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윤기(尹祈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으로, 승문원 판교(承文院判校) 윤강원(尹剛元)의 아들. 성균관 유생(儒生)으로서 을사사화(乙巳士禍) 공신호(功臣號)의 삭훈(削勳)을 상소하고, 임진왜란(壬辰倭亂)에는 세자를 시종함.
1535~1607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윤기견(尹起畎)
조선 세종(世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안(咸安). 성종(成宗)의 계비(繼妃)인 폐비윤씨(廢妃尹氏)의 아버지. 《세종실록(世宗實錄)》과 《고려사절요(高麗史節要)》의 편찬에 참여하고, 판봉상시사(判奉常寺事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안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윤기헌(尹耆獻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남원(南原). 윤자신(尹自新)의 아들이며 이이(李珥)의 문인(門人)으로, 한성부 좌윤(漢城府左尹) 등을 지내고, 성리학(性理學)에 밝음.
1548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윤길보(尹吉甫)
중국 주(周) 나라 선왕(宣王) 때의 태사(太師). 호경(鎬京)에 침입한 험윤(玁狁)을 격퇴하는 등 소목공(召穆公) 등과 함께 선왕을 보좌하여 쇠락한 주 나라를 중흥시키는 데 지대한 공헌을 함.
중국>주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윤길생(尹吉生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주(海州). 정국공신(靖國功臣) 윤희평(尹熙平)의 아버지로, 중추원 부사(中樞院副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서흥 , 인명>관인>문신
-
윤남(尹枏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현풍(玄風). 신천 군수(信川郡守) 윤경희(尹景禧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현풍 , 인명>문사>유학
-
윤달신(尹達莘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윤임형(尹任衡)의 아버지로, 1481년(성종 12) 친시(親試) 문과(文科)에 장원급제(壯元及第)하였으며, 충주 판관(忠州判官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창 , 인명>관인>문신
-
윤담(尹聃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첨사(僉使) 윤섭(尹涉)의 아들이며, 율곡(栗谷) 이이(李珥)의 생질이자 문인으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을 일으켜 활약하였고, 의금부 도사(義禁府都事)를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황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윤담수(尹聃壽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평(海平). 윤두수(尹斗壽)의 형이며, 서경덕(徐敬德)의 문인(門人)으로, 승사랑(承仕郞)을 역임하였으며,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책록됨.
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윤담휴(尹覃休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으로, 영평군(鈴平君) 윤개(尹漑)의 손자. 1569년(선조 2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장원급제하여, 통례원 좌통례(通禮院左通禮) 등을 역임함.
1544~158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윤돈(尹暾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이황(李滉)ㆍ기대승(奇大升)의 문인.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고 명(明) 나라 장수들의 접반관(接伴官)으로 활약함. 광해군 때 산릉도감 제조(山陵都監提調)로서 선조의 능(陵)을 조성함.
1551~161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윤돈(尹焞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인ㆍ학자. 정이(程頤)의 문인(門人)으로, 평생 과거(科擧)에 뜻을 두지 않았으며, 저서에 《논어해(論語解)》ㆍ《화정집(和靖集)》 등이 있음.
1071~114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윤돈(尹燉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인. 벼슬을 그만두고 용인(龍仁)의 부곡(釜谷)에 거처하여 자연을 벗삼아 유유자적하였으며, 김안국(金安國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용인 , 인명>문사>문인
-
윤동로(尹東老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이이(李珥)의 문인으로, 공조 좌랑(工曹佐郞) 시절 탄핵을 받아 파직되었다가 정유재란 때 재기용되었으나 이원익(李元翼)의 탄핵을 받음. 후에 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550~163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윤두수(尹斗壽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이황(李滉)ㆍ이중호(李仲虎)의 문인(門人)으로, 종계변무(宗系辨誣)에 힘써 광국공신(光國功臣)에 책록되고, 건저문제(建儲問題)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두 차례의 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책록됨.
1533~1601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윤득관(尹得觀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평(海平)으로, 해평부원군(海平府院君) 윤근수(尹根壽)의 6대손. 어유봉(魚有鳳)의 문인(門人)으로 대사간(大司諫) 등을 지냈으며, 1773년(영조 49) 주육논란(朱陸論難) 등을 합편하여 《월정집(月汀集)》 별집(別集)을 간행함.
1710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윤림(尹琳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영평군(鈴平君) 윤계겸(尹繼謙)의 아들이며 윤안인(尹安仁)의 아버지로, 장례원 사의(掌隷院司議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윤만비(尹萬庇)
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평(海平). 첨의중찬(僉議中贊) 윤석(尹碩)의 아버지로, 1303년(충렬왕 29) 홍자번(洪子藩) 등과 함께 간신 오잠(吳潛)의 처벌을 요청하였으며, 부지밀직사사(副知密直司事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윤명운(尹明運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비경(尹飛卿)의 아들이며, 송시열(宋時烈)의 문인. 기사환국(己巳換局) 때 송시열을 변호한 죄로 해미(海美)에 유배되었다가 갑술옥사(甲戌獄事) 때 풀려 나옴. 광흥창 수(廣興倉守) 등을 지냄.
1642~1718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윤명원(尹明遠)
조선 후기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참판 윤비경(尹飛卿)의 아들이며, 포암(圃巖) 윤봉조(尹鳳朝)의 아버지로, 직장(直長)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