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종학(柳種學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서산(瑞山). 유진태(柳振泰)의 아들로, 유정태(柳挺泰)에게 출계(出系)함. 유흡(柳洽)의 아버지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좌(柳佐)
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문성부원군(文城府院君) 유량(柳亮)의 아들이며, 서원군(西原君) 정총(鄭摠)의 사위로, 전사령(典祀令)ㆍ공조 정랑(工曹正郞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주(幽州)
중국 하북성(河北省) 일부와 요령성(遼寧省) 일대에 있던 고을 이름. 구주(九州)의 하나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유주(柳袾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豐山). 원주 목사(原州牧使)를 지낸 유운룡(柳雲龍)의 장남으로, 평릉 찰방(平陵察訪)을 지냄.
1560~160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중광(柳重光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광해군(光海君) 때의 유학 유찬(柳燦)의 아버지로,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중련(柳仲連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풍산(豐山). 권호문(權好文)과 함께 안동(安東)의 학가산사(鶴駕山寺)에서《서경(書經)》ㆍ《주역(周易)》을 강독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중룡(柳仲龍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유유춘(柳有春)의 아들이며, 오건(吳健)의 문인.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의병을 일으켜 김면(金沔)ㆍ곽재우(郭再祐)의 휘하에서 활약함. 성균관 사성(成均館司成) 등을 지냄.
1558~1635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중엄(柳仲淹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유공석(柳公奭)의 아들. 종질인 유성룡(柳成龍)ㆍ유운룡(柳雲龍)과 함께 이황(李滉)의 문하에서 동문수학함. 황준량(黃俊良)ㆍ오건(吳健) 등과 교유함.
1538~157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
-
유중영(柳仲郢)@당
중국 당(唐) 나라 헌종(憲宗)~선종(宣宗) 때의 문신. 병부 상서(兵部尙書)를 지낸 유공작(柳公綽)의 아들로, 이부 낭중(吏部郞中)ㆍ형부 상서(刑部尚書) 등을 지내고 학문이 뛰어나 《상서이십사사잠(尙書二十四司箴)》등의 저술을 찬함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중영(柳仲郢)@조선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서애(西厓) 유성룡(柳成龍)의 아버지로 황해도 관찰사(黃海道觀察使)ㆍ예조 참의(禮曹參議) 등을 지내고, 청백리(淸白吏)로 이름을 떨침.
1515~157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즙(柳濈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서산(瑞山). 유종인(柳種仁)의 아들.
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지(劉摯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~철종(哲宗) 때의 문신. 철종 때 원우 삼당(元祐三黨)의 하나인 삭당(朔黨)의 영수가 되어 정이(程頤)의 낙당(洛黨) 및 소식(蘇軾)의 촉당(蜀黨)과 함께 정쟁(政爭)을 벌이고, 우복야(右僕射) 등을 지냄.
1030~109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지(劉砥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를 스승으로 섬기고,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유지(柳輊)
조선 단종(端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감찰(監察)을 지낸 유자미(柳自湄)의 아들로, 1453년(단종 1)에 증광시(增廣試)에 급제하여 찬성(贊成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지번(柳之蕃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내의(內醫). 명종(明宗) 때 의원 김윤은(金允誾)과 함께 《달학이해방(疸瘧易解方)》을 편집하였으며, 중궁(中宮)의 산실의원(産室醫員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기술인>의원
-
유지승(柳智承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豐山). 선조(宣祖) 때의 학자 유빈(柳贇)의 아버지로, 승훈랑(承訓郞)에 이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지욱(柳之煜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전주(全州). 유진정(柳震楨)의 아들로, 1628년(인조 6) 유효립(柳孝立)과 함께 광해군(光海君)을 상왕으로 삼고 선조의 일곱째 서자인 인성군(仁城君) 이공(李珙)을 추대하려다 처형됨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지정(柳之淀)
고려 충정왕(忠定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검교첨의평리(檢校僉議評理) 개성윤(開城尹)을 지낸 유간(柳玕)의 아들로, 상서 우복야(尙書右僕射)를 지냈고, 진천군(晉川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직경(柳直卿)
조선 전기의 유학. 철산부수(鐵山副守) 이효순(李孝順)ㆍ회산(檜山) 정환(丁煥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해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진(柳袗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豊山). 유성룡(柳成龍)의 아들로, 주로 외직에 종사하며 세신(世臣)의 후예로서 평생을 청렴하게 보내 사후 이조 참판(吏曹參判)에 추증되었으며, 안동(安東)의 병산서원(屛山書院)에 제향됨.
1582~163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