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진(柳鎭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로, 예문관 대제학(藝文館大提學)을 지낸 유돈(柳墩)의 아들.
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진동(柳辰仝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함경도 관찰사(咸鏡道觀察使)ㆍ공조 판서(工曹判書)를 역임했음. 문사(文詞)에 뛰어났으며, 죽화(竹畵)를 잘 그렸음.
1497~156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진옹(劉辰翁)
중국 송(宋) 말~원(元) 초의 문신ㆍ시인. 저서로는 《수계집(須溪集)》이 있으며, 《세설신어(世說新語)》에 평점을 찍어 소설 평점의 효시를 이루었음.
1232~129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유진정(柳震楨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정인홍(鄭仁弘)의 생질로, 폐모론(廢母論)에 찬성하였다가 인조반정 후 금성(金城)에 유배되고, 아들 유지욱(柳之煜)이 인성군(仁城君) 이공(李珙)을 추대하려다 역모죄로 처형될 때 함께 사사됨.
1563~162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진태(柳振泰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서산(瑞山)으로, 자신(子新) 유종덕(柳種德)의 아버지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질(柳洷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함안 군수(咸安郡守)를 지냈으며, 1488년(성종 19) 진주(晉州) 촉석루(矗石樓)에서 조위(曺偉)ㆍ김일손(金馹孫) 등과 금란계(金蘭契)를 맺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차달(柳車達)
고려 태조(太祖) 때의 문신ㆍ공신. 문화유씨(文化柳氏)의 시조. 태조 때 식량수송에 공을 세워 대승(大丞)에 제수되고 익찬벽상공신(翊贊壁上功臣)에 녹훈됨.
한국>고려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기타인명>공신
-
유찬(兪瓚)
고려 후기의 문신. 판사(判事)를 역임하였으며, 이색(李穡)의 《목은시고(牧隱詩稿)》와 이숭인(李崇仁)의 《도은집(陶隱集)》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찬(柳燦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의 유학. 유중광(柳重光)의 아들로, 이이첨(李爾瞻) 등 대북파(大北派)가 일으킨 해주옥사(海州獄事)에 연루되어 장인인 최기(崔沂)와 함께 옥사(獄死)함.
1569~161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창(劉敞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강릉유씨(江陵劉氏)의 시조로, 조선 건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(開國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태조(太祖)에게 여러 차례 《대학연의(大學衍義)》를 진강함.
?~1421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유창(劉蒼)
중국 후한(後漢) 광무제(光武帝)의 아들. 박학다재(博學多才)하여 공경(公卿)들과 주요 제도를 의정(議定)하였으며, 명제(明帝)의 두터운 신임을 받음.
?~83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
-
유창문(柳昌門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예빈시 별제(禮賓寺別提) 유윤(柳潤)의 아들.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도승지(都承旨) 유인숙(柳仁淑)의 일가라는 이유로 이조 정랑(吏曹正郞) 직책을 삭탈당하였으며, 후에 형조 참판(刑曹參判)을 역임함.
1514~1570 한국>조선전기 , 서울ㅣ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창예(劉昌裔)
중국 당(唐) 나라 덕종(德宗)~헌종(憲宗) 때의 무신. 양혜림(楊惠琳)이 반란을 일으키자 그를 설복(說服)시킴. 검교상서좌복야 겸 좌룡무통군(檢校尙書左僕射兼左龍武統軍) 등을 지내고 팽성군공(彭城郡公)에 봉해짐.
?~813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유척기(兪拓基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기계(杞溪). 김창집(金昌集)의 문인으로, 소론(少論)의 탄핵을 받아 유배되었다가 노론(老論) 집권 때 영의정 등을 지냄. 신임사화(辛壬士禍)로 사사된 김창집ㆍ이이명(李頤命)을 복관시킴.
1691~1767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천마산록(遊天磨山錄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인 박은(朴誾)이 개성(開城)의 천마산(天磨山)을 유람한 후 쓴 기행록. 《와유록(臥遊錄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유천봉(劉天鳳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조선의 개국공신(開國功臣) 유창(劉敞)의 아버지로, 안악 군사(安岳郡事)를 지내고 충근익대수의협찬보조공신(忠勤翊戴守義協贊褓祚功臣)에 추증됨.
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천식(柳天植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문화(文化). 유혜적(柳惠迪)의 아들로, 순조(純祖) 때 원주(原州) 송곡서원(松谷書院)에서 유방선(柳方善)의 문집인《태재집(泰齋集)》을 중간함.
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천우(兪千遇)
고려 고종(高宗)~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무안유씨(務安兪氏)의 시조로, 지주사(知奏事)ㆍ정당문학(政堂文學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사치와 뇌물로 인해 비난을 받았음.
1209~1276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무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천유고(柳川遺稿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인 한준겸(韓浚謙)의 시문집. 목판본. 2권 1책. 1639년(인조 17)경에 아들 한회일(韓會一)이 간행함.
1639?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문헌>서명
-
유천조신(柳川調信)
일본 도산시대(桃山時代)의 문신. 대마도주(對馬島主) 종의지(宗義智)의 가신(家臣). 풍신수길(豐臣秀吉) 때부터 덕천막부(德川幕府) 초까지 아들 유천지영(柳川智永)ㆍ손자 유천조흥(柳川調興) 삼대가 조선과 일본의 강화 회담 및 외교 사무를 담당함.
1539~1605 일본>도산시대 , 일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