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성횡(成鐄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여신(成汝信)의 셋째 아들로, 아버지의 학통(學統)을 계승하고 수양(修養)에 힘씀.
1588~?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성효관(成效寬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성이문(成以文)의 아버지로, 황산도 찰방(黃山道察訪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성효연(成孝淵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돈녕부 판관(敦寧府判官) 성찬(成瓚)ㆍ호조 좌랑(戶曹佐郞) 성완(成玩)의 아버지로, 사온 직장(司醞直長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성후(成侯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晉) 나라의 제후. 무후(武侯)의 아들이며, 여후(厲侯)의 아버지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성후설(成後卨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으로, 대사간(大司諫)을 지낸 질부(質夫) 성이문(成以文)의 손자. 예빈시 정(禮賓寺正)ㆍ승정원 우승지(承政院右承旨)ㆍ수원 부사(水原府使) 등을 지냄.
1615~167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성희(性熙)
조선 전기의 승려. 소세양(蘇世讓)의 《양곡집(陽谷集)》에 상원사(上院寺)에서 지리산(智異山)으로 돌아가는 그를 위해 지어 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성희(成熺)
조선 문종(文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문종 때 급제하여 승문원 교리(承文院校理)를 지내고, 《세종실록(世宗實錄)》과 《문종실록(文宗實錄)》의 편찬에 참여함. 당질(堂姪)인 성삼문(成三問)의 단종복위(端宗復位) 사건에 연루되어 유배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공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성희동(成禧童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창녕(昌寧). 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인 성중엄(成重淹)의 아들로, 통덕랑(通德郞)에 이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문사>유학
-
성희문(成希文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성완(成玩)의 아들로,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참여하여 원종공신(原從功臣)에 책록되고,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ㆍ현풍 현감(玄風縣監) 등을 역임함.
1477~152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성희안(成希顔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박원종(朴元宗) 등과 함께 중종반정(中宗反正)을 주도하여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되었고, 주청사(奏請使)로 명(明) 나라에 가서 반정의 당위성을 설명함. 영의정(領議政) 등을 지냄.
1461~151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성희옹(成希雍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성희안(成希顔)의 아우로, 함께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참여하여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되고, 창성군(昌城君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성희증(成希曾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찬(成瓚)의 아들이자 성희안(成希顔)의 형으로, 1480년(성종 11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홍문관 정자(弘文館正字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세거우(洗車雨)
칠석(七夕) 전날인 음력 7월 6일에 내리는 비를 일컫는 말. 견우(牽牛)와 직녀(織女)가 서로 타고 갈 수레를 씻기 때문에 내리는 비라 함.
사상>현상>자연현상
-
세덕사(世德祠)@창녕
조선 선조(宣祖) 때 경상도 창녕(昌寧)의 물계(勿溪)에 세운 사당. 성삼문(成三問)ㆍ성수침(成守琛)ㆍ성윤해(成允諧)ㆍ성혼(成渾) 등을 배향함.
158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유적>건물>사당
-
세덕사(世德祠)@안동
조선 숙종(肅宗) 때 경상도 안동(安東)에 건립한 사당. 1699년(숙종 25) 행정(杏亭) 탁순창(卓順昌)이 선조인 탁광무(卓光茂)ㆍ탁신(卓愼)의 위패(位牌)를 봉안함.
169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유적>건물>사당
-
세류영(細柳營)
중국 한(漢) 나라 문제(文帝) 때의 명장인 주아부(周亞夫)가 흉노(匈奴)를 방어하기 위하여 세류(細柳)에 친 진(陣)의 군율(軍律)이 매우 엄정하였던 고사에서 온 말. 장군의 진영, 또는 군기가 엄정한 군영을 일컬음.
중국>전한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세병마(洗兵馬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인 두보(杜甫)가 지은 시. 48구(句) 336자(字)로 이루어진 칠언시(七言詩)로, 안녹산(安祿山)의 난(亂)을 평정한 공신(功臣)을 찬양하고 영원히 전쟁이 종식되어 태평한 세상이 되기를 바라는 내용임.
757 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세설신어(世說新語)
중국 남북조시대 송(宋)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유의경(劉義慶)이 편찬한 일화집(逸話集). 후한(後漢) 말부터 동진(東晉)까지의 명사(名士)들의 생활과 언행 등을 기록한 책으로, 36편(篇) 1000여 항목으로 구성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세조(世祖)@후연
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(五胡十六國) 후연(後燕)의 제1대 황제. 재위 384~396. 전연(前燕)을 세운 모용황(慕容皝)의 아들로, 전진(前秦)의 부견(苻堅)에게 망명하여 세력을 키운 후 칭제(稱帝)하여 화북(華北) 동부를 평정함.
326~396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세조(世祖)@고려
고려 태조(太祖) 왕건(王建)의 아버지. 통일신라 송악군(松嶽郡)의 사찬(沙飡)으로 있다가 진성여왕(眞聖女王) 때 궁예(弓裔)에게 귀복하여 금성 태수(金城太守)를 지냈으며, 태조 때에 추존됨.
?~897 한국>통일신라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