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유춘(柳有春)
조선 후기의 무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선조(宣祖) 때 교리(校理)를 지낸 유중룡(柳仲龍)의 아버지로 충의위(忠義衛)를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무신
-
유윤(柳潤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생원. 본관은 문화(文化). 대구부 교수(大丘府敎授)를 지낸 유종(柳從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윤겸(柳允謙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《분류두공부시언해(分類杜工部詩諺解)》25권을 완성하여 강희안(姜希顔)의 필체인 을해자(乙亥字)로 간행하고, 서거정(徐居正)ㆍ노사신(盧思愼) 등과 함께 《연주시격(聯珠詩格)》과 《황산곡시집(黃山谷詩集)》을 번역함.
1420~?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윤덕(柳潤德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로, 홍문관 전한(弘文館典翰)을 지낸 유식(柳軾)의 아들. 대사헌(大司憲)ㆍ도승지(都承旨)ㆍ전라도 관찰사(全羅道觀察使) 등을 역임함.
1489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은(柳溵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흥양(興陽). 유충정(柳忠貞)의 아들로, 1570년(선조 3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였으며, 좌랑(佐郞)을 역임함.
1540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은지(柳殷之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세조(世祖)를 도와 정난공신(靖難功臣)이 된 유수(柳洙)의 아버지로 동지중추원사(同知中樞院事)를 지냄.
1370~1441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응규(庾應圭)
고려 의종(毅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무송(茂松). 음보(蔭補)로 내시가 되었으나 무신의 난 이후 세운 여러 공으로 관직이 공부 시랑(工部侍郞)에 이름.
1131~1175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무장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응룡(柳應龍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로, 영의정을 지낸 유순(柳洵)의 장남. 이조 참판(吏曹參判)ㆍ동지돈녕부사(同知敦寧府事) 등을 지냈음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응부(兪應孚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기계(杞溪). 단종(端宗)을 위하여 사절(死節)한 사육신(死六臣)의 한 사람. 무신이면서도 유학에 뜻이 깊고, 절개(節介)ㆍ충의(忠義)의 상징으로 추앙받음.
?~1456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포천 , 인명>관인>무신
-
유의(柳依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이조 참판(吏曹參判)을 지낸 유양식(柳陽植)의 아버지로, 순문사(巡問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의(柳儀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선조(宣祖) 때 영의정(領議政)을 지낸 유영경(柳永慶)과 예조 참판(禮曹參判)을 지낸 유영길(柳永吉)의 아버지로, 참봉(參奉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의검(兪義儉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진(康津). 양녕대군(讓寧大君)의 외손자로, 승문원 저작(承文院著作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강진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의경(劉義慶)
중국 남북조시대 송(宋) 나라 문제(文帝) 때의 문신ㆍ문인. 무제(武帝) 유유(劉裕)의 조카로, 성품이 소박하고 문학을 좋아하여 《세설신어(世說新語)》ㆍ《유명록(幽明錄)》 등을 저술하였으며, 개부의동삼사(開府儀同三司) 등을 지냄.
403~444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종친
-
유이(劉彛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~철종(哲宗) 때의 문신ㆍ문인. 호원(胡瑗)의 문인(門人)으로, 구산 영(胊山令) 시절 선정을 베풀었으나, 일로 인하여 제명되어 서민이 되었다가 철종 때 소환됨. 《수경주(水經注)》ㆍ《명선집(明善集)》등 많은 저술을 남김.
1017~1086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유이손(柳耳孫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서화가. 도화서(圖畫署) 화원(畫員)으로 서예에도 능했으며, 사자청(寫字廳)의 설립을 최초로 건의하여 사자관(寫字官)을 지냄. 신정(申珽)ㆍ유항(柳沆)등이 번역한 유향(劉向)의 《열녀전(列女傳)》을 사자(寫字)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유인(劉因)
중국 원(元) 나라 세조(世祖) 때의 문신ㆍ학자. 학행(學行)이 뛰어나 집현전 학사(集賢殿學士) 등 여러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사양함. 정주학(程朱學)을 신봉하여 허형(許衡)과 함께 원 나라의 이대가(二大家)로 일컬어짐.
1249~1293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유인귀(柳仁貴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사간(司諫)을 지낸 유문통(柳文通)의 아들. 봉상시 정(奉常寺正)ㆍ성균관 대사성(成均館大司成)을 지냄.
1463~153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인기(柳仁奇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로, 지도첨의사사(知都僉議司事)를 지낸 유승(柳陞)의 아들.
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인비(柳仁庇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문하평리(門下評理) 유혜손(柳惠蓀)의 아버지로, 정당문학(政堂文學)ㆍ판시사(判寺事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인선(柳仁善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효자. 본관은 문화(文化). 유자미(柳自湄)의 재종손(再從孫)으로, 사산 감역(四山監役)을 역임함. 효성과 우애가 지극하여 조정에서 ‘효우문(孝友門)’을 정려(旌閭)하였으며, 양사언(楊士彦)이 〈효우문전(孝友門傳)〉을 지음.
1492~?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포천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