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정지(劉定之)
중국 명(明) 나라 영종(英宗)~헌종(憲宗) 때의 문신ㆍ문인. 예부 시랑(禮部侍郞) 등을 지냈으며, 학문이 깊고 시문(詩文)에 능함. 저서로 《매재집(呆齋集)》ㆍ《역경도석(易經圖釋)》등이 있음.
1409~1469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유제(類祭)
천자(天子)나 군왕(君王)이 군사가 출정(出征)하기에 앞서 상제(上帝)에게 올리는 제사.
법제>의례>국가의례
-
유제두(柳齊斗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서산(瑞山). 유학 유경지(柳瓊枝)의 아들로, 서산유씨(瑞山柳氏) 31세손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조순(柳祖詢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유우(柳藕)의 아들이고, 유조인(柳祖訒)의 형으로, 현령(縣令) 등을 역임하였으며, 박응순(朴應順)ㆍ박응복(朴應福) 형제를 가르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조인(柳祖訒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이중호(李仲虎)의 문인으로, 충효와 절의로 천거되어 이천 현감(伊川縣監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임진왜란 때 선조와 세자 광해군을 호종한 공으로 호성원종공신(扈聖原從功臣)에 책록됨.
1522~159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유종(劉琮)
중국 후한(後漢) 말의 군웅(群雄). 형주 자사(荊州刺史) 유표(劉表)의 둘째 아들로, 채모(蔡瑁)와 장윤(張允) 등의 도움을 받아 유표의 군웅 지위를 계승하였으나 적벽(赤壁) 싸움에 앞서 조조(曹操)에게 항복함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종친
-
유종(柳從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중종(中宗) 때의 생원 유윤(柳潤)의 아버지로, 봉정대부(奉正大夫)로서 대구부 교수(大丘府敎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종(裕宗)
중국 원(元) 세조(世祖)의 손자. 성종(成宗)의 아버지로, 이름은 진금(眞金)이며, 유종(裕宗)으로 추존되었음.
중국>원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유종덕(柳種德)
조선 후기의 무신. 본관은 서산(瑞山). 유진태(柳振泰)의 아들이며, 유학 유약(柳瀹)과 유협(柳浹)의 아버지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관인>무신
-
유종례(柳宗禮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의서 습독관(醫書習讀官) 유희임(柳希任)의 아들이며, 권호문(權好文)의 동서(同壻)이자 김성일(金誠一)의 사돈으로, 습독(習讀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종룡(柳從龍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문화(文化). 예조 참의(禮曹參議) 유인호(柳仁濠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종선(柳從善)@1519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유유(柳柔)의 아들이며, 유순선(柳順善)의 아우로, 호조 참의(戶曹參議)ㆍ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등을 역임함.
1519~157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종선(柳從善)@조선전기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은사(隱士). 본관은 진주(晉州). 파주 목사(坡州牧使)를 지냈으나, 산에 은거한 뒤로 친구와 친척들도 그의 얼굴을 보기가 드물었다고 함. 조헌(趙憲)의 《조천기(朝天記)》에 파주 목사 시절의 행적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은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유종식(柳宗植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성종(成宗) 때 사간원 사간(司諫院司諫)을 지낸 유문통(柳文通)의 아버지로 공조 참판(工曹參判)을 지냈으며, 적개원종공신(敵愾原從功臣)에 녹훈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유종원(柳宗元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ㆍ문신. 당송팔대가(唐宋八代家)의 한 사람. 고문(古文)의 대가로서 한유(韓愈)와 병칭되었으나 사상적 입장에서는 서로 대립함. 우언(寓言) 형식을 취한 풍자문(諷刺文)과 산수(山水)를 묘사한 산문에도 뛰어남.
773~819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문사>문인
-
유종인(柳宗仁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문화(文化). 의서 습독관(醫書習讀官) 유희임(柳希任)의 아들이며, 유종례(柳宗禮)의 형.
1516~1545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종인(柳種仁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서산(瑞山). 서산유씨(瑞山柳氏) 28세손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청주 목사(淸州牧使)를 지낸 유섭(柳涉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종일(柳宗日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문화(文化). 유함(柳諴)의 아들이며, 조계(潮溪) 유종지(柳宗智)의 동생. 하항(河沆)의 《각재집(覺齋集)》에 그가 병문안을 온 데 대해 사례하는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종지(柳宗智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문화(文化). 조식(曺植)의 문인으로, 노신(盧禛)ㆍ임훈(林薰)ㆍ최영경(崔永慶)ㆍ정구(鄭逑) 등과 교유하였으나, 정여립(鄭汝立) 모반사건에 연루되어 옥중에서 장살(杖殺)됨.
1546~158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종춘(柳宗春)
조선 정조(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豐山). 유운(柳澐)의 아들로, 도사(都事)를 지냄. 정유일(鄭惟一)의 《문봉집(文峯集)》을 간행할 때 정유일이 수행했던 원접사(遠接使) 일행의 기록을 보내주어 문집 간행에 도움을 줌.
1720~179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