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육광조(陸光祖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문신. 국자 학정(國子學正) 등을 지냈으며, 월정(月汀) 윤근수(尹根壽)가 중국에 갔을 때 그와 함께 주자(朱子)와 육상산(陸象山)의 학설의 차이점을 논변한 글이 《월정집(月汀集)》 별집(別集)에 실려 있음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육괴정(六槐亭)
조선 중종(中宗) 때 엄용순(嚴用順)이 경기도 이천(利川)에 세운 정자. 김안국(金安國)ㆍ강은(姜㶏)ㆍ오경(吳慶)ㆍ임정신(任鼎臣)ㆍ성담령(成耼齡)ㆍ엄용순 등 여섯 사람이 우의(友誼)를 기르고자 정자 앞에 여섯 그루의 나무를 심은 데서 명칭이 유래함.
1519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이천 , 유적>건물>누정
-
육구령(陸九齡)
중국 송(宋) 효종(孝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아우 육구연(陸九淵)과 더불어 서로 사우(師友)가 되어 아호(鵝湖)에서 강학하면서 ‘이륙(二陸)’으로 일컬어졌으며, 전주 교수(全州敎授) 등을 역임함.
1132~118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육구소(陸九韶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육구연(陸九淵)의 형으로, 사산(梭山)에 거처를 마련하여 강학(講學)에 전념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육구연(陸九淵)
중국 송(宋) 나라 효종(孝宗)~광종(光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지형문군(知荊門軍) 등을 지냄. 주희(朱熹)의 성즉리설(性卽理說)에 반대하여 심즉리설(心卽理說)을 주장하고, 저서로 《상산선생전집(象山先生全集)》을 남김.
1139~119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육귀몽(陸龜蒙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ㆍ학자. 육경(六經)과 《춘추(春秋)》에 통달하였으나 벼슬하지 않고 송강(松江)의 보리(甫里)에 은거하여 유유자적함. 시재(詩才)가 뛰어나 피일휴(皮一休)와 더불어 ‘피육(皮陸)’으로 일컬어짐.
?~881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
-
육기(陸機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학자. 육조시대(六朝時代) 화려한 시풍의 선구자로, 동생 육운(陸雲)과 함께 ‘이륙(二陸)’으로 일컬어지고, 《문부(文賦)》 등을 저술함. 혜제(惠帝) 때 팔왕(八王)의 난(亂)에 휘말려 동생과 함께 죽임을 당함.
261~303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육길(陸吉)
조선 전기의 문인 최연(崔演)이 지은 〈국수재전(麴秀才傳)〉에 나오는 가공의 인물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육도(六韜)
중국 주(周) 나라의 신하인 여상(呂尙)이 지었다는 병서(兵書). 무경칠서(武經七書)의 하나로, 문도(文韜)ㆍ무도(武韜)ㆍ용도(龍韜)ㆍ호도(虎韜)ㆍ견도(犬韜)ㆍ표도(豹韜)로 구성됨.
중국>주 , 중국 , 문헌>서명
-
육문정공집(陸文定公集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문신인 육수성(陸樹聲)의 시문집. 26권 10책. 목판본. 서삼중(徐三重)이 서문(序文)을 쓰고, 저자의 아들인 육언장(陸彦章) 등이 발문(跋文)을 썼으며, 1616년에 간행됨.
1616 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육사형집(陸士衡集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학자인 육기(陸機)의 시문집. 남송(南宋) 때 서민첨(徐民瞻)이 유문(遺文) 10권을 얻어 저자의 아우인 육운(陸雲)의 시문과 합하여 《진이준문집(晉二俊文集)》으로 간행한 이후 명대(明代)에 여러 차례 간행됨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육서부록(六書附錄)
조선 선조(宣祖) 때 미암(眉巖) 유희춘(柳希春)이 편찬한 책. 1572년(선조 5) 간행하였으며, 왕에게 올려 상을 받음.
1572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육선공주의(陸宣公奏議)
중국 당(唐) 나라의 명상(名相) 육지(陸贄)가 황제에게 올린 글을 모아 만든 책. 상소문의 모범이 됨.
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서명
-
육선공한원집(陸宣公翰苑集)
중국 당(唐) 나라 덕종(德宗) 때의 문신인 육지(陸贄)의 문집. 《육선공주의(陸宣公奏議》와 제고(制告)를 합하여 만든 것으로 총 22권. 그의 상주문은 시폐를 직언하고 자신의 정치에 대한 강한 책임감과 정열을 담고 있어, 치국의 귀감이 됨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육선생유고(六先生遺稿)
조선 전기 사육신(死六臣)의 시문집. 목판본. 3권 3책. 박팽년(朴彭年)의 7대손 박숭고(朴崇古)가 사육신의 유문(遺文)을 모아 편집하고, 1658년(효종 9) 충청도 관찰사(忠淸道觀察使) 이경억(李慶億)이 간행함.
1658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육손(陸遜)
중국 삼국시대 오(吳) 나라의 무신. 대제(大帝)의 도독(都督)으로서 형주(荊州)를 쳐 빼앗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함. 유비(劉備)를 이릉(夷陵)에서 패퇴시키고, 조휴(曹休)의 군대를 무찌르는 등 많은 전공을 세움.
183~245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육수성(陸樹聲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. 예부 상서(禮部尙書) 등을 지내고, 저서에 《장수일초(長水日鈔)》ㆍ《육문정공집(陸文定公集)》ㆍ《다요기(茶寮記)》등이 있음.
1509~1605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육수정(陸修靜)
중국 남북조시대 송(宋) 나라 문제(文帝)~명제(明帝) 때의 도사. 효무제(孝武帝) 때 여산(廬山)에 은거하여 도잠(陶潛)ㆍ혜원(慧遠) 등과 교유했다고 하며, 명제 때 초빙되어 도교(道敎) 경전을 정리함. ‘호계삼소(虎溪三笑)’의 고사로 유명함.
406~477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도사
-
육신사(六臣祠)@대구
조선 후기에 경상도 대구(大丘)에 세워진 사육신(死六臣)을 배향한 사당. 경내에 태고정(太古亭)이 있음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대구 , 유적>건물>사당
-
육신사(六臣祠)@영월
조선 숙종(肅宗) 때 강원도 영월(寧越)에 세운 사당. 사육신(死六臣)과 엄흥도(嚴興道) 등을 배향함.
1685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영월 , 유적>건물>사당