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소^주(蕭^朱)
중국 전한(前漢) 성제(成帝) 때의 문신인 소육(蕭育)과 그의 절친한 벗인 주박(朱博)을 함께 부르는 말.
중국>전한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소^함(韶^咸)
중국 고대 순(舜) 임금의 음악인 소소(簫韶)와 황제(黃帝)의 음악인 함지(咸池)를 함께 부르는 말.
고대 , 중국 , 기타>가무
-
소^항(蘇^杭)
중국 강소성(江蘇省)의 소주(蘇州)와 절강성(浙江省)의 항주(杭州)를 함께 부르는 말. 아름다운 고장을 가리킴.
중국 , 지명>기타지명
-
소^호(蘇^湖)
중국 강소성(江蘇省)의 소주(蘇州)와 절강성(浙江省)의 호주(湖州)를 함께 부르는 말.
중국 , 지명>기타지명
-
소^호(韶^濩)
중국 고대 순(舜) 임금이 지었다는 악곡인 소소(簫韶)와, 은(殷) 나라의 탕왕(湯王)이 지었다는 악곡인 대호(大濩) 함께 부르는 말. 태평성대의 음악을 가리킴.
중국>은ㅣ고대 , 중국 , 기타>가무
-
소개(小蓋)
후백제 시조(始祖)인 견훤(甄萱)의 동생. 아자개(阿慈介)의 다섯 번째 아들로, 능애(能哀)ㆍ용개(龍蓋)ㆍ보개(寶蓋) 등의 형이 있음.
한국>통일신라 , 인명>왕실>종친
-
소건(蘇建)
중국 전한(前漢) 무제(武帝) 때의 무신. 무제 때의 충신인 소무(蘇武)의 아버지로, 흉노(匈奴)를 공격한 공로로 평릉후(平陵侯)에 봉해짐. 소씨 무공파(蘇氏武功派)의 시조가 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소경(蕭炅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. 이임보(李林甫)의 천거로 호부 시랑(戶部侍郞)이 됨. 무식하여 ‘증상복랍(蒸嘗伏臘)’을 ‘증상복렵(蒸嘗伏獵)’으로 잘못 읽은 일로 인하여 엄정지(嚴挺之)로부터 ‘복렵시랑(伏獵侍郞)’이라는 조롱을 당함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소경(蘇慶)
신라 선덕여왕(善德女王)~신문왕(神文王) 때의 문신. 647년(진덕여왕 1)에 상대등(上大等)이 되고, 진덕여왕(眞德女王)이 죽은 후 왕위를 김춘추(金春秋)에게 사양함. 이후 진주(晉州)로 옮겨 가 진주소씨(晉州蘇氏)의 중시조가 됨.
577~686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소계서원(蘇溪書院)
조선시대 경상도 영천(永川)에 세워진 서원. 고려 말~조선 초의 문인ㆍ은자로서 두문동(杜門洞) 72현의 한 사람인 전귀생(田貴生)을 배향함.
한국>조선시대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소고산(小孤山)
강서성 팽택현(江西省 彭澤縣) 북쪽과 안휘성 숙성현(安徽省 宿松縣) 동쪽에 있는 산 이름. 속세에서는 계산(髻山)이라 불림. 팽려(彭廬)에 있는 대고산(大孤山)과 구별하여 소고라 부름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소고집(嘯皐集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박승임(朴承任)의 문집. 제자 김륵(金玏)ㆍ오운(吳澐)ㆍ배응경(裵應褧) 등이 이산서원(伊山書院)에서 간행함.
160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문헌>서명
-
소공(召公)
중국 주(周) 나라의 종친. 문왕(文王)의 아들이며 무왕(武王)의 동생. 은(殷) 왕조의 후손 무경(武庚)의 반란을 진압하고 성왕(成王)을 옹립한 뒤 형 주공(周公)과 함께 성왕을 보필하여 왕조의 기반을 확립함.
중국>주 , 중국 , 인명>왕실>종친
-
소공(昭公)@춘추전국(송)
중국 춘추전국시대 송(宋) 나라의 제후. 재위 B.C.619~B.C.611. 성공(成公)의 아들로, 맹저(孟諸)에서 사냥하던 도중에 조모(祖母)인 양부인(襄夫人)과 결탁한 서제(庶弟) 문공(文公)에게 피살됨.
?~B.C.611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소공(昭公)@춘추전국(鄭)
중국 춘추전국시대 정(鄭) 나라의 4대ㆍ6대 제후. 재위 B.C.700, B.C.696~694. 아우 여공(厲公)과 제위를 다툼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소공(蘇公)
중국 주(周) 나라의 제후. 친구인 포공(暴公)이 천자에게 자신을 참소하자 시 〈하인사(何人斯)〉를 지어 단절함.
중국>주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소공제(蘇公堤)
중국 송(宋) 나라 소식(蘇軾)이 쌓은 제방. 항주 자사(杭州刺使)로 있을 때 서호(西湖)에 쌓은 것과 광동(廣東) 혜주(惠州)로 좌천되었을 때 풍호(豐湖)에 쌓은 것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유적>시설>기타시설
-
소광(疏廣)
중국 전한(前漢) 선제(宣帝) 때의 문신. 황태자의 태부(太傅)로 있으면서 관직과 명성이 점차 높아지자 떠나지 않으면 후회할 일이 생긴다고 하며, 소부(少傅)로 있던 조카 소수(疏受)와 함께 사임하고 낙향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소군사(昭君辭)
중국 전한(前漢) 원제(元帝)의 후궁인 왕소군(王昭君)의 일화를 주제로 한 악부시(樂府詩). 절세의 미인이었으나 화공에게 뇌물을 바치지 않아 얼굴이 추하게 그려져 원제의 사랑을 받지 못하고 흉노의 호한야 선우(呼韓邪單于)에게 시집간 내용으로, 이후 중국 문학의 소재로 자주 이용됨.
중국>전한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소극선(蘇克善)
조선 전기의 유학. 우봉 현령(牛峯縣令) 민계량(閔季良)의 맏사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