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숙(柳潚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흥양(興陽). 예조 참의ㆍ대사간ㆍ부제학 등을 지냈으나, 인조반정(仁祖反正) 이후 계부(季父) 유몽인(柳夢寅)의 죄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풀려남. 고산(高山)의 삼현영당(三賢影堂)에 제향됨.
1564~1636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흥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순(庾純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문신. 중서령(中書令)ㆍ시중(侍中) 등을 지냈으며, 당시 권신 가충(賈充)과 대립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순(柳洵)
조선 세조(世祖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중종반정(中宗反正) 때 정국공신(靖國功臣) 문성부원군(文城府院君)에 봉해짐. 시부(詩賦)에 뛰어나 《연주시격(聯珠詩格)》을 한글로 번역하고, 의학ㆍ지리학에도 조예가 깊음.
1441~151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유순(柳淳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밀직사사(密直司使) 유언침(柳彦琛)의 아들로, 한림학사(翰林學士)를 지냈음.
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순보(柳順甫)
조선 전기의 유학. 권호문(權好文)의 《송암집(松巖集)》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순선(柳順善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호조 참판(戶曹參判) 유유(柳柔)의 아들이며, 유종선(柳從善)의 형으로, 승정원 승지(承政院承旨)ㆍ강원도 관찰사(江原道觀察使) 등을 지냄.
1516~157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순원(柳順源)
조전 전기의 문신. 《모재집(慕齋集)》에 〈유생원순원자진림정(柳生員順源子晉林亭)〉 등의 시(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순익(柳舜翼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인조반정(仁祖反正) 때 궁궐 호위를 완화시키는 임무를 수행하여 정사공신(靖社功臣)에 책록되고, 청천군(菁川君)에 봉해짐.
1559~163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유순정(柳順汀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.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참여해 정국공신(靖國功臣) 청천부원군(菁川府院君)에 봉해짐. 경오왜변(庚午倭變) 때 병사를 총괄하고 삼포(三浦)의 난을 평정함.
1459~151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유숭조(柳崇祖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전주(全州). 대사성(大司成)ㆍ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 도학정치(道學政治)를 실현하려던 성리학자로, 조광조(趙光祖) 등 신진 유림을 배출하는 데 공이 큼. 저서로 《진일재집(眞一齋集)》이 있음.
1452~151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유숭지(劉崇之)
중국 송(宋) 나라 영종(寧宗) 때의 문신. 주희(朱熹)의 문인(門人)으로, 병부 낭중(兵部郞中)ㆍ호부 낭중(戶部郎中) 등을 역임함.
1154~121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습(柳濕)
고려 후기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고려 말 도첨의시중(都僉議侍中)을 지낸 유탁(柳濯)의 아들로, 전주유씨(全州柳氏)의 시조. 조선 건국 후 이조 전서(吏曹典書)ㆍ중군 도총제(中軍都摠制) 등을 지냄.
1367~1439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흥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유승(劉勝)
중국 전한(前漢) 경제(景帝)의 아들. 삼국시대(三國時代) 촉(蜀)을 세운 유비(劉備)의 선조(先祖)로 중산정왕(中山靖王)에 봉해짐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
-
유승(柳陞)
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의 학자ㆍ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문화군(文化君) 유인기(柳仁奇)와 예문관 대제학(藝文館大提學)을 지낸 유돈(柳墩)의 아버지. 동지밀직사사(同知密直司事)ㆍ도첨의참리(都僉議參理)를 지냈으며, 저서로 《신의(新儀)》가 있음.
1248~1298 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유승단(兪升旦)
고려 명종(明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몽고(蒙古)의 침략을 피하기 위해 강화(江華)로 천도하려는 최우(崔瑀)의 계획에 반대함. 경사(經史)에 조예가 깊고 불전(佛典)에도 능통했음.
1168~1232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인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승선(柳承善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강음 현감(江陰縣監)을 지낸 유정(柳貞)의 아들로, 1546년(명종 1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해주 목사(海州牧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승순(柳承順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사육신(死六臣)의 한 사람인 유성원(柳誠源)의 형이자, 이조 정랑(吏曹正郞)을 지낸 유계분(柳桂芬)의 아버지로, 참의(參議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승종(兪承宗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문신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일본으로 가는 명 나라 책사(冊使) 이종성(李宗城)을 수행하여 조선에 왔으며, 접반사(接伴使)인 이항복(李恒福)과 가깝게 지냄. 시문(詩文)에 능하고 서법(書法)에도 뛰어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승현(柳升鉉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영조(英祖) 때 학자인 유도원(柳道源)의 아버지로, 1719년(숙종 45) 증광시(增廣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공조 참의(工曹參議)를 지냄. 저서로 《용와집(慵窩集)》이 있음.
1680~174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시번(柳時蕃)@1616
조선 효종(孝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유찬(柳燦)의 아들로, 1657년(효종 8) 알성시(謁聖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, 봉상시 주부(奉常寺主簿)ㆍ창원 부사(昌原府使)를 지냄.
1616~169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