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세조(世祖)@조선
조선 제7대 왕. 재위 1455~1468. 세종(世宗)의 둘째 아들이며, 문종(文宗)의 아우. 계유정난(癸酉靖難)을 통해 집권한 후 국방ㆍ외교ㆍ경제ㆍ문화 등 여러 방면의 개혁을 추진함.
1417~146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세조(世祖)@남북조(전진)
중국 남북조시대 전진(前秦)의 제3대 황제. 재위 357~385. 태학(太學)을 정비하고 학문을 장려하며 전연(前燕)과 전량(前凉)을 멸하고 강북(江北) 지방을 통일하였으나, 동진(東晉) 공략 때 비수(淝水) 전투에서 대패하고, 후진(後秦)의 요장(姚萇)에게 살해됨.
338~385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세조(世祖)@원
몽고 제국의 제5대 칸으로, 중국 원(元) 나라의 시조. 재위 1260~1294. 칭기즈 칸의 손자이며, 예종(睿宗)의 아들로, 일본ㆍ중앙아시아ㆍ유럽에까지 원정(遠征)하여 대제국을 건설함.
1215~1294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세조실록(世祖實錄)
조선 제7대 세조(世祖)의 재위 13년간의 역사를 편년체(編年體)로 기록한 책. 활자본. 49권 42책. 신숙주(申叔舟)ㆍ강희맹(姜希孟)ㆍ한명회(韓明澮)ㆍ김수령(金壽寧)ㆍ양성지(梁誠之) 등이 참여하여 1469년(예종 원년)부터 편찬을 시작하였고, 1473년(성종 4)에 간행함.
147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문헌>서명
-
세종(世宗)@명
중국 명(明) 나라 제12대 황제. 재위 1521~1566. 흥헌왕(興獻王) 주유원(朱裕元)의 맏아들로, 재임 중 도교에 심취하여 엄숭(嚴嵩) 등의 난정을 초래함.
1507~1566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세종(世宗)@오대십국(후주)
중국 오대십국(五代十國) 후주(後周)의 제2대 황제. 재위 954~959. 태조(太祖)의 양자(養子)로, 양자강(揚子江) 이북을 통일하고 내정을 안정적으로 통치하는 등 국가 체제를 확고히 정비함.
921~959 중국>오대십국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세종(世宗)@조선
조선 제4대 왕. 재위 1418~1450. 태종(太宗)의 셋째 아들. 집현전(集賢殿)을 두어 학문을 장려하고 훈민정음(訓民正音)을 창제하였으며, 육진(六鎭)을 개척하고 대마도(對馬島)를 정벌함.
1397~1450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세종대왕자태실(世宗大王子胎室)
경상북도 성주(星州) 선석산(禪石山)에 있는, 세종대왕(世宗大王)의 아들 19명의 태(胎)를 봉안한 곳. 각 태실(胎室)은 지하에 석실(石室)을 만들어 태항(胎缸)과 태주(胎主)의 이름, 생년월일을 음각한 지석(誌石)을 넣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유적>건물>기타건물
-
세종실록(世宗實錄)
조선 제4대 세종(世宗)의 재위 32년간의 역사를 서술한 책. 활자본. 163권 154책. 황보인(皇甫仁)ㆍ김종서(金宗瑞)ㆍ정인지(鄭麟趾) 등이 참여하여 1454년(단종 2)에 필사본이 완성되었고, 1473년(성종 4)에 간행함.
147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문헌>서명
-
세종실록(世宗實錄)@명
중국 명(明) 나라 제12대 세종(世宗)의 재위 46년간의 역사를 서술한 책. 566권. 목종(穆宗) 때 서계(徐階) 등이 편수를 시작하여 신종(神宗) 때 장거정(張居正) 등이 완성함.
1577 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소^균(韶^鈞)
중국 고대 순(舜) 임금의 음악인 소소(簫韶)와, 춘추전국시대 진(秦) 나라 조간자(趙簡子)가 꿈에 하늘에 올라가서 들었다는 균천광악(鈞天廣樂)을 함께 부르는 말.
중국>춘추전국시대ㅣ고대 , 중국 , 기타>가무
-
소^길(召^吉)
중국 전한(前漢)의 어진 수령(守令) 소신신(召信臣)과 명재상 병길(丙吉)을 함께 부르는 말.
중국>전한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소^두(召^杜)
중국 전한(前漢) 때 남양 태수(南陽太守)로서 선정을 베푼 소신신(召信臣)과 후한(後漢) 때 남양 태수로서 선정을 베푼 두시(杜詩)를 함께 부르는 말.
중국>후한ㅣ중국>전한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소^봉(巢^封)
중국 당(唐) 나라 태종(太宗)의 아우 소자왕(巢刺王) 이원길(李元吉)과, 태종 때의 재상 봉륜(封倫)을 함께 부르는 말.
중국>당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소^선(騷^選)
중국 춘추전국시대 초(楚) 나라의 굴원(屈原)이 지은 장편 서사시(敍事詩) 《이소(離騷)》와, 남북조시대 양(梁) 나라의 소통(蕭統)이 엮은 《문선(文選)》을 함께 부르는 말.
중국>남북조시대ㅣ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기타문헌
-
소^아(騷^雅)
중국 춘추전국시대 초(楚) 나라의 굴원(屈原)이 지은 장편 서사시(敍事詩) 《이소(離騷)》와,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(詩集)인 《시경(詩經)》을 함께 부르는 말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기타문헌
-
소^영(韶^英)
중국 고대 순(舜) 임금이 만든 음악인 소소(簫韶)와 제곡(帝嚳)이 만든 음악인 육영(六英)을 함께 부르는 말.
고대 , 중국 , 기타>가무
-
소^장(蘇^張)
중국 춘추전국시대 연(燕) 나라의 모사(謀士) 소진(蘇秦)과 위(魏) 나라의 모사 장의(張儀)를 함께 부르는 말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소^장(邵^張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 때의 학자인 소옹(邵雍)과 장재(張載)를 함께 부르는 말.
중국>송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소^조(蕭^曹)
중국 전한(前漢) 고조(高祖) 때의 개국공신(開國功臣)인 소하(蕭何)와 조참(曹參)을 함께 부르는 말.
중국>전한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