는 도(道)의 개략을 추출하여 간략하게 정리함. 1책.
1575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성헌(成憲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문신. 한림원 검토(翰林院檢討)를 지냈으며, 1568년(선조 2)에 병과 급사중(兵科給事中)을 지낸 왕새(王璽)와 함께 황태자 책립의 조서를 반포하기 위해 사신으로 옴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성헌(盛憲)
중국 삼국시대 오(吳) 나라의 문신. 공융(孔融)과 깊이 교유하였으며, 효렴(孝廉)으로 상서랑(尙書郞)이 되고 오군 태수(吳郡太守)가 되었으나 그의 명성에 위기를 느낀 손권(孫權)에게 죽임을 당함.
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성헌집(惺軒集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의 학자인 백현룡(白見龍)의 문집. 3권 1책. 목판본. 1906년 후손에 의해 편집ㆍ간행되었으며, 권두에 이만도(李晩燾)와 권도화(金道和)의 서문이 있음.
1906 한국>근대 , 문헌>서명
-
성현(成俔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ㆍ학자.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(副棺斬屍)를 당하였으나 뒤에 신원(伸寃)되고 청백리(淸白吏)에 녹선됨. 시문(詩文)에 능하고 음률(音律)에 정통하여 많은 저술과 작품을 남김.
1439~150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성현행성(城峴行城)
황해도 수안(遂安)에 있던 행성(行城). 신라 헌덕왕(憲德王) 때에 백영(白永)에게 명하여 한산주(漢山州) 이북(以北)에 쌓게 한 패강장성(浿江長城)에 옛터의 일부가 남아 있음.
황해도>수안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성호문(成好問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계례(成繼禮)의 아들로, 1564년(명종 19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여 광흥창 수(廣興倉守) 등을 역임함. 김안국(金安國)의 《모재집(慕齋集)》에 그에게 지어 준 자사(字辭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성호선(成好善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으로, 창산군(昌山君) 성수익(成壽益)의 아들. 1589년(선조 22) 증광시(增廣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충주 목사(忠州牧使) 등을 지냄.
1552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성혼(成渾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창녕(昌寧). 백인걸(白仁傑)의 문인으로, 이황(李滉)을 사숙하고 이이(李珥)와 도의지교를 맺음. 서인(西人) 집권 후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, 이이와 6년에 걸쳐 사칠이기설(四七理氣說)에 대해 논변함.
1535~1598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파주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성황(成鎤)
조선 효종(孝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여신(成汝信)의 다섯째 아들로, 학문에 힘쓰고, 하진(河溍)ㆍ조임도(趙任道) 등과 교류함.
1595~166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