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윤명은(尹鳴殷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효자. 본관은 파평(坡平). 인조의 사친추숭(私親追崇)을 반대하다가 유배되고, 병자호란 때 남양(南陽)에서 조익(趙翼)과 함께 의병을 모집하였으며, 효성이 지극하여 정문(旌門)이 세워짐.
1601~1646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남포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윤목(尹穆)
고려 후기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제2차 왕자(王子)의 난(亂) 때 기여한 공으로 좌명공신(佐命功臣)에 책록되었으나, 민무구(閔無咎)ㆍ민무질(閔無疾) 형제의 옥사에 관련되어 유배되었다가 처형됨.
?~1410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윤문로(尹文老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이호민(李好閔)의 장인으로, 충의위(忠義衛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무신
-
윤민일(尹民逸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윤엄(尹儼)의 아들이며, 성혼(成渾)의 문인. 성혼의 관작을 추탈하려는 정인홍(鄭仁弘)의 음모를 저지하려다 수원 판관(水原判官)으로 좌천됨. 후에 동래 부사(東萊府使) 등을 지냄.
1564~163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윤민준(尹民俊)
조선 후기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호조 좌랑(戶曹佐郞) 윤엄(尹儼)의 아들로,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윤민철(尹民哲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호조 좌랑(戶曹佐郞) 윤엄(尹儼)의 아들로, 창녕 현감(昌寧縣監) 등을 역임함.
1555~1618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윤민헌(尹民獻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엄(尹儼)의 아들이고, 이이(李珥)ㆍ성혼(成渾)의 문인으로, 이괄(李适)의 난 때 공주(公州)로 왕을 호종하였으며, 공조 참의 등을 역임함. 경사(經史)와 시문(詩文)에 능하고, 글씨와 그림에도 뛰어났음.
1562~1628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윤반(尹磻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영천부원군(鈴川府院君) 윤사로(尹師路)의 아들이며, 한명회(韓明澮)의 사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윤방(尹昉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평(海平)으로, 윤두수(尹斗壽)의 아들. 이이(李珥)의 문인으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에서 병자호란(丙子胡亂)에 이르는 혼란기 속에서 정사를 잘 보살폈으며, 영의정(領議政) 등을 지냄.
1563~1640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윤백기(尹伯奇)
중국 주(周) 나라 선왕(宣王) 때의 효자. 윤길보(尹吉甫)의 아들로, 계모의 온갖 학대를 극복하고 끝까지 효도를 다한 고사가 전해짐.
중국>주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효자
-
윤백령(尹伯齡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필상(尹弼商)의 손자로, 음보(蔭補)로 빙고 별제(氷庫別提)를 지냈으며, 연산군 때 회인(懷仁)으로 유배되었다가 죽음.
1475~1506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윤백연(尹伯涓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무송(茂松). 의영고 사(義盈庫使) 한가구(韓可久)의 사위이며, 훈련원 부정(訓鍊院副正) 윤상손(尹祥孫)의 아버지로, 송화 현감(松禾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무장 , 인명>관인>문신
-
윤번(尹璠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윤승례(尹承禮)의 아들이며, 세조(世祖) 비 정희왕후(貞熹王后)의 아버지로, 판중추원사(判中樞院事) 등을 역임함.
1384~144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윤변(尹忭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윤두수(尹斗壽)의 아버지이며,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(門人)으로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조광조의 무죄를 호소함. 삼척 부사(三陟府使) 등을 지냄.
1493~154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윤변(尹汴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무송(茂松). 윤강(尹江)의 아들이며, 방헌(庬軒) 윤자영(尹子濚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무장 , 인명>문사>유학
-
윤변명(尹變溟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무송(茂松). 최항(崔恒)의 《태허정집(太虛亭集)》에 그의 이름과 자(字)에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무장 , 인명>문사>유학
-
윤보(尹寶)
고려 후기의 무신. 본관은 해평(海平). 해평군(海平君) 윤지표(尹之彪)의 아들로, 응양위 대호군(鷹揚衛大護軍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무신
-
윤보(尹珤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순(尹純)의 아들로, 수첨의찬성사(守僉議贊成事) 등을 지내고, 영평부원군(鈴平府院君)에 봉해짐.
?~1329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윤보(尹甫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윤사균(尹士昀)의 아들이며, 정희왕후(貞熹王后)의 조카로, 공조 참판 등을 역임하였으며, 성종 때 황태자(皇太子) 책봉을 하례하기 위해 명(明) 나라에 진하사(進賀使)로 다녀옴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윤보로(尹普老)
조선 태조(太祖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무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판도 판서(版圖判書) 윤승례(尹承禮)의 아들로, 인수부 윤(仁壽府尹) 등을 지냄.
?~144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관인>문신