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소도(蘇塗)
삼한시대(三韓時代) 천군(天君)을 선발하여 천신(天神)에게 제사를 지낸 지역. 각 읍마다 큰 나무를 세워 방울을 달아 놓고 두드리면서 제사 지내던 곳으로, 신성불가침의 권한을 가지며, 솟대의 기원이 여기에서 유래함.
고대 , 유적>기타유적
-
소릉하(小凌河)
중국 요녕성(遼寧省) 대릉하(大凌河)의 서쪽에 있는 강 이름. 하북성(河北省) 명안객라산(明安喀喇山)에서 발원하여 동남쪽으로 흐르다가 요동만(遼東灣)으로 흘러듦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소림사(少林寺)
중국 하남성(河南省) 등봉현(登封縣) 숭산(嵩山)에 있는 사찰. 남북조시대 북위(北魏)의 효문제(孝文帝)가 불타선사(佛陀禪師)를 위해 창건했다고 하며, 달마(達磨)의 면벽(面壁)과 혜가(慧可)의 단비(斷臂) 전설로 유명함.
496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유적>건물>사찰
-
소만(小蠻)
중국 당(唐) 나라 때의 기생. 시인 백거이(白居易)의 가기(家妓)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기술인>기생
-
소망지(蕭望之)
중국 전한(前漢) 선제(宣帝)~원제(元帝) 때의 문신ㆍ학자. 홍공(弘恭)ㆍ석현(石顯) 등 환관의 전횡을 막아 제도를 개혁하려 하였으나 오히려 그들의 모함에 빠져 자살함.
B.C.106~B.C.47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소무(蘇武)
중국 전한(前漢) 무제(武帝)~선제(宣帝) 때의 충신. 무제 때 흉노(匈奴)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되었으나 절개를 지키다가 19년 만에 돌아와 전속국(典屬國)이 되었으며, 후에 선제를 옹립한 공으로 관내후(關內侯)에 봉해짐.
?~B.C.60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소문사학사(蘇門四學士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인인 소식(蘇軾)의 문하에서 인정을 받고 천거된 황정견(黃庭堅)ㆍ장뢰(張耒)ㆍ조보지(晁補之)ㆍ진관(秦觀)을 일컫는 말. 그들의 문학작품은 소식의 영향을 많이 받았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집단>조직
-
소문쇄록(謏聞瑣錄)
조선 전기 역관(譯官)인 조신(曺伸)이 고려 말 조선 초에 활동한 문인(文人)들의 동향과 일화 등에 대한 내용을 기록한 잡록(雜錄). 현재 원본은 전해지지 않음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소미도(蘇味道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ㆍ문인. 중종(中宗) 때 재상의 반열에 올랐으나 일 처리가 분명하지 못하여 ‘소모릉(蘇模棱)’으로 불림. 문장에 능하여 두심언(杜審言)ㆍ이교(李嶠)ㆍ최융(崔融) 등과 함께 ‘초당(初唐)의 문장사우(文章四友)’로 일컬어짐.
648~705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소백(召伯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경대부. 선공(宣公) 때 왕손소(王孫蘇)와 권력을 다투다가 그의 사주를 받은 왕자첩(王子捷)에게 죽임을 당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소백산(小白山)
지금의 경상북도 영주시(榮州市) 순흥면(順興面)과 충청북도 단양군(丹陽郡) 가곡면(佳谷面) 경계에 있는 산. 예로부터 태백산(太白山)과 함께 신성시되었으며, 산세가 웅장하고 명승고적이 많음.
충청도>단양ㅣ경상도>영천(榮川) , 지명>자연지명
-
소백산맥(小白山脈)
태백산(太白山) 부근에서 갈라져 나와 남해안의 여수반도(麗水半島)까지 이어진 산맥. 경상도와 전라도의 분수령을 이루며, 예로부터 죽령(竹嶺)ㆍ조령(鳥嶺) 등 크고 작은 고개들이 주요 교통로로 이용됨.
지명>자연지명
-
소백온(邵伯溫)
중국 송(宋) 나라 휘종(徽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소옹(邵雍)의 아들로, 정이(程頤)에게 수학하고 《역변혹(易辨惑)》ㆍ《견문록(見聞錄)》 등을 저술함. 태평관 제거(太平觀提舉) 등을 지냄.
1057~1134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소병(蘇昞)
중국 송(宋) 철종(哲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처음에 장재(張載)에게 배웠으나 나중에 정호(程顥)ㆍ정이(程頤)의 문인이 되었으며, 태상박사(太常博士)를 역임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소보(巢父)
중국 고대 요(堯) 임금 때의 고사(高士). 요 임금으로부터 나라를 다스려달라는 이야기를 듣고 영수(穎水)로 가 귀를 씻던 허유(許由)에게 진정한 은둔에 대해 논함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소봉(蘇逢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소세량(蘇世良)의 아들로, 1525년(중종 20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였고, 대사간(大司諫) 등을 역임함.
1509~156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익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수주시집(劉隨州詩集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인 유장경(劉長卿)의 시집. 11권.
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서명
-
유수창(柳壽昌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풍산(豊山). 청송 부사(靑松府使)를 지낸 유양춘(柳陽春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수천(柳壽千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공조 판서(工曹判書)를 지낸 유잠(柳潛)의 아버지로, 내자시 판관(內資寺判官)ㆍ귀후서 별제(歸厚署別提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숙(柳淑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기철(奇轍) 일당을 제거한 공으로 안사공신(安社功臣)에 책록되고, 홍건적의 난 때 공민왕을 호종한 공으로 충근절의찬화공신(忠勤節義贊化功臣)이 된 뒤 서령군(瑞寧君)에 봉해짐.
1324~1368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덕산ㅣ전라도>영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