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육신전(六臣傳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학자인 남효온(南孝溫)이 지은 사육신(死六臣)의 전기(傳記). 저자의 《추강집(秋江集)》과 조기영(趙基永)의 《생육신문집(生六臣文集)》에 수록됨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작품명
-
육십사괘방위도(六十四卦方位圖)
《주역(周易)》에서 모든 천지만물을 상징하기 위해 64개의 괘(卦)로 설정한 방위도.
중국 , 문헌>작품명
-
육영(六英)
중국 고대 제곡(帝嚳) 고신씨(高辛氏)가 지은 음악. 육합(六合), 즉 천지와 사방의 영화(英華)를 총괄하였음을 칭송한 내용임.
고대 , 중국 , 기타>가무
-
육옹(陸顒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문신. 예부 원외랑(禮部員外郞) 등을 지내고, 시(詩)ㆍ서(書)ㆍ화(畫)에 뛰어남. 조선 태종(太宗) 때 임사영(林士英)과 함께 혜제(惠帝)의 대통력(大統曆)과 칙서(勅書)를 가지고 조선에 사신으로 옴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육우(陸羽)
중국 당(唐) 나라 때의 문인. 고조시가(古調詩歌)에 뛰어났으며, 특히 다도(茶道)에 정통하여 차에 관한 전문서적인《다경(茶經)》을 저술하였고, 후세에 ‘다성(茶聖)’으로 일컬어짐.
733~804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육운(陸雲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문신ㆍ문인. 육기(陸機)의 아우로, 중서시랑(中書侍郞) 등을 지내고, 시문(詩文)에 뛰어나 형과 함께 ‘이륙(二陸)’으로 일컬어짐. 혜제(惠帝) 때 팔왕(八王)의 난(亂)에 휘말려 형과 함께 죽임을 당함.
262~303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육유(陸游)
중국 송(宋) 나라 고종(高宗)~영종(寧宗) 때의 문신ㆍ문인. 보모각 대제(寶謨閣待制) 등을 지냄. 조국을 침략한 금(金) 나라에 대한 철저한 항쟁을 주장하고, 시를 통해 그 분노를 표출하는 한편 일상생활의 자적함을 동시에 표현함.
1125~121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육유(陸瑜)
중국 남북조시대 진(陳) 후주(後主)의 압객(狎客). 동궁 학사(東宮學士) 등을 지냈으며, 형 육염(陸琰)과 함께 재능과 학문을 갖춰 당시 ‘이응(二應)’으로 불림.
541~574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육유지(陸維之)
중국 송(宋) 나라의 은자. 속세를 초월한 뜻을 가지고 대조동천(大滌洞天)의 석실(石室)에 은거하여 시와 술을 즐기며 유유자적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육익(陸釴)
중국 명(明) 나라 효종(孝宗)~무종(武宗) 때의 문신ㆍ문인. 곤산(昆山) 사람으로, 태상경한림시독(太常卿翰林侍讀)을 지내는 등 학문에 뛰어남. 저서인 《만록(漫錄)》에서 환자(宦者) 장안(蔣安)이 경태제(景泰帝)를 죽였다고 서술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문사>문인
-
육적(陸績)
중국 후한(後漢)~삼국시대 오(吳) 나라 때의 문신. 당(唐) 나라 육구몽(陸龜蒙)의 원조(遠祖). 《주역(周易)》을 주석한 9인의 연구가인 구가(九家)의 한 사람으로, 울림 태수(鬱林太守) 등을 지내고, 효성이 매우 지극하였음.
중국>삼국시대ㅣ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육전(陸佃)
중국 송(宋) 나라 신종(神宗)~휘종(徽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왕안석(王安石)에게 수학하고 상서좌승(尙書左丞) 등을 지냈으나, 신법(新法)에 반대하여 박주지사(亳州知事)로 좌천됨. 예가(禮家)와 명수(名數)의 학설에 밝음.
1042~110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육지(陸贄)
중국 당(唐) 나라 덕종(德宗) 때의 문신. 덕종이 두 차례 피난길에 올랐을 때 한림학사(翰林學士)로서 항상 곁에서 조칙(詔勅)의 기초와 정책(政策) 입안을 담당하였으므로 ‘내상(內相)’이라 일컬어짐.
754~805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육진(六鎭)
조선 세종(世宗) 때 동북 방면 여진족(女眞族)의 침입에 대비해 두만강(豆滿江) 하류지역에 설치한 종성(鍾城)ㆍ부령(富寧) 등 여섯 개의 진(鎭).
1434 한국>조선전기 , 함경도>회령ㅣ함경도>종성ㅣ함경도>온성ㅣ함경도>부령ㅣ함경도>경흥ㅣ함경도>경원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육질(陸質)
중국 당(唐) 나라의 유학자. 유종원(柳宗元)ㆍ여온(呂溫) 등과 교류하고, 《춘추집전찬례(春秋集傳纂例)》ㆍ《춘추집전변의(春秋集傳辨疑)》ㆍ《춘추미지(春秋微旨)》등을 지음.
?~806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육창유씨(陸昌柳氏)
고려 때 호장(戶長)을 지낸 유세영(柳世英)을 시조로 하는 성씨. 전라도 영광(靈光)에 있는 육창(陸昌)을 본관으로 함.
한국>고려시대 , 전라도>영광 , 인명>집단>성씨
-
육통(六通)
조선 전기의 승려. 서거정(徐居正)의 《사가집(四佳集)》에 그에게 써 준 기문(記文)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육통(陸通)
중국 춘추전국시대 초(楚) 나라의 광인(狂人). 소왕(昭王) 때 나라에 법도가 없음을 보고 미친 척하며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. 《논어(論語)》 〈미자편(微子篇)〉에 공자(孔子)의 집을 지나며 부른 봉가(鳳歌)가 있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육항(陸抗)
중국 삼국시대 오(吳) 나라의 무신. 육손(陸遜)의 둘째 아들로, 무장(武將)으로 활약함. 손호(孫皓)가 즉위하자 17조목의 건의를 하고, 서진(西晉)의 장수 양호(羊祜)와의 싸움에서 일화를 남김.
226~274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윤^육(尹^陸)
조선 명종(明宗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인 윤근수(尹根壽)와 중국 명(明) 나라의 문신인 육광조(陸光祖)를 함께 부르는 말. 주자(朱子)와 육상산(陸象山)의 학설의 차이점을 논변함.
중국>명ㅣ한국>조선후기 , 중국ㅣ경상도>선산 , 사상>술어>관용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