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희경(劉希慶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시인. 본관은 강화(江華). 천인 신분이지만 남언경(南彦經)에게 《가례(家禮)》를 배우고 특히 상례(喪禮)에 통달하였으며, 백대붕(白大鵬)과 함께 ‘풍월향도(風月香徒)’라는 모임을 만들어 주도함.
1545~1636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강화 , 인명>문사>문인
-
유희담(柳希聃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송만(松巒) 윤현(尹晛)의 사위로, 1590년(선조 23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유희량(柳希亮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문양부원군(文陽府院君) 유자신(柳自新)의 아들이며, 광해군의 처남. 사복시 정(司僕寺正)ㆍ예조 참판(禮曹參判) 등을 지냈으나, 인조반정(仁祖反正) 때 유배되었다가 죽음.
1575~1628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희령(柳希齡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송인수(宋麟壽)의 문인으로, 을사사화(乙巳士禍)에 연루되어 절도(絶島)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음. 《표제음주동국사략(標題音注東國史略)》과 《대동시격(大東詩格)》을 편찬하고, 《몽암집(夢菴集)》을 남김.
1480~155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희림(柳希霖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로, 장수 현감(長水縣監) 유복룡(柳伏龍)의 아들.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였고, 동지돈녕부사(同知敦寧府事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사후에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책록됨.
1520~1601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유희발(柳希發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문양부원군(文陽府院君) 유자신(柳自新)의 아들로, 통정대부(通政大夫)에 오름. 인목대비(仁穆大妃) 폐비론에 가담하였다가 인조반정(仁祖反正) 때 죽임을 당함.
1568~1623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희분(柳希奮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로, 문양부원군(文陽府院君) 유자신(柳自新)의 아들. 광해군 때 정인홍(鄭仁弘)과 함께 대북파(大北派)에 가담해 정권을 좌우하다가, 인조반정(仁祖反正)으로 죽임을 당함.
1564~1623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유희서(柳熙緖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좌의정(左議政) 유전(柳㙉)의 아들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외교 사무를 담당하고, 경기 관찰사(京畿觀察使)를 지냄. 1603년(선조 36) 포천(抱川)에서 화적(火賊)에게 살해되었는데, 임해군(臨海君)이 그의 첩(妾) 때문에 암살하였다고도 함.
1559~1603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희송(柳希松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서산(瑞山). 낙안 군수(樂安郡守) 유사(柳泗)의 아버지로, 좌통례(左通禮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희임(柳希任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유종인(柳宗仁)ㆍ유종례(柳宗禮)의 아버지로, 의서 습독관(醫書習讀官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희저(柳希渚)
조선 성종(成宗)~종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로. 1496년(연산군 2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여, 부제학(副提學) 등을 역임했음.
1460~?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희정(柳希汀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선전관(宣傳官)ㆍ남원 판관(南原判官)ㆍ영암 군수(靈巖郡守) 등을 역임했음.
1472~1528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무신
-
유희철(柳希轍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1495년(연산군 1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고, 선산 부사(善山府使)로 재직할 때 영남삼량(嶺南三良)으로 칭송됨.
1453~1514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희춘(柳希春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선산(善山). 유계린(柳桂隣)의 아들이며 김안국(金安國)ㆍ최산두(崔山斗)의 문인(門人).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, 경사(經史)와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《미암일기(眉巖日記)》등 많은 저술을 남김.
1513~157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해남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육^양(陸^揚)
중국 전한(前漢) 말의 문인ㆍ학자인 양웅(揚雄)과 남송(南宋) 초의 문신ㆍ학자인 육구연(陸九淵)을 함께 부르는 말. 정주학자(程朱學者)의 관점에서는 사이비 유학자를 가리킴.
중국>송ㅣ중국>전한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육^왕(陸^王)
중국 남송(南宋) 초의 문신ㆍ학자인 육구연(陸九淵)과 명(明)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왕수인(王守仁)을 함께 부르는 말. 육왕학(陸王學)의 대표적인 인물들로, 정주학자(程朱學者)의 관점에서는 사이비 유학자를 가리킴.
중국>명ㅣ중국>송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육가(陸賈)
중국 전한(前漢)의 학자. 태중대부(太中大夫)를 지냈으며, 변설(辯說)에 능하여 고조(高祖)의 중국 통일에 크게 공헌함. 시서(詩書)를 좋아하고 문무병용(文武倂用) 정치의 필요성을 역설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육가교(陸可敎)
중국 명(明) 나라의 학자. 윤근수(尹根壽)의 《월정집(月汀集)》에 있는 《조천록(朝天錄)》에 그가 쓴 서문이 실려 있음.
1547~?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육경(六經)
중국 춘추전국시대의 6가지 경서(經書). 《시경(詩經)》ㆍ《서경(書經)》ㆍ《예기(禮記)》ㆍ《악기(樂記)》ㆍ《역경(易經)》ㆍ《춘추(春秋)》를 가리킴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육곡유고(六谷遺稿)
조선 효종(孝宗) 때의 문신인 서필원(徐必遠)의 문집. 6권 3책. 활자본. 후손인 서영지(徐榮智)와 서영인(徐榮仁)이 편집ㆍ간행함.
1865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