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천조흥(柳川調興)
일본 강호시대(江戶時代)의 문신. 대마도주(對馬島主)인 종의지(宗義智) 집안의 가신(家臣)으로, 조부 유천조신(柳川調信)과 아버지 유천지영(柳川智永)의 대를 이어 조선과의 무역 및 외교에 공을 세움.
일본>강호시대 , 일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천지(柳千枝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서산(瑞山). 유흡(柳洽)의 아들.
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천지영(柳川智永)
일본 강호시대(江戶時代)의 문신. 대마도주(對馬島主) 종의지(宗義智) 집안의 가신(家臣)으로, 아버지 유천조신(柳川調信)의 대를 이어 조선과의 무역 및 외교에 공을 세움.
일본>강호시대 , 일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청(劉淸)
중국 명(明) 나라 태조(太祖) 때의 학자. 《중용장구상설(中庸章句詳說)》을 편집하고, 그 사이에 사백선(史伯璿)의 견해와 팽정견(彭廷堅)의 표제를 덧붙여 《중용(中庸)》을 공부하는 데 지침서를 마련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유청신(柳淸臣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무신. 몽골어를 배워 여러 차례 원(元) 나라에 다녀왔으며, 원 나라에 있을 때 왕위를 노리는 심양왕(瀋陽王) 왕고(王暠)에게 가담하여 반역 행위를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원 나라에 머물다가 죽음.
?~1329 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기타인명>역적ㅣ인명>관인>무신
-
유청지(劉淸之)
중국 송(宋) 영종(寧宗)~이종(理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예양현위(澧陽縣尉)ㆍ통판(通判) 등을 역임하였고, 주희(朱熹)와 더불어 《소학(小學)》을 편찬함.
1134~119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유촌집(柳村集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인인 황여헌(黃汝獻)의 시문집. 문장과 글씨로 소세양(蘇世讓)ㆍ정사룡(鄭士龍)과 함께 이름을 떨쳤던 저자의 시문을 수록함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유총(柳寵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참지정사(參知政事)를 지낸 유공권(柳公權)의 아버지로, 소부 소감(小府少監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최기(兪㝡基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기계(杞溪). 정미환국 때 소론의 거두 이광좌(李光佐)의 횡포를 반박하고, 신임사화로 죽은 노론의 거두 김창집(金昌集)ㆍ이이명(李頤命)의 신원(伸寃)과 소론의 음모사실을 논박함.
1689~176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충관(柳忠寬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흥양(興陽). 유몽인(柳夢寅)의 조부로, 1521년(중종 16) 별시(別試)에 급제하였으며, 사간원 사간(司諫院司諫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흥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충량(柳忠良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흥양(興陽). 어모장군(禦侮將軍) 유해(柳瀣)의 아들로, 1549년(명종 4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참봉(參奉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흥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충정(柳忠貞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고흥(高興). 유해(柳瀣)의 아들로, 온성 부사(穩城府使) 등을 지냄. 뒤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나주(羅州)에 장춘정(藏春亭)을 지음.
1509~157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무신
-
유치명(柳致明)
조선 순조(純祖)~철종(哲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전주(全州). 유회문(柳晦文)의 아들로, 대사간(大司諫)ㆍ병조 참판(兵曹參判) 등을 지내고, 만년에는 만우재(晩愚齋)에서 후진 양성에 전념함.
1777~186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
-
유치산선생집(游廌山先生集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인 유작(游酢)의 문집. 청(淸) 나라 1746년에 후손 유문원(游文遠)이 간행함. 1867년에 《유정부선생집(游定夫先生集)》으로 중간됨.
1746 중국>청 , 중국 , 문헌>서명
-
유침(庾琛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외척ㆍ무신. 명제(明帝)의 비인 명목유황후(明穆庾皇后)의 아버지로, 건위장군(建威將軍) 등을 역임하고 황후의 아버지로서 좌장군(左將軍)에 추증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유탁(柳濯)
고려 충혜왕(忠惠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무신. 본관은 고흥(高興). 도첨의시중(都僉議侍中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왜구의 침입을 방비하고 장사성(張士誠)의 토벌에 참전하는 등 공을 세워 여러 차례 공신(功臣)에 책록됨.
1311~1371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흥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유태두(柳泰斗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서산(瑞山). 유경지(柳瓊枝)의 아들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유택(柳澤)
고려 명종(明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명종 때 참지정사(參知政事)를 지낸 유공권(柳公權)의 아들로, 한림학사 승지(翰林學士承旨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탱(柳樘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흥양(興陽). 선조(宣祖) 때의 효자 유몽웅(柳夢熊)과 《어우야담(於于野談)》을 지은 유몽인(柳夢寅)의 아버지로, 제용감 주부(濟用監主簿)를 지냄.
1518~156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흥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팽로(柳彭老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유경안(柳景顔)의 아들로, 성균관 학유(成均館學諭)를 지냈음. 임진왜란 때 의병장 고경명(高敬命)의 종사관(從事官)이 되어 금산(錦山) 전투에 참가하였다가 전사함.
1554~1592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옥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