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홍(柳泓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무신. 유순정(柳順汀)의 아들로, 중종반정(中宗反正) 때 공을 세워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되고, 북병사(北兵使) 등 변경 장수직을 두루 역임하였으며,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위사원종공신(衛社原從功臣)에 책록됨.
1483~155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유홍(劉鴻)
중국 후한(後漢)의 제9대 질제(質帝)의 아버지. 유총(劉寵)의 아들로, 아버지의 관작을 이어 낙안왕(樂安王)이 되었다가, 아들이 황제가 되자 발해왕(渤海王)으로 봉해짐.
?~145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종친
-
유홍(柳洪)
고려 문종(文宗)~선종(宣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정주(貞州)로, 숙종(肅宗)의 비(妃)인 명의태후(明懿太后)의 아버지. 호부 상서(戶部尙書)로 송(宋) 나라에 다녀왔으며, 문하시랑 평장사(門下侍郎平章事)에 오름. 《춘추좌씨전(春秋左氏傳)》과 병가(兵家)의 비결(秘訣)에 정통함.
?~1091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풍덕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화(柳花)
고구려(高句麗)의 시조(始祖)인 동명왕(東明王) 주몽(朱蒙)의 어머니. 고구려 건국 신화에 따르면 아버지는 수신(水神)인 하백(河伯)이고, 천제(天帝)의 아들 해모수(解慕漱)를 만나 주몽을 낳았다고 함.
?~B.C.24 한국>고구려 , 인명>왕실>후궁
-
유화(劉和)
중국 남북조시대 전조(前趙)의 고조(高祖)인 유연(劉淵)의 아들. 태자(太子)로 봉하여졌으나 고조가 죽은 후 동생인 무제(武帝)에게 죽임을 당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
-
유환(劉渙)
중국 송(宋) 인종(仁宗) 때의 문신. 영상령(潁上令)을 지냈으나 강직한 성품으로 인해 상관을 섬기지 못하고 물러나 여산(廬山)에 은거함. 구양수(歐陽脩)가 〈여산고(廬山高)〉를 지어 그의 절개를 찬미함.
1000~108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황상(劉黃裳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문신. 병부 원외랑(兵部員外郞) 등을 역임하였고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흠차경략찬획방해어왜군무(欽差經略贊畫防海禦倭軍務)로 참전하여 송응창(宋應昌)의 휘하에서 종사하였으며, 문장에 능하였음.
1529~1595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회(柳淮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흥양(興陽). 유서량(柳恕良)의 아들로, 1558년(명종 13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 팔곡(八谷) 구사맹(具思孟)과는 죽마지우(竹馬之友) 사이.
1530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유회문(柳晦文)
조선 정조(正祖)~순조(純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전주(全州). 대사간(大司諫) 유치명(柳致明)의 아버지이며, 유도원(柳道源)ㆍ이상정(李象靖)의 문인으로, 평생 경학을 연구하고 심성을 수양함.
1758~181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유효작(劉孝綽)
중국 남북조시대 양(梁) 나라의 시인. 7세에 속문(屬文)을 하여 신동(神童)으로 불리고, 양 무제(梁武帝)에게 시 7수를 지어 바쳐 비서승(祕書丞)을 제수받음. 하손(何遜)과 더불어 ‘하유(何劉)’로 병칭됨.
481~539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유효중(柳孝中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문화(文化). 중종(中宗) 때 안변 부사(安邊府使)를 지낸 유인수(柳仁洙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문사>유학
-
유후(柳厚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서산(瑞山). 예문관 대제학(藝文館大提學) 유숙(柳淑)의 아들이며 서령부원군(瑞寧府院君) 유기(柳沂)의 아버지로, 군부 총랑(軍簿摠郞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후조(柳厚祚)
조선 철종(哲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(豊山). 돈녕부 도정(敦寧府都正) 유심춘(柳尋春)의 아들로, 고종 때 남인(南人)을 우대한 흥선대원군(興宣大院君)의 정책으로 우의정(右議政)을 지냄.
1798~187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휘(劉煇)
중국 송(宋) 인종(仁宗) 때의 문신. 인종 때 진사(進士)에 합격하여 대리평사(大理評事)ㆍ첨서하중부절도판관(簽書河中府節度判官) 등을 지냈으며, 저서에 《동귀집(東歸集)》이 있음.
1030~106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휴복(柳休復)
조선 전기의 유학. 서거정(徐居正)의 《사가집(四佳集)》에 그를 전송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유흑달(劉黑闥)
중국 수(隋) 나라 말기 하북(河北)에서 일어난 농민반란군(農民叛亂群)의 우두머리. 두건덕(竇建德)의 잔당을 모아 622년(당 고조 5) 한동왕(漢東王)이라 자칭하였다가, 623년 이건성(李建成)에게 진압됨.
?~623 중국>당ㅣ중국>수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역적
-
유흠(劉欽)
중국 한(漢) 나라의 종친. 후한(後漢) 광무제(光武帝)의 생부(生父)로, 남돈령(南頓令)을 지내고 남돈군(南頓君)에 봉해졌으며, 광무제 즉위 후 그가 살던 거록(鉅鹿)에 사당이 건립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종친
-
유흠(劉歆)
중국 전한(前漢)의 문신ㆍ학자. 유향(劉向)의 아들로, 황실의 도서를 교감하고 관리하였으며, 중국 최초의 도서목록인 《칠략(七略)》를 편찬함. 뒤에 왕망(王莽)이 국사(國師)로 삼았으나 그를 모살하려다 실패하여 자살함.
B.C.53?~A.D.23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유흡(柳洽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서산(瑞山). 유종덕(柳種德)의 아들로, 유종학(柳種學)에게 출계(出系)함.
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문사>유학
-
유희(柳禧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문화(文化). 유세창(柳世彰)의 아버지.
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