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시번(柳時蕃)@1569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문화(文化). 손처눌(孫處訥)의 제자로, 1755년(영조 31) 청호서원(靑湖書院)에 배향됨.
1569~1616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시보(柳時輔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정사공신(靖社功臣)에 책록된 유구(柳䪷)의 아버지로, 횡성 현감(橫城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식(柳植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인후(金麟厚)의 《하서집(河西集)》에, 그가 술그릇과 화분을 보내준 데 대해 사례하는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식(柳軾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참판(參判)을 지낸 유윤덕(柳潤德)의 아버지로, 1507년(중종 2) 증광시(增廣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인천 부사(仁川府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신(劉信)
중국 전한(前漢) 때의 제후. 고조(高祖)의 조카로, 서주(舒州) 지역의 토지를 구획하고 경지를 정리하였으며 농수 공급과 홍수 방지를 위한 방죽을 쌓았음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유신(劉晨)
중국 후한(後漢) 명제(明帝) 때의 서생(書生). 전설에 완조(阮肇)와 함께 천태산(天台山)에 약초를 캐러 갔다가 선녀를 만나 혼인한 후 반년 만에 고향이 그리워 돌아와 보니, 자손이 이미 7대까지 내려가 있었다는 이야기가 전함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유신(庾信)
중국 남북조시대 양(梁) 나라의 시인(詩人). 서능(徐陵)과 함께 화려한 궁체시(宮體詩)를 즐겨 지음. 북조(北朝) 서위(西魏)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당한 뒤 청신한 시풍(詩風)으로 바뀌어 남북조 시문(詩文)을 집대성함.
513~581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유신(惟信)
조선 전기의 승려. 법장(法藏)의 제자로, 팔공산(八公山)의 사리사(闍梨寺)에서 수행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대구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유실(劉實)
중국 명(明) 나라 선종(宣宗)~영종(英宗) 때의 문신. 《송원통감강목(宋元通鑒綱目)》 편수에 참여하고 지남웅부(知南雄府) 등을 역임하였으나, 무함을 당하여 하옥되었다가 죽음.
1396~1461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심(劉諶)
중국 삼국시대 촉한(蜀漢) 후주(後主)의 아들. 후주 유선(劉禪)이 위(魏) 나라에 패하여 항복하려 할 때 끝까지 싸울 것을 요청하였으나 후주가 듣지 않자 먼저 처자(妻子)를 죽이고 자살함.
238~263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
-
유심춘(柳尋春)
조선 정조(正祖)~철종(哲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豊山). 유광수(柳光洙)의 아들로, 유발(柳潑)에게 출계함. 평소 《주자대전(朱子大全)》을 탐독하여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시문(詩文)에도 능함.
1762~183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안(劉安)
중국 전한(前漢)의 학자. 고조(高祖)의 손자. 빈객들과 함께 도가(道家) 사상에 의한 통일된 이론서 《회남자(淮南子)》를 저술하여 당시 유교(儒敎) 중심의 이론에 대항함. 무제(武帝) 때 반역을 기도했다가 실패한 뒤 자살함.
B.C.179~B.C.122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왕실>제후
-
유안세(劉安世)
중국 송(宋) 나라 때의 문신. 사마광(司馬光)의 제자. 간의대부(諫議大夫)로 직간(直諫)을 잘해 전상호(殿上虎)라는 별명을 얻음. 강직한 성품 때문에 평생 벽지(僻地)로 전전하며 귀양살이를 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안택(柳安澤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우의정(右議政)을 지낸 유관(柳寬)의 아버지로, 삼사 판관(三司判官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약(劉爚)
중국 송(宋) 나라 때의 문신ㆍ학자. 주희(朱熹)ㆍ여조겸(呂祖謙)에게 학문을 전수 받고, 공부 상서(工部尙書)를 지냄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유약(有若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학자. 공자(孔子)의 제자로, 공자의 모습과 닮아 공자가 죽은 뒤 제자들이 그를 스승처럼 섬기려 하였으나 증삼(曾參)의 반박으로 무산됨.
B.C.518~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유약(柳瀹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서산(瑞山)으로, 자신(子新) 유종덕(柳種德)의 장남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양(劉襄)
중국 전한(前漢)의 제(齊) 도혜왕(悼惠王) 유비(劉肥)의 아들. 혜제(惠帝) 때 유비(劉肥)의 뒤를 이어 제왕(齊王)이 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유양(柳壤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청천부원군(菁川府院君) 유순정(柳順汀)의 아버지로, 밀양도호부사(密陽都護府使)ㆍ광주 목사(光州牧使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양손(柳良孫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용양위 사과(龍驤衛司果)를 지낸 유공좌(柳公佐)의 아버지로, 전생서 영(典牲署令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