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협(柳浹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서산(瑞山). 유종덕(柳種德)의 아들.
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문사>유학
-
유형(兪炯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원(昌原). 유세건(兪世建)의 아들로, 양주 목사(楊州牧使)ㆍ청풍 군수(淸風郡守) 등을 역임하였으며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조광조(趙光祖)를 신구(伸救)하는 상소를 올림.
1482~152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형(劉荊)
중국 후한(後漢) 광무제(光武帝)의 아들. 재능은 있으나 성질이 음험하여 명제(明帝) 때 동해왕(東海王)을 무고하고, 역모 사건을 일으켰다가 후에 자살함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
-
유형(劉衡)
중국 후한(後漢) 광무제(光武帝)의 아들. 어머니는 광렬음황후(光烈陰皇后). 임준공(臨淮公)으로 봉해졌는데, 관작에 나아가지 못하고 죽음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
-
유형식(柳亨植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서산(瑞山). 유혜적(柳惠迪)의 아들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유형원(柳馨遠)
조선 효종(孝宗)~현종(顯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문화(文化). 이원진(李元鎭)과 김세렴(金世濂)에게 수학함. 실학(實學)을 학문으로 정립하고, 중농사상(重農思想)에 기반을 둔 《반계수록(磻溪隨錄)》을 저술함.
1622~167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부안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유혜련(柳惠連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서산(瑞山). 유태두(柳泰斗)의 아들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유혜방(柳惠芳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정당문학(政堂文學) 유인비(柳仁庇)의 아들이자 진천군(晉川君) 유구(柳玽)의 아버지로, 지영광군사(知靈光郡事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혜손(柳惠蓀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정당문학(政堂文學) 유인비(柳仁庇)의 둘째 아들이며 이조 판서(吏曹判書) 유염(柳琰)의 아버지로, 문하평리(門下評理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혜우(柳惠遇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서산(瑞山). 유제두(柳齊斗)의 아들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유혜운(柳惠運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서산(瑞山). 유태두(柳泰斗)의 아들.
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문사>유학
-
유혜일(柳惠逸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서산(瑞山). 유태두(柳泰斗)의 아들.
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문사>유학
-
유혜적(柳惠迪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서산(瑞山). 유제두(柳齊斗)의 아들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유호(兪灝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기계(杞溪). 유관(兪綰)의 아들로, 단성 현감(丹城縣監) 등을 역임함.
1522~157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호남록(遊湖南錄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학자ㆍ문인인 김시습(金時習)의 호남지방(湖南地方) 유람기. 《사유록(四遊錄)》의 하나로, 1463년(세조 9) 호남지방의 유람을 끝낸 후 쓴 시와 후지(後志)로 구성되어 있으며, 《매월당집(梅月堂集)》 권11에 실려 있음.
1463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편명
-
유호인(兪好仁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문인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(門人)으로, 합천 군수(陜川郡守) 등을 지냄. 시(詩)ㆍ문(文)ㆍ서(書)에 뛰어나 당대 삼절(三絶)로 일컬어지고 성종의 지극한 총애를 받음.
1445~149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유호인(劉好仁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문인. 본관은 강릉(江陵). 유선보(劉善寶)의 아들이며, 이이(李珥)의 문인(門人). 성운(成運)ㆍ김대유(金大有)ㆍ이희안(李希顔) 등과 교유하였으며, 참봉(參奉)을 지냄.
1502~158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흥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유호인시고(兪好仁詩藁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문인인 유호인(兪好仁)의 시집. 1490년(성종 21) 시고(詩藁)를 편찬하여 성종에게 진헌함.
1490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유혼(柳渾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문화(文化). 귀후서 별제(歸厚署別提) 유수천(柳壽千)의 아들이자 공조 판서(工曹判書) 유잠(柳潛)의 형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문사>유학
-
유홍(兪泓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기계(杞溪). 유여림(兪汝霖)의 손자로, 정여립(鄭汝立)의 모반사건과 종계(宗系)를 변무(辨誣)한 공으로 공신에 책록되고, 임진왜란 때에는 우의정으로 도성의 질서 회복과 복구에 기여함.
1524~159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