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용근(柳庸謹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이조 판서(吏曹判書)를 지낸 유빈(柳濱)의 아들. 조광조(趙光祖) 일파로 지목되어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진원(珍原)에 유배됨.
1485~152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용량(柳用良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부제학(副提學)을 지낸 유희저(柳希渚)의 아들이며, 임진왜란 때 성절사(聖節使)로 공을 세웠던 유몽정(柳夢鼎)의 아버지로,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용심(柳用諶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문화(文化)로, 영암 군수(靈巖郡守)를 지낸 유희정(柳希汀)의 아들. 김안국(金安國)의 문하에서 유학하였으며, 문장(文章)에 능하였고 해서(楷書)를 잘 썼음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우(劉宇)
중국 전한(前漢) 선제(宣帝)의 아들. 원제(元帝)가 즉위한 후 전횡(專橫)하였음.
?~B.C.21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ㅣ인명>왕실>제후
-
유우(柳藕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진주(晉州). 갑자사화(甲子士禍)로 스승 김굉필(金宏弼)이 죽자 벼슬을 단념하고 학문과 교육에 전심함. 《주역(周易)》에 정밀하고, 천문ㆍ복서(卜筮)ㆍ음률ㆍ서화에도 정통함.
1473~153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학자
-
유우삼(劉友參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거창(居昌)으로, 기자전 참봉(箕子殿參奉)을 지낸 유관(劉瓘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거창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우석(劉禹錫)
중국 당(唐) 나라 덕종(德宗)~무종(武宗) 때의 문신ㆍ시인. 왕숙문(王叔文)ㆍ유종원(柳宗元) 등과 함께 정치 개혁을 시도하였으나 낭주 사마(朗州司馬)로 좌천되고, 만년에는 백낙천(白樂天)과 교유함.
772~842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유운(劉雲)
중국 전한(前漢) 애제(哀帝) 때의 제후. 애제 즉위 초에 모반(謀反)을 일으키려 한다는 식부궁(息夫躬)의 무고(誣告)로 치죄(治罪)를 받게 되자 자살하였으며, 뒤에 기시(棄市)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유운(柳澐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豊山). 정조(正祖) 때 도사(都事) 등을 지낸 유종춘(柳宗春)의 아버지로, 황간 현감(黃澗縣監) 등을 지내고 가의대부(嘉義大夫)에 올랐으며, 풍창군(豊昌君)에 습봉(襲封)됨.
1701~176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운(柳雲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로, 유공좌(柳公佐)의 아들. 기묘사화 때 대사헌(大司憲)으로서 조광조(趙光祖)를 구원하려다가 파직당한 뒤 낙향하여 술로 울분을 달래다 죽음. 편저로 《진수해범(進修楷範)》이 있음.
1485~152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안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운룡(柳雲龍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유성룡(柳成龍)의 형이며 이황(李滉)의 문인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풍기 군수(豊基郡守)로 부임하여 백성들의 생업을 보호하는 데 힘썼으며, 효성이 지극함.
1539~160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유원(劉遠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1545년 조선 인종(仁宗)의 국상(國喪) 때 태감(太監)으로서 행인(行人) 왕학(王鶴)과 함께 황제가 내린 제전(祭典)ㆍ시호(諡號)ㆍ부의(賻儀)를 가지고 사신으로 옴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원(柳源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공양왕(恭讓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삼중대광 진천군(三重大匡晉川君)에 봉해진 유지정(柳之淀)의 아들로, 정몽주(鄭夢周) 등과 함께 북방 수비에 공을 전력하고, 지공거(知貢擧)로서 과거를 관장함.
1341~1392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원강(留元剛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국사원 편수관(國史院編修官)ㆍ실록원 검토관(實錄院檢討官) 등을 지냈으며, 저서로 《운록집(雲麓集)》 등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원리(柳元履)
조선 후기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豊山). 숙종(肅宗) 때 사간원 헌납(司諫院獻納) 등을 지낸 유세명(柳世鳴)의 아버지로, 현감(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원지(柳元之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유성룡(柳成龍)의 손자이며, 정경세(鄭經世)의 문인으로, 경서(經書)ㆍ제자서(諸子書)에 능통함. 이황(李滉)의 이발기발설(理發氣發說)에 동조하고, 효종(孝宗)의 복상문제(服喪問題) 때 삼년설을 주장함.
1598~167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유원총보(類苑叢寶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육(金堉)이 엮은 유서(類書). 목판본. 46권 30책. 1643년(인조 21)에 남선(南銑)이 간행함. 저자가 중국의 여러 서적을 참고하여 편찬한 일종의 백과사전으로, 천도(天道)ㆍ천시(天時)ㆍ지도(地道)ㆍ제왕(帝王) 등 25문(門)으로 나누어 편집함.
164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문헌>서명
-
유원현(柳元顯)
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고려 후기의 문신인 문화군(文化君) 유진(柳鎭)의 아들로, 검교(檢校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춘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유(柳柔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승정원 승지(承政院承旨)를 지낸 유순선(柳順善)과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를 지낸 유종선(柳從善)의 아버지로, 호조 참판(戶曹參判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유기(柳有奇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고흥(高興). 공민왕(恭愍王) 때 도첨의 시중(都僉議侍中) 등을 지낸 유탁(柳濯)의 아버지로, 판밀직사사(判密直司事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흥양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