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인수(柳仁洙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1513년(중종 8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안변 부사(安邊府使)ㆍ사섬시 정(司贍寺正) 등을 지냄. 《대관재난고(大觀齋亂稿)》에 심의(沈義)가 보낸 글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인숙(柳仁淑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공조 판서(工曹判書) 등을 지냄. 명종(明宗) 즉위 후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종사(宗嗣)를 모위하였다는 죄목으로 귀양가던 도중 사사(賜死)되었다가 선조(宣祖) 때 신원(伸寃)됨.
1485~154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인우(柳仁雨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무신. 1356년(공민왕 5)에 동북면 병마사(東北面兵馬使)로 쌍성총관부(雙城摠管府)에 나가 이자춘(李子春) 부자의 내응을 얻어 총관부를 수복하고 옛 땅을 되찾음. 최유(崔濡)와 함께 덕흥군(德興君) 왕혜(王譓)를 옹립하려다가 잡혀 죽음.
?~1364 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무신
-
유일재선생일고(唯一齋先生逸稿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학자인 김언기(金彦璣)의 시문집. 1700년대 후반에 후손들이 광산김씨(光山金氏) 3대의 시문집을 합편ㆍ간행한 《용산세고(龍山世稿)》권1,2에 수록됨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유자(柳滋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영의정(領議政)을 지낸 유순정(柳順汀)의 아들로 황간 현감(黃澗縣監)ㆍ금구 현령(金溝縣令) 등을 지냈음.
1491~153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자공(柳自恭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진주(晉州).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장살(杖殺)된 유정(柳貞)의 아버지로, 병조 참의(兵曹參議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자광(柳子光)
조선 세조(世祖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무오사화(戊午士禍)를 일으켜 사림파(士林派)를 제거하여 훈구파(勳舊派)의 기반을 굳힘. 중종반정 때 무령부원군(武靈府院君)으로 봉해졌다가 홍문관(弘文館)ㆍ예문관(藝文館)의 탄핵으로 유배되어 죽음.
?~1512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영광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자광전(柳子光傳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인 남곤(南袞)의 저서. 무오사화(戊午士禍)의 주도자인 유자광(柳子光)에 대한 기록으로 사건의 전말을 당시의 안목으로 가장 쉽게 알아볼 수 있게 정리함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작품명
-
유자도(柚子島)
경상도 거제(巨濟)의 북쪽에 있던 옛 고을 이름. 2개의 섬이 있으며, 온 섬에 유자나무가 있음. 현재 거제시 신현읍(新縣邑) 교도(橋島)를 말하며, 이순신(李舜臣) 장군이 진을 옮긴 적이 있음.
경상도>거제 , 지명>행정지명
-
유자량(庾資諒)
고려 명종(明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무송(茂松). 무인(武人)들과 교제하여 무신의 난 때 화를 면하였고, 내외직을 두루 역임한 뒤 상서좌복야(尙書左僕射)로 치사(致仕)하였음.
1150~1229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무장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자미(柳自湄)
조선 문종(文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문종 때 감찰(監察) 등을 지냈으나 세조의 즉위 후 은거하여 평생 절의를 지킴. 글씨와 그림에 능하여 유작〈지곡송학도(芝谷松鶴圖)〉한 점이 전함. 양산(梁山)의 구산사(龜山祠)에 제향됨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자빈(柳自濱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이조 참판(吏曹參判)을 지낸 유양식(柳陽植)의 아들로, 1462년(세조 8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장원으로 합격한 뒤 의정부 사인(議政府舍人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자산문집(庾子山文集)
중국 남북조시대 양(梁) 나라의 시인(詩人)인 유신(庾信)의 저서. 20권. 남북조의 시문을 집대성하고 당대(唐代) 율시(律詩)의 선구가 된 저자의 시문을 수록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유자신(柳自新)
조선 제15대 광해군(光海君)의 국구(國舅). 유잠(柳潛)의 아들이자 이담(李湛)의 문인으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선조(宣祖)와 세자 광해군을 호종함. 도총부 도총관(都摠府都摠管) 등을 지내고, 광해군 즉위 후 문양부원군(文陽府院君)에 봉해짐.
1541~1612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유자옥(兪子玉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임훈(林薰)의 《갈천집(葛川集)》에 그의 〈유두류록(遊頭流錄)〉에 대해 쓴 글이 실려 있으며, 황준량(黃俊良)의 《금계집(錦溪集)》에도 그와 함께 용유담(龍遊潭)을 유람하면서 지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자온(柳子溫)@당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. 태자 소사(太子少師)를 지낸 유공권(柳公權)과 헌종(憲宗) 때 병부 상서(兵部尙書)를 지낸 유공작(柳公綽)의 아버지로, 단주 자사(丹州刺史)를 지냄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자온(柳子溫)@조선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풍산(豊山). 중종(中宗) 때 군자감 첨정(軍資監僉正)을 지낸 유공작(柳公綽)과 예조 정랑(禮曹正郞)을 지낸 유공권(柳公權)의 아버지로, 이조 판서(吏曹判書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자우(劉子羽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정강지변(靖康之變) 때 자결한 유갑(劉韐)의 아들로, 진강지부(鎭江知府)ㆍ참의사(參議事) 등을 지냈음. 주희(朱熹)의 스승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유자훈(劉子勛)
중국 남북조시대 송(宋) 나라 효무제(孝武帝)의 셋째 아들. 효무제가 죽은 후 하매(何邁)의 옹립을 받았으나 전폐제(前廢帝)의 방해로 실패함. 명제(明帝) 때 등완(鄧琬) 등이 거병하여 황제로 옹립하였으나, 싸움에 패한 뒤 심양(尋陽)에서 피살됨.
456~466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
-
유자휘(劉子翬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스승으로, 저서에는 《병산집(屛山集)》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