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윤관(尹寬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(門人)으로, 학문으로 이름이 높아 당대(當代)의 신진사류들과 교유하였으며, 군자감 판관(軍資監判官) 등을 역임함.
1490~155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윤관(尹瓘)
고려 문종(文宗)~예종(睿宗) 때의 문신ㆍ무신. 별무반(別武班)을 창설하고 예종 때 구성(九城)을 쌓아 침범하는 여진(女眞)을 평정한 공으로 공신(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문하시중(門下侍中) 등을 지냄.
?~1111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윤관(綸貫)
조선 태조(太祖)~세종(世宗) 때의 승려인 기화(己和)가 지은 《금강경(金剛經)》에 대한 해설서. 1권 1책. 목판본. 1883년(고종 20) 경기도 양주(楊州)의 봉인사(奉印寺)에서 간행함.
1883 한국>근대 , 경기도>양주 , 문헌>서명
-
윤관중(尹寬中)
조선 후기의 문신. 미암(眉巖) 유희춘(柳希春)의 사위로, 선전관(宣傳官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윤광계(尹光啓)
조선 명종(明宗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남(海南)으로, 윤화중(尹和中)의 아들이고, 조헌(趙憲)의 문인(門人). 공조 좌랑(工曹佐郞) 등을 지내고, 저서로 《귤옥집(橘屋集)》이 있음.
1559~?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낙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윤광령(尹光齡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형조 정랑(刑曹正郞)을 지내다가 기묘사화(己卯士禍)에 연루되어 비인(庇仁)으로 유배되었으며, 서용된 후 임천 군수(林川郡守)와 부정(副正) 등을 지냄.
1492~157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윤구(尹耉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파평(坡平)으로, 이조 정랑(吏曹正郞) 윤희성(尹希聖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윤구(尹衢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남(海南). 홍문관 수찬(弘文館修撰) 등을 역임하였으며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삭직되었다가 복직됨.
1495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해남 , 인명>관인>문신
-
윤구(尹遘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추강(秋江) 남효온(南孝溫)과 교유하였으며, 사복시 판관(司僕寺判官)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흥 , 인명>관인>문신
-
윤국형(尹國馨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으로, 윤희렴(尹希廉)의 아들. 임진왜란 때 왜적 방어에 실패하여 파직되고, 재기용된 뒤 난리 후의 혼란한 업무들을 처리함. 공조 판서(工曹判書) 등을 지냄.
1543~1611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윤귀몽(尹龜蒙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음보(蔭補)로 출사하여 중부 참봉(中部參奉) 등을 지냄. 김안국(金安國)의 《모재집(慕齋集)》에 묘갈명(墓碣銘)이 실려 있음.
1440~1522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김포 , 인명>관인>문신
-
윤규(尹奎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파평(坡平). 1531년(중종 26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였으나, 천성이 자연을 좋아하여 출사하지 않고 고령(高靈)의 죽연정(竹淵亭)에서 심성을 도야함.
1500~156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문사>유학
-
윤규(尹珪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윤승례(尹承禮)의 아들로, 태종 때 민무구(閔無咎)ㆍ민무질(閔無疾) 형제의 불충을 질타하는 상소를 올리고, 경승부 윤(敬承府尹) 등을 지냄.
1365~1414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윤극민(尹克敏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첨의중찬(僉議中贊)을 지낸 허공(許珙)의 장인으로, 정당문학(政堂文學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윤극신(尹克新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. 서천 군수(舒川郡守) 윤엽(尹曄)의 아버지로, 1576년(선조 9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임천 군수(林川郡守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윤근(尹根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강원도 관찰사(江原道觀察使) 윤희길(尹希吉)의 아들로, 사헌부 지평(司憲府持平) 등을 지냈으나, 광해군 때 모함을 받아 유배되었다가 유배지에서 죽음.
1574~?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진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윤근수(尹根壽)
조선 명종(明宗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윤두수(尹斗壽)의 아우이며,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선조(宣祖) 때 종계변무(宗系辨誣)의 공으로 광국공신(光國功臣)에 책록되고, 임진왜란 때 국난극복에 힘써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책록됨.
1537~161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윤금손(尹金孫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지강(尹之岡)의 아들로,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참여한 공으로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찬성(贊成) 등을 역임함.
1458~154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윤긍(尹兢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으로, 우의정 윤사분(尹士昐)의 아들. 이조 참의(吏曹參議) 시절 정여창(鄭汝昌)ㆍ김굉필(金宏弼) 등을 천거하였으며, 호조 판서 등을 역임한 후 사직하고 팔공산(八公山)에 들어가 향풍(鄕風)을 순화함.
1432~148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대구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윤기(尹器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엄흔(嚴昕)의 《십성당집(十省堂集)》에 그를 방문하고 지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