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팽성(柳彭成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전주(全州). 장흥 부사(長興府使)를 지낸 유세화(柳世華)의 아버지로, 1519년(중종 14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유평(劉玶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문인. 유자휘(劉子翬)의 아들로, 소무군사호참군(邵武軍司戶參軍) 등을 역임하였으며 주희(朱熹) 등과 교유함.
1138~118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유표(劉表)
중국 후한(後漢) 때의 군웅(群雄). 노공왕(魯恭王) 유여(劉餘)의 후손으로, 관도(官渡)의 싸움 때 원소(袁紹)와 조조(曹操)의 사이에서 중립을 지켰으며, 덕망이 높아 유비(劉備) 등이 그에게 의탁함.
142~208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종친
-
유필(庾弼)
고려 인종(仁宗)~의종(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무송(茂松). 태자 태사(太子太師)ㆍ문하시랑 평장사(門下侍郞平章事) 등을 역임하며 학문과 강직한 성품으로 칭송을 받음.
?~1155 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무장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필성(兪必成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창원(昌原).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유해(兪瀣)의 아버지로, 참봉(參奉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하동집(柳河東集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ㆍ문신이며, 당송팔대가(唐宋八代家)의 한 사람인 유종원(柳宗元)의 문집. 45권과 외집(外集) 상하(上下) 2권.
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서명
-
유하지(柳河枝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서산(瑞山)으로, 기언(淇彦) 유오(柳澳)의 아들.
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문사>유학
-
유하혜(柳下惠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대부. 사사(士師)의 직책을 수행할 때 세 번이나 쫓겨나면서도 직도(直道)를 견지하였던 고사로 유명하며, ‘화성(和聖)’으로 일컬어짐.
B.C.720~B.C.621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유학집(有學集)
중국 명(明)~청(淸)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전겸익(錢謙益)의 시문집. 50권. 청 나라에 들어와 저술한 것을 모음.
1664 중국>청 , 중국 , 문헌>서명
-
유한량(劉漢良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거창(居昌). 효행으로 천거되어 무장 현감(茂長縣監)을 지내면서 선정을 베풀고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진주성(晉州城) 전투에 참가하였다가 성이 함락되자 남강(南江)에 투신함.
?~1592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한충(劉漢忠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산(平山). 유장종(劉長宗)의 아들로, 1546년(명종 1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부사(府使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함(兪涵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기계(杞溪). 호조 판서(戶曹判書) 유강(兪絳)의 아들로, 유진(兪縝)에게 출계(出系)하였으며, 1552년(명종 7)에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유함(柳諴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문화(文化). 선조(宣祖) 때의 유학인 유종지(柳宗智)와 유종일(柳宗日)의 아버지로, 평생 은거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유항시집(柳巷詩集)
고려 충목왕(忠穆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ㆍ서예가인 한수(韓脩)의 저서. 저자의 문인(門人)인 성석용(成石瑢)과 이통훈(李通訓)이 1400년(정종 2) 전라도 금산(錦山)에서 간행함. 1책. 목판본.
140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금산 , 문헌>서명
-
유해(兪瀣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원(昌原)으로, 이이(李珥)의 문인. 임진왜란 때 종묘(宗廟)의 신주를 평양(平壤)의 행재소(行在所)에 피난시킨 공으로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책록되고,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541~1629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유해(柳瀣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고흥(高興). 참봉(參奉) 유충량(柳忠良)과 온성 부사(穩城府使) 유충정(柳忠貞)의 아버지로, 충무위 부사직(忠武衛副司直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흥양 , 인명>관인>무신
-
유향(劉向)
중국 전한(前漢) 선제(宣帝)~성제(成帝) 때의 학자. 선제 때 간대부(諫大夫)로 등용되고 석거각(石渠閣)에서 오경(五經)을 강의하였으며, 《설원(說苑)》ㆍ《열녀전(列女傳)》ㆍ《전국책(戰國策)》등 많은 저서를 남김.
B.C.79?~B.C.8?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경대부
-
유헌(柳軒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로, 유세린(柳世麟)의 아버지. 대사간(大司諫) 등을 지냄. 연산군 때 만언소(萬言疏)를 올리고, 갑자사화(甲子士禍)에 제주도(濟州道)로 귀양감.
1462~150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헌집(游軒集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인 정황(丁熿)의 문집. 5대손인 정재흥(丁載興)에 의해 편집ㆍ간행되고, 송상기(宋相琦)의 서문과 민진후(閔鎭厚)의 발문이 있음.
1715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남원 , 문헌>서명
-
유현(劉顯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~신종(神宗) 때의 무신. 임진왜란에 참전한 명 나라 제독(提督) 유정(劉綎)의 아버지. 세종 때 묘족(苗族)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(功)을 세우고, 도독(都督) 등을 지냄.
?~1581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