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양식(柳陽植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도지휘사(都指揮使)를 지낸 유의(柳依)의 아들로, 이조 참판(吏曹參判)을 지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양춘(柳陽春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豊山). 유수창(柳壽昌)의 아들로 청송 부사(靑松府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언술(兪彦述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기계(杞溪)로, 유복기(兪復基)의 아들. 직간(直諫)을 잘하여 영조에게 인정받았으며, 대사헌(大司憲)ㆍ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 등을 역임함.
1703~177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언침(柳彦琛)
고려 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정당문학(政堂文學)을 지낸 유공권(柳公權)의 아들로, 동지추밀원사(同知樞密院事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엄(柳渰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1507년(중종 2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 금부도사(禁府都事)로 조광조(趙光祖)에게 사약(賜藥)을 전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여(劉餘)
중국 전한(前漢) 경제(景帝)의 다섯째 아들. 경제 때 노공왕(魯恭王)에 봉해졌으며, 궁실(宮室) 치장을 좋아하여 확장 공사를 위해 공자(孔子)의 구택(舊宅)을 헐다가 벽 속에서 《상서(尙書)》ㆍ《논어(論語)》등의 고본(古本)을 발견함.
?~B.C.128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ㅣ인명>왕실>제후
-
유여(柳袽)
조선 후기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豊山). 풍원부원군(豐原府院君) 유성룡(柳成龍)의 아들이며, 정경세(鄭經世)의 문인인 유원지(柳元之)의 아버지로, 장수도 찰방(長水道察訪)을 지냈으며, 성리학에 조예가 깊음.
1578~160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여각(柳汝恪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참찬(參贊) 유간(柳澗)의 아들로, 1613년(광해군 5) 증광시(增廣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, 동래 부사(東萊府使)ㆍ강계 부사(江界府使) 등을 지냄.
1589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여림(兪汝霖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기계(杞溪)로,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를 지낸 유기창(兪起昌)의 아들. 1504년(연산군 10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호조 판서(戶曹判書)ㆍ예조 판서(禮曹判書) 등을 지냄. 저서로 《정당선생유고(政堂先生遺稿)》가 있음.
1476~153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여의(劉如意)
중국 전한(前漢) 고조(高祖)의 넷째 아들. 척부인(戚夫人)의 소생으로, 고조가 태자 유영(劉盈)를 폐하고 그를 세우려 하였으나 여후(呂后)와 대신들의 반대로 무산되었으며, 고조가 죽은 후 여후에게 독살당함.
B.C.201~B.C.194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ㅣ인명>왕실>제후
-
유여주(兪汝舟)
조선 전기의 유학. 중종(中宗) 때 현량과(賢良科)에 추천을 받았으나 급제하지 못하고, 기묘사화(己卯士禍)가 일어나자 비인(庇仁)에 은거하여 임벽당(林碧堂)을 짓고 독서와 서예로 일생을 마침.
1480~?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비인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여항(柳汝恒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참찬(參贊) 유간(柳澗)의 아들. 승정원 승지(承政院承旨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이괄(李适)의 난(亂) 후 고문으로 죽음.
1581~162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여해(兪汝諧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기계(杞溪). 유기창(兪起昌)의 아들로, 군기시 판관(軍器寺判官)을 지냄.
1461~151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연(劉縯)
중국 후한(後漢) 광무제(光武帝)의 큰 형. 신(新) 나라 왕망(王莽)의 군대를 격파하는데 공로가 있었으나, 경시제(更始帝) 유현(劉玄)에게 죽임을 당함.
?~23 중국>신 , 중국 , 인명>왕실>종친
-
유연(柳埏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로, 경상도 관찰사(慶尙道觀察使)를 지낸 유영순(柳永詢)의 아버지. 배천 군수(白川郡守)ㆍ함흥 판관(咸興判官)을 지내고, 후에 좌찬성(左贊成)에 추증됨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연당문집(悠然堂文集)
조선 선조(宣祖) 때 문신인 김대현(金大賢)의 문집. 4권 2책으로 구성된 목활자본이나, 간행 연대나 편찬 과정은 불확실함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유연생(柳衍生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유학. 기생 예성화(芮城花)를 빼앗기자 김보중(金寶重)ㆍ양여공(梁汝恭) 등을 반역죄로 무고하여 죽게 하고, 자신도 결국 난언죄(亂言罪)로 처형당함.
?~1431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염(兪琰)
중국 송(宋) 말~원(元) 초의 학자. 송 나라가 망하자 벼슬하지 않고 저술에 전념하여 《주역참동계발휘(周易參同契發揮)》등 많은 저서를 남김.
중국>원ㅣ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유염(柳琰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로, 문하평리(門下評理) 유혜손(柳惠蓀)의 아들. 조선 개국 후 이조 판서(吏曹判書)ㆍ대제학(大提學) 등을 지내고, 세종 때 청백리(淸白吏)에 녹선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영(劉英)
중국 후한(後漢) 광무제(光武帝)의 아들. 명제(明帝)의 동생으로, 황로(黃老)와 불교(佛敎)를 숭상했음. 명제(明帝) 때 모반죄로 처형당함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