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작(游酢)
중국 송(宋) 나라 신종(神宗)~휘종(徽宗) 때의 문신. 정호학(程顥學)에 매진하여 '정문사제자(程門四弟子)'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지고, 감찰어사(監察御史)ㆍ지호주(知濠州) 등을 지냄.
1053~112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잠(柳潛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1540년(중종 35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공조 판서(工曹判書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장(劉章)
중국 전한(前漢) 때 제(齊) 도혜왕(悼惠王)의 아들. 한(漢) 나라 초기에 여후(呂后)가 죽자, 주발(周勃)ㆍ진평(陳平) 등과 함께 여씨(呂氏)를 주벌하고 대왕(代王) 항(恒)을 제위에 추대하였음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유장(劉長)
중국 전한(前漢) 고조(高祖)의 아들. 한(漢) 문제(文帝) 때에 모반(謀反)한 일이 발각되어 촉군(蜀郡)에 유배되었는데 스스로 굶어 죽었음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ㅣ인명>왕실>제후
-
유장경(劉長卿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ㆍ시인. 오언시(五言詩)에 능하여 오언장성(五言長城)이라 불리고, 전원과 산수 묘사는 도연명(陶淵明)ㆍ왕유(王維)ㆍ맹호연(孟浩然) 등과 통함. 육주 사마(陸州司馬)ㆍ수주 자사(隨州剌史) 등을 지냄.
725~791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유재(劉宰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인. 진사(進仕)에 급제하였으나 은거하여 저술활동을 하였고, 저서로 《만당집(漫塘集)》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유적(兪迪)
고려 말의 무신. 본관은 강진(康津). 감문위 상장군(監門衛上將軍) 등을 지냈으며, 강진유씨(康津兪氏)의 시조가 됨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강진 , 인명>관인>무신
-
유전(柳㙉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로, 상서원 직장(尙瑞院直長) 유예선(柳禮善)의 아들. 정여립(鄭汝立)의 옥사를 다스린 후 평난공신(平難功臣)에 책록되고, 영의정(領議政) 등을 지냄.
1531~158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유점동(鍮店洞)
조선시대 한양(漢陽)의 돈화문(敦化門) 밖에 있었던 고을 이름. 규암(圭菴) 송인수(宋麟壽)와 추파(秋坡) 송기수(宋麒壽)의 출생지.
서울 , 지명>행정지명
-
유점사(楡岾寺)
강원도 고성(高城)의 금강산(金剛山)에 있는 사찰. 신라 남해왕(南解王) 때 세워졌으며, 조선 고종(高宗) 때 소실되었다가 중건됨. 금강산 4대 명찰(名刹)의 하나.
4 한국>신라 , 강원도>고성 , 유적>건물>사찰
-
유정(劉楨)
중국 후한(後漢)~삼국시대 위(魏) 나라의 문장가. 건안칠자(建安七子) 중의 한 사람.
?~217 중국>삼국시대ㅣ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유정(劉綎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무신. 유현(劉顯)의 아들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참전하여 동일원(董一元)과 함께 제독(提督)의 직책을 수행하면서 크게 활약함. 후에 요동(遼東)에서 후금(後金)을 정벌하던 중 전사함.
?~1619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유정(惟政)
조선 명종(明宗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승려ㆍ의병장. 본관은 풍천(豐川)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스승 휴정(休靜)과 함께 승병(僧兵)을 모아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, 네 차례에 걸쳐 왜장 가등청정(加藤淸正)과 회담을 가짐.
1544~161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ㅣ인명>종교인>승려
-
유정(柳挺)
고려 의종(毅宗)~고종(高宗) 때의 무신. 진주유씨(晉州柳氏)의 시조. 최충헌(崔忠獻)의 외조부로, 중서령(中書令) 좌우위(左右衛) 상장군(上將軍)에 이르렀고 진강부원군(晉康府院君) 봉해짐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무신
-
유정(柳貞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파직되고, 이홍윤(李洪胤)의 옥사에 연루되어 장살(杖殺)되었음.
1491~1549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정(留正)
중국 송(宋) 나라 고종(高宗)~영종(寧宗) 때의 문신. 광종(光宗) 때 좌승상(左丞相)이 되어 조여우(趙汝愚)ㆍ황상(黃裳) 등 많은 인재를 등용하였으나, 영종 때 한탁주(韓侂冑)와의 불화로 인해 파직되었으며, 후에 위국공(魏國公)에 봉해짐.
1129~1206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정부선생집(游定夫先生集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인 유작(游酢)의 문집. 본래 청(淸) 나라 1746년에 《유치산선생집(游廌山先生集)》으로 간행하였던 것을 1867년 화주관사(和州官舍)에서 유작의 전기(傳記) 등을 첨부하여 중간함. 《논어잡해(論語雜解)》ㆍ《맹자잡해(孟子雜解)》및 저자의 시문을 수록함.
1867 중국>청 , 중국 , 문헌>서명
-
유정수(柳廷秀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이조 정랑(吏曹正郞)ㆍ봉상시 첨정(奉常寺僉正) 등을 지냈으며, 김종직(金宗直)의 사옥(史獄) 때 항론(抗論)하다 장배(杖配)되었음.
1451~1501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정언(劉正彦)
중국 송(宋) 나라 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위주 자사(威州刺史) 등을 지냄. 묘부(苗傅)와 함께 반란을 일으켜 고종의 아들 부(旉)를 옹립하였으나, 장준(張浚)의 반정(反正)으로 실패하고 한세충(韓世忠)에게 생포된 뒤 건강(建康)에서 피살됨.
?~1129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정유고(柳亭遺稿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인 장옥(張玉)의 문집. 1천여 편에 달하는 저자의 시문을 이암(頤庵) 송인(宋寅)이 모아 교정하고 이를 기초로 문집을 간행하려 했으나 사화(士禍)와 임진왜란 등에 의해 번번히 실패하고, 남은 유작들만을 모아 간행함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